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media.hanmail.net/200707/16/dt/20070716060215.770.0.jpg)
지대찬 대한생명 영업지원팀장
오래 사는 것은 모든 인류의 꿈이고 희망이다. 단지 오래 사는 것만으로 친다면 이제 그 꿈은 많은 진전을 이뤘다. 19세기 말까지만 해도 37세에 불과하던 세계의 평균수명이 200년이 지난 지금 그보다 2배가 연장됐고 이런 추세라면 앞으로 40~50년 이내에 평균수명 100세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우리들의 노후가 길어 진 것은 분명한 축복이다. 그런데 그 축복을 제대로 누리려면 준비가 필요하다. 준비되지 않은 노후는 위험하다. 현대인이라면 그 누구도 오래 살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인간수명의 연장으로 은퇴 후 버텨야 할 노후는 한없이 길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는 불과 20~30년 전만 해도 국내에서는 노후 대비라는 말은 의미가 없었다. 직장에서 은퇴하면 자식들이 알아서 봉양하는 것을 당연하게 생각했고, 퇴직금으로 그리 길지 않은 노후를 그럭저럭 보낼 수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살고 있는 직장인들은 결혼 후 집 장만, 자식교육에 허리가 휠 지경인데도 노후를 대비해야 한다. 은퇴자들은 물론이고 은퇴를 앞둔 중장년은 노후대비라는 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기도 한다. 심지어 이제 막 직장생활을 시작한 20대들에게도 노후대비는 남의 일이 아니다.
그 준비는 노인이 된 후에 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노후 준비가 이제 더 이상 미루어 둘 수 없는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은퇴준비를 해야겠다는 마음을 먹었다면, 이제는 은퇴준비를 잘 하는 것만이 남았다. 이에 행복한 은퇴설계를 위해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것을 7가지로 정도로 요약해 소개한다.
첫째, 은퇴준비는 가능한 한 하루라도 빨리 시작하고 긴 안목으로 투자해야 한다. 일찍 준비할수록 비용부담은 줄어들고 노후는 풍족해진다. 장기라고 해서 반드시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한다는 선입견은 버려야 한다. 연금, 부동산, 펀드 등 어느 것이나 노후라는 장기적인 목표로 추진한다면 성공할 수 있는 일반적인 방법들이다.
둘째, 은퇴자산을 모으는 것 못지 않게 어떠한 삶을 살 것인가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은퇴 후 시작되는 제2의 인생기는 자신을 위해 쓸 수 있는 많은 시간이 주어진다. 그 많은 시간을 여행이나 여가활동만으로 보내기는 어려운 일이다. 몰두하며 삶에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이는 그것이 골프 일 수도 있고 봉사 일 수도 있으며 창조력을 발휘하는 예술일 수도 있다.
셋째, 최상의 재테크인 건강을 챙겨야 한다. 우리나라 평균수명은 78세, 건강나이는 68세이다. 보통 사망하기 10년쯤 전부터 각종 육체적, 정신적 질환으로 삶의 질은 떨어지고 의료비용은 늘어난다는 말이다. 따라서 건강을 지키는 것만으로도 큰 노후준비가 되며 최상의 재테크인 셈이다.
넷째, 부부 관계에 투자하라. 노년기에 이르면 배우자의 역할은 점점 커진다. 활동기 다기다망 했던 인간관계는 은퇴 후 배우자라는 하나의 점으로 흡수돼 버린다. 배우자는 쓸쓸한 노년을 피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원군이다.
다섯째, 자녀교육과 상생할 수 있는 노후를 준비해야 한다. 자녀에 대한 투자는 수익률 체감의 법칙을 따른다고 했다. 적당한 수준으로 사교육비 지출을 조정해야 한다. 노후준비 없는 교육비 투자는 자녀의 미래에 족쇄가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여섯째, 자금마련 계획을 세울 때 반드시 물가상승의 위험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금은 중국경제의 성장으로 전세계 물가가 묶여있지만, 향후 30년 후에도 그러하리라 기대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이다. 더 이상 소득이 발생하지 않는 노년기에 물가상승은 가장 위협적인 존재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오래 사는 위험에 대비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오래 사는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렇다면 죽을 때까지 현금을 지급하고 절대 해약할 수 없는 상품을 선택해야 한다. 생명보험사의 종신연금은 이런 측면에서 현재의 유일한 대안이 될 것이다.
오는 2010년이면 제1세대 베이비붐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된다. 과연 그들은 어떤 노후생활을 맞이하게 될까? 결국 자신들의 은퇴 이후를 잘 준비한 이들이 은퇴 후에 풍요롭고 여유로운 진정한 골드에이지(Gold Age:황금기)를 누리며 살아갈 수 있을 것이다.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마진단] 금리인상 따른 환율 충격 줄여야 (0) | 2008.02.08 |
---|---|
[사설] 증시 과열도 걱정, 관치금융도 걱정 (0) | 2008.02.08 |
[사설] `혁신형 중기 육성` 숫자놀음 돼선 안된다 (0) | 2008.02.08 |
[사설] 하루 1만개씩 늘어나는 증권계좌 (0) | 2008.02.08 |
[특파원 칼럼] 일본서 혼난 기업 사냥꾼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