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통합공고



♧ 지원사업소개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2016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통합공고문입니다. 우수한 기술, 지식재산권, 노하우를 보유한 중소기업의 제품개발비 및 인건비, 인증비 등을 최소 5백만원에서 최대 수억 원까지 지원합니다. 신기술, 신제품을 개발하고자 하나 자금이 없어 부족한 중소기업이시라면 기술개발자금에 도전해 보세요! 제조업의 경우 시제품제작부터 제품시험생산까지, 소프트웨어-어플리케이션-CONTENT 등을 개발하는 지식서비스업의 경우 개발인력 인건비의 80%까지 지원이 가능합니다.




 상세내용
 
  본 통합공고문은 포괄적으로 중요한 예산 및 지원내용만 담겨져 있으며 향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중소기업에게 중요한 지원사업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문에는 여기서 안내한 항목 외에 더욱 다양한 사업이 있사오니 꼭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셔서 읽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 창업성장기술개발
 ○ 1인창조기업기술개발
 ○ 제품·공정개선 기술개발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첫걸음 R&D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도약 R&D
 ○ 산학연협력 기술개발 이공계전문가R&D 서포터즈
 ○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 융합전략과제
 ○ 중소기업 융·복합기술개발 현장기획과제
 ○ 중소기업상용화기술개발
 ○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 글로벌전략기술개발
 ○ 혁신기업기술개발
 ○ 기업서비스연구개발
 ○ 시장창출형 창조기술개발
 ○ 중소기업 R&D기획역량 제고 R&D기획지원
 ○ 중소기업 R&D기획역량 제고 R&D기획역량강화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번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세부사업별 공고문은 2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 기술개발지원사업(기술개발자금)이란?
    중소기업청(산하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및 공공기관,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국가경제발전 및 기술경쟁력 강화 등을 목적으로 매년 예산을 투입하여 중소기업에게 부족한 신기술개발비용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형태의 자금으로 적게는 5백만원부터 크게는 10억 원까지 제품 및 서비스개발비, 인건비, 홍보마케팅비 등을 지원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무상으로 지원하는 자금으로 참여기업의 부담금이 지원금의 10~40% 수준으로 부담없이 신기술개발에 도전할 수 있어 매년 많은중소기업이 기술개발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아이디어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기술개발_중기청]2016년도 중소중견기업 기술개발지원사업 통합공고.hwp







2016年 중소기업청 소관 중소기업 정책자금



♧ 지원사업소개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2016년 중소기업청에서 직접 지원하는 중소기업 정책자금(대출 및 융자) 통합공고문입니다. 기업에게 필요한 자금난을 막고자 일반 운전자금 및 공장설립이나 고가의 장비 등을 구입하는 데 필요한 시설자금을 5%이하의 저금리로 지원하는 자금입니다. 3년 ~ 8년 정도의 만기로 여유롭게 자금을 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내용

본 통합공고문은 포괄적으로 중요한 예산 및 지원내용만 담겨져 있으며 향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예비창업자, 재창업자 및 중소기업에게 중요한 지원사업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문에는 여기서 안내한 항목 외에 더욱 다양한 사업이 있사오니 꼭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셔서 읽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 창업기업지원
   - 일반창업
   - 청년전용창업

○ 투융자복합금융
   - 이익공유
   - 성장공유
   - 프로젝트금융

○ 개발기술사업화

○ 신성장기반
   - 신성장유망
   - 기술사업성우수
   - 고성장기업
   - 협동화
   - 기초제조기업

○ 재도약지원
   - 사업전환
   - 재창업
   - 구조개선전용

○ 긴급경영안정
   - 긴급경영안정
   - 수출금융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번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세부사업별 공고문은 2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 정책자금이란?
    중소기업청(산하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에서 기업에게 필요한 운전자금 및 시설자금을 저금리로 장기간 대출해주는 자금을 말합니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 업력, 업종, 매출액 등에 따라 지원금액이 차등 결정되며 여신심사기준 및 기업평가기준이 시중은행보다 중소기업에게 유리하여 많은 중소기업으로부터 선호받고 있습니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아이디어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대출융자_기술창업]2016년도_중소기업청_소관_중소기업_정책자금_융자계획.hwp






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소상공인 정책자금 안내



♧ 지원사업소개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2016년 중소기업청에서 직접 지원하는 소상공인 정책자금(대출 및 융자) 통합공고문입니다. 자영업자, 음식점, 미용실, 도소매, 유통, 건설업 등 일반서비스업을 영위하는 기업에게 필요한 자금난을 막고자 일반 운전자금 및  시설자금을 5%이하의 저금리로 지원하는 자금입니다. 3년 ~ 8년 정도의 만기로 여유롭게 자금을 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세내용
 
본 통합공고문은 포괄적으로 중요한 예산 및 지원내용만 담겨져 있으며 향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업기업에게 중요한 지원사업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문에는 여기서 안내한 항목 외에 더욱 다양한 사업이 있사오니 꼭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셔서 읽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 소상공인 창업자금
○ 소공인 특화자금
○ 사업전환자금
○ 성장촉진자금
○ 일반경영안정자금
○ 긴급경영안정자금
○ 임차보증금안심금융
○ 소상공인 전환대출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번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세부사업별 공고문은 2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 정책자금이란?
    중소기업청(산하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및 기술보증기금, 신용보증기금, 지역신용보증재단 등에서 기업에게 필요한 운전자금 및 시설자금을 저금리로 장기간 대출해주는 자금을 말합니다. 기업이 보유한 자산, 업력, 업종, 매출액 등에 따라 지원금액이 차등 결정되며 여신심사기준 및 기업평가기준이 시중은행보다 중소기업에게 유리하여 많은 중소기업으로부터 선호받고 있습니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아이디어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대출융자_소상공인]2016년 중소기업청 소관 소상공인 정책자금 융자계획.hwp




2016년도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 시행계획 공고



♧ 지원사업소개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2016년 마케팅지원사업 통합공고문입니다. 중소기업 마케팅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제품홍보부터 국내외 판로개척, 온오프라인 유통망 구축 지원, 바이어연결, 공동AS지원 등 마케팅 및 판로개척에 필요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의 제품판매촉진을 이룰 수 있습니다.




 상세내용
 
본 통합공고문은 포괄적으로 중요한 예산 및 지원내용만 담겨져 있으며 향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업기업에게 중요한 지원사업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문에는 여기서 안내한 항목 외에 더욱 다양한 사업이 있사오니 꼭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셔서 읽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① 초기제품시장진입지원(이전 : 마케팅이노베이션)
② 중소기업제품 홍보
③ 중소기업 브랜드 지원
④ 중기제품 전용판매장 운영
⑤ 오프라인 유통망 진출
⑥ 온라인 시장진출
⑦ 중소기업 구매상담회·판매전
⑧ 혁신제품 발굴․연계시스템 운영
⑨ 중소기업 공동A/S지원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번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세부사업별 공고문은 2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 마케팅지원사업(사업지원보조금)이란?
    중소기업청(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기업진흥공단) 및 KOTRA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중소기업 제품판로개척 및 수출활성화 등을 목적으로 매년 예산을 투입하여 창업기업에게 부족한 창업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형태의 자금으로 적게는 5백만원부터 크게는 1억 원까지 제품 및 서비스개발비, 인건비, 홍보마케팅비 등을 지원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대출없이 창업할 수 있으며 창업자의 부담금이 지원금의 10% 수준으로 빚에 대한 부담없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어 매년 많은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기업이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아이디어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마케팅]2016년_마케팅지원사업_시행계획_공고문(최종).hwp





2016년 발명특허지원자금 안내



♧ 지원사업소개

  
  특허청에서 발표한 2016년 발명특허지원사업 통합공고문입니다. 유사특허를 조사하는 선행기술조사부터 국내특허출원, 해외출원(PCT) 등 지식재산권의 권리확보비용을 지원하는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예비창업자(일반인)도 참여가 가능하오니 많이 도전해 보세요!




 상세내용
 

특허청에서 발표한 2016년 지역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 공고문입니다. 특허지원사업은 소재지를 중심으로 지역지식센터에서 관할하여 지원합니다. 중요한 지원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체적인 지원내용은 첨부파일을 다운로드하세요!)



A. 선행 특허·상표·디자인 조사
B. 국내 권리화
C. 해외 권리화
D. IP 인큐베이팅
E. 선택형 IP
F. 특허기술 시뮬레이션
G. 맞춤형 특허맵
H. 특허&디자인 융합
I. 비영어권 브랜드 개발
J. IP Star 기업 육성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지역지식센터 대표번호 1661-1900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기관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지역별 공고문은 지역지식센터 홈페이지(www.ripc.org)를 참고하세요!


○ 발명특허지원자금이란?
    특허청(산하 지역지식센터)를 중심으로 지식재산권 출원 및 선행기술조사, 브랜드, 디자인, 특허전략수립 등에
소요되는 다양한 비용을 보조해주고 전문인력을 통해 지식재산관리를 지원해주는 다양한 지원사업을 말합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있지만 자금이 부족해 지식재산권으로 확보하지 못한 개인이나 기업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사업지원_특허]2016년 지역지식재산창출지원사업.hwp






2016년 창업지원사업 통합 공고


♧ 지원사업소개

   
 중소기업청에서 발표한 2016년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문입니다. 창업기업의 보육부터 무상으로 제품개발비 및 인건비, 홍보비 지원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다양한 지원사업을 통해 창업지원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이중에서 창업초기기업에게 필요한 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사업 위주로 보시면 유용하게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됩니다.




 상세내용
 
  본 통합공고문은 포괄적으로 중요한 예산 및 지원내용만 담겨져 있으며 향후 약간의 변동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업기업에게 중요한 지원사업들은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공고문에는 여기서 안내한 항목 외에 더욱 다양한 사업이 있사오니 꼭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셔서 읽어보시기를 권장합니다.

  ○ 창업선도대학 육성
  ○ 창업사관학교
  ○ 창업맞춤형사업화 지원
  ○ 창업도약패키지
  ○ 선도벤처연계 기술창업
  ○ 민관공동 창업자 발굴 육성(TIPS 연계지원)
  ○ 창업인턴제
  ○ 패키지형 재도전 지원사업
  ○ K○Global Re-Startup
  ○지식서비스창업지원
  ○ 스마트벤처창업학교
  ○ 스마트창작터
  ○장애인 창업아이템 경진대회
  ○여성창업경진대회
  ○여성벤처창업 케어 프로그램
  ○K○Global Startup 공모전
  ○글로벌 엑셀러레이터 육성
  ○K○Global Startup 스마트 디바이스
  ○K○Global 스마트미디어
  ○K○global IoT 챌린지
  ○사회적기업가 육성사업
  ○창업발전소 스타트업 육성 지원
  ○창조관광사업 공모전
  ○6개월 챌린지 플랫폼 사업


※ 사업에 대한 상세한 문의는 중소기업 통합콜센터 1357번으로 전화하시거나 해당 공문에 있는 담당자에게
    문의하시면 됩니다.
※ 구체적인 세부사업별 공고문은 2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올라올 예정입니다.


○ 창업지원사업(창업출연자금)이란?
    중소기업청 및 미래창조과학부, 문화관광부, 각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활성화를 목적으로 매년 예산을 투입하여 창업기업에게 부족한 창업자금을 무상으로 지원하는 형태의 자금으로 적게는 5백만원부터 크게는 1억 원까지 제품 및 서비스개발비, 인건비, 홍보마케팅비 등을 지원하는 자금을 말합니다. 대출없이 창업할 수 있으며 창업자의 부담금이 지원금의 10% 수준으로 빚에 대한 부담없이 창업에 도전할 수 있어 매년 많은 예비창업자 및 창업초기기업이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의적인 아이디어와 기술, 지식재산권으로 새로운 기회를 찾고자 도전하는 분을 위해 아이디어클럽&거래소에서는 2016년 더욱 많은 정보를 공유하고 다양한 행사 및 이벤트 등을 통해 빚없이 창업할 수 있는 기술창업의 활성화의 장을 만들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습니다.



첨부파일 [창업]2016년_창업지원사업_통합공고.hwp



2015년 해외출원지원사업 안내(~7.24일 마감)

 


 

 

해외에 특허/실용신안/상표/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을 해외에서도 보호받으려면 많은 비용이 발생합니다. PCT출원 및 개별국가출원비용을 최대 1,400만 원까지 국비로 지원하는 2015년도 해외출원지원사업을 통해 보유하고 계신 지식재산권의 가치를 높여보세요!

 

 

 

 



 

   소공인 R&D지원사업(최대 4천만원 지원)

   



 ○ 사업개요


 

사업기간 : ‘14. 7월 ~ ’15년 3월
지원규모 : 18억원(기술료 사업)
지원대상 : 8개 소공인특화지원센터의 해당 특화분야 제조업*에 종사하는 상시근로자 10인 미만 업체
  * 신발제조업, 인쇄제조업, 의류(패션)제조업, 기계·금속·장비제조업, 식품제조업, 귀금속(쥬얼리)제조업
지원내용 : 과제개발 전주기별 과제기획 및 과제개발 지원
  • 1 단계 :신청과제 과제기획 지원(관련예산 소진시까지)
    - R&D사업에 처음 참여하는 신청기관의 사업신청서, 약식 사업계획서 등 서류작성 애로를 경감하기 위해 신청과제 작성지원
  • 2 단계 :예비과제 과제기획 지원(60개 과제 내외)
    - 서면평가를 통과한 예비과제의 과제책임자와 기획전문가를 매칭하고, 정식 사업계획서 수립, 기술애로 진단 등 과제기획 지원
      * 지원횟수 :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10회까지 지원(1개월 이내)
  • 3 단계 :과제개발비 및 지원과제 멘토링 지원(30개 과제 내외)
    - (과제개발) 발표평가를 통과한 최종 지원과제의 개발기간 내 성공적 수행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을 지원(40백만원 이내, 최대8개월)
      * 신기술개발, 제품·공정개선, 디자인·브랜드 개발 분야의 과제개발에 직접적으로 소요되는 인건비, 연구장비·재료비, 위탁개발비 지원 
    - (멘 토 링) 과제개발 전념 및 행정부담 경감 등을 위해 기술자문 및 제출보고서 작성 등 행정업무 전반에 대한 1:1 멘토링 지도
      * 지원횟수 : 평가결과에 따라 최대 10회까지 지원(과제개발기간 중)

 ○ 지원분야 및 대상

 

 

주관기관

「소기업 및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특별조치법」규정에 의한 소상공인이고, 아래의 신청요건을 모두 갖춘 상시근로자수 10인 미만의 제조업체 

※ 주관기관 단독과제 및 협력기관과의 공동과제 모두 신청 가능


요건세부내용
1상시근로자수◦ 상시근로자 10인 미만의 신청기관
2업력◦ 업력이 3년 이상인 신청기관
3업종◦ ‘14년 현재 지정된 8개 소공인특화지원센터 특화지원업종
* 소공인 지원대상 업종 참조
4민간부담금◦ 민간부담금 총사업비의 25% 이상 (현물 20% : 현금 5%)
* 총사업비(100%) = 정부지원금 75% + 대응출자금 25%
5정부사업참여횟수‘05년 이후 중소기업청의 기술개발, 디자인·브랜드 개발 관련 사업에 참여 경험이 없는 신청기관 
* 기수혜자 및 수행중인 자는 참여 불가(신청마감일 기준)

협력기관(공동개발기관)

과제구현을 위해 과제개발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대학 및 연구소

  * 중소기업: 중소기업기본법 제 2조에 따른 중소기업

- 단, 중소기업정책자금 및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제외 대상업종은 제외 

  * 대학 : 고등교육법 제2조에 의한 학교 및 기능대학법에 의한 기능대학

  * 연구기관: 국공립연구기관, 정부출연연구기관, 전문생산기술연구소, 특정 연구기관 등 비영리 연구개발법인

- 대기업, 소상공인 협동조합, 지자체는 협력기관으로 참여 불가

 

 

 ○ 지원내용

 

 

지원한도정부출연금민간부담금기술료과제유형
최대 40백만원 이내
(개발기간 8개월 이내)
총 사업비의75% 이내총 사업비의 25% 이상
(현물20% : 현금5%)
면제자유응모형


14년 소공인 기술·제품 부가가치향상지원 시범사업 추진절차도

  * (신청기관) 과제신청업체 (관리기관)소공인특화지원센터 주관기관, (전담기관)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dd>

 

 

 

 

 


  

  





  




해외출원비용 지원사업 공고(~5월 20일)

 



특허와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의 해외출원비용을 지원하는 

2014년 제1차 해외출원비용 지원사업 공고가 나왔습니다.

국내 지식재산권은 있지만 해외출원비용이 부족해서 아이디어 보호를 받기 어려우시다면

이번 지원제도를 통해 도움을 받아보세요~!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접수하실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신청하기)



제1차 해외출원비용지원사업 공고







첨부파일 2014년_해외출원비용지원_사업공고.hwp




 

    허청에서 시행하는 발명특허지원제도 2014

   


 

2014년 아이디어를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를 하고 해외출원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지식재산권 확보비용을 줄여주는

발명특허지원제도 2014년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올 해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나의 우수한 아이디어를 지식재산권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많은 발명가, 기술자, 연구원, 엔지니어, 학생, 기업CEO, IP담당자 분 등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정부지원·창업·자금' 게시판에 남겨주시면 시간되실 때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사업개요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의 출원 및 등록, 해외출원, 컨설팅, 패키지, 3D시뮬레이션,

  침해대응소송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2014년 특허청에서 아이디어가 있는 분들을 위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분야 및 대상

 

 사업 및 지역별로 상이(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 지원내용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세요.

 

2014년도 지역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안내

사업 구분

사업 목적

추진 개요

지원 대상

접수 기간

세부 사업

지원 규모

기업분담금

비고

IP Start-Up

지역 중소기업

IP 인식제고

지식재산 교육, 선행기술 조사, 국내출원 등 기업 지식재산경영 입문을 위한 지원 강화

중소기업 또는 사회적기업

(최근 3년간 지식재산권 출원 3건 미만 기업 우선 지원)

일부 개인발명가 포함

수시 접수

(지역별 www.ripc.org 참조)

선행기술

400천원 이내

전액 지원

기업(개인) 3건 이내

개인은 선행기술조사, 특허·실용신안 출원만 지원

국내출원

특 허

실용신안

상 표

디자인

1,000천원

500천원

250천원 350천원

사회적기업 : 5%

소기업(개인) : 10%

중기업 : 30%

IP Scale-Up

지역 중소기업

IP 경쟁력 강화

지식재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중소기업 또는 사회적기업

(최근 3년간 지식재산권 출원 3건 이상 또는 등록 1 이상 보유 기업 우선 지원)

수시 접수

(지역별 www.ripc.org 참조)

국내출원

특 허

실용신안

상 표

디자인

1,000천원

500천원

250천원 350천원

사회적기업 : 5%

소기업 : 10%

중기업 : 30%

기업 당 3건 이내

해외출원

특허(PCT)

특허(개별국)

상 표

디자인

3,000천원

7,000천원

2,500천원

2,800천원

정기 접수

2014. 1. 27() 2. 21()

시뮬레이션

5,000천원 이내

기업 당 최대 1

특허맵(PM)

12,000천원 이내

브랜드 개발

25,000천원 이내

디자인 개발

25,000천원 이내

IP Star 기업

지역 IP 대표기업 육성

지식재산 경영자원 집중지원을 통해 지역의 지식재산경영 선도기업 구축을 위해 3년간 전략적으로 지원, 자생적으로 지식재산 경영능력을 갖추도록 유도

2012, 2013년도 선정된 IP 스타기업

2014년 신규 IP 스타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

(IP 스타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대한 육성지원 기간은 3년이나, 매년 지역별 평가를 통해 계속지원 여부 결정)

정기 접수

2014. 1. 2() 1. 24()

해외출원

특허(PCT)

특허(개별국)

상 표

디자인

3,000천원

7,000천원

2,500천원

2,800천원

스타기업 : 10%

연간 70백만원 이내

3년간 200백만원 이내

시뮬레이션

5,000천원 이내

특허맵(PM)

12,000천원 이내

브랜드 개발

25,000천원 이내

디자인 개발

25,000천원 이내

비영어권 브랜드

40,000천원 이내

브랜드&디자인 융합

30,000천원 이내

디자인&특허 융합

50,000천원 이내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에 의거함

IP Star 지원대상 제외기업은 IP Start-Up 또는 IP Scale-Up 지원 사업에 신청 가능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사업(수행기관 : KIAT) 참여기업은 IP 스타기업 선정 시 우대

중소기업청의 글로벌 하이웨이 프로그램(수행기관 : 중소기업진흥공단) 참여기업은 IP 스타기업 선정 시 우대

 

6. 지역별 문의처

구 분

센터명

연락처

지원 사업

구 분

센터명

연락처

지원 사업

광역

센터

서울센터

02-380-3633

IP Start-Up

 

IP Scale-Up

 

IP Star 기업

 

모든 사업 포함

기초

센터

수원센터

031-244-8321

IP Start-Up

 

IP Scale-Up

 

중 일부 사업

경기센터

031-500-3043

부천센터

070-7094-5483

경기북부센터

 

031-853-7431

춘천센터

033-264-6580

인천센터

032-810-2882

태백센터

033-552-5555

강원센터

033-749-3333

강릉센터

033-643-4411

충남센터

041-558-5706

대전센터

042-930-8420

서산센터

041-663-0041

충북센터

043-229-2732

충주센터

043-843-7005

부산센터

051-974-9065

부산남부센터

051-645-9684

울산센터

052-228-3087

안동센터

054-859-3093

대구센터

053-242-8079

경북센터

054-274-5533

구미센터

054-454-6601

경남센터

055-210-3085

진주센터

055-753-0411

전남센터

061-242-8587

순천센터

061-741-5411

광주센터

062-954-3841

군산센터

063-471-1284

제주센터

064-755-2554

일부 사업은 센터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기타 세부사항은 지역지식재산센터 통합홈페이지(www.ripc.org) 참조

 

첨부파일 2014년도_중소기업_지식재산_창출지원사업_공고(최종)_1226.hwp

첨부파일 2014년도_통합공고_총괄표_및_지역별_연락처(최종)_1226.hwp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