연일 치솟기만 하던 주가지수가 어제는 내림세를 보였다. 그동안 너무 급히 올라 경계감이 커진 시점에서 증권사 사장단이 증시 과열 해소책 마련을 위해 모임을 가졌다는 소식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보인다.
비록 주가가 내렸다고 하지만 뜨거운 투자열기가 진정될지는 의문이다. 시중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한데 부동산시장 위축으로 주식시장으로 몰린 돈이 다른 투자대상을 찾기도 마땅치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도 있고, 주가 상승이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적인 현상이라는 것도 낙관론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주가가 오를 만한 호재가 있다고 해도 별다른 조정없이 코스피지수가 3개월 사이 무려 400포인트나 급등한 것을 정상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과정에서 특히 개인투자자 비중이 급증하는 것은 심상치 않다. 개인투자자의 주식거래대금 비중은 지난해 50%를 약간 웃돌았으나 코스피지수가 1500선을 넘어선 지난 4월부터 급속히 높아지기 시작해 이달 들어서는 60% 선에 육박하고 있다. 개인들이 과열 증시를 떠받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국 곳곳에서는 개인들의 이런 투자 열풍을 반영해 증권계좌가 하루 1만개꼴로 늘고 있다. 회사원 농민 주부 학생 등 나이와 직업을 가릴 것 없이 주식 투자에 나서면서 심지어 교도소 재소자까지도 주식투자에 가세할 정도라고 하니 분위기를 짐작할 만하다. '아무거나 사 달라'는 식의 묻지마 투자 행태와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일도 횡행하고 있으니 후유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증권 전문가들도 분위기를 거스르기 어려워 부정적인 시장 전망을 내기 힘들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장밋빛 증시 전망만 판치면서 과열투자 열기를 더욱 조장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증권사 사장단이 증시 안정에 정말 뜻이 있다면 이런 행태부터 시정하기 바란다.
개인투자자들 스스로 분위기에 편승한 투자를 자제해야 한다. 투자를 하더라도 주식형 펀드 등 간접투자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은 투자기법과 정보 수집력에서 기관투자가를 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들이 간접투자에 더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선진국보다 높은 펀드 수수료율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비록 주가가 내렸다고 하지만 뜨거운 투자열기가 진정될지는 의문이다. 시중 유동성은 여전히 풍부한데 부동산시장 위축으로 주식시장으로 몰린 돈이 다른 투자대상을 찾기도 마땅치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도 있고, 주가 상승이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적인 현상이라는 것도 낙관론을 키우는 요인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주가가 오를 만한 호재가 있다고 해도 별다른 조정없이 코스피지수가 3개월 사이 무려 400포인트나 급등한 것을 정상적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이 과정에서 특히 개인투자자 비중이 급증하는 것은 심상치 않다. 개인투자자의 주식거래대금 비중은 지난해 50%를 약간 웃돌았으나 코스피지수가 1500선을 넘어선 지난 4월부터 급속히 높아지기 시작해 이달 들어서는 60% 선에 육박하고 있다. 개인들이 과열 증시를 떠받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국 곳곳에서는 개인들의 이런 투자 열풍을 반영해 증권계좌가 하루 1만개꼴로 늘고 있다. 회사원 농민 주부 학생 등 나이와 직업을 가릴 것 없이 주식 투자에 나서면서 심지어 교도소 재소자까지도 주식투자에 가세할 정도라고 하니 분위기를 짐작할 만하다. '아무거나 사 달라'는 식의 묻지마 투자 행태와 돈을 빌려 주식을 사는 일도 횡행하고 있으니 후유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증권 전문가들도 분위기를 거스르기 어려워 부정적인 시장 전망을 내기 힘들다고 한다. 그러다 보니 장밋빛 증시 전망만 판치면서 과열투자 열기를 더욱 조장하는 결과를 빚고 있다. 증권사 사장단이 증시 안정에 정말 뜻이 있다면 이런 행태부터 시정하기 바란다.
개인투자자들 스스로 분위기에 편승한 투자를 자제해야 한다. 투자를 하더라도 주식형 펀드 등 간접투자상품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인은 투자기법과 정보 수집력에서 기관투자가를 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개인투자자들이 간접투자에 더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선진국보다 높은 펀드 수수료율도 합리적으로 조정해야 할 것이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DT 광장] 행복한 은퇴설계 (0) | 2008.02.08 |
---|---|
[사설] `혁신형 중기 육성` 숫자놀음 돼선 안된다 (0) | 2008.02.08 |
[특파원 칼럼] 일본서 혼난 기업 사냥꾼 (0) | 2008.02.08 |
지수 2000을 눈 앞에 둔 주식시장 (0) | 2008.02.08 |
[조선데스크] 주식을 안 사면 불안하다?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