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유동성이 가파른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어 우려를 키우고 있다. ‘광의 유동성’이 지난 6월 중 34조원이나 증가해 1995년 한국은행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는 통계가 나왔다. 전달보다도 10조원 정도 더 많은 규모다. 전년 동기 대비로도 12.7%가 늘어 4년4개월 만의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통화 당국의 ‘돈줄 조이기’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말 이후의 유동성 증가세가 한층 가팔라지는 모습이다.
협의의 통화증가율이 안정적으로 마이너스인 것을 보면 금융기관 쪽에서 유동성 증가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형 펀드로 돈이 몰리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중소기업 대출과 주식투자를 위한 대출 등도 늘면서 유동성 팽창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화당국은 일시적 요인이 크다고 말하지만 유동성 과잉 상태가 확대되면 자산가격 거품으로 이어지고, 외부 충격에 노출될 경우 급격한 거품 붕괴에 따른 경제 불안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시중 유동성이 크게 느는 한편으로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파문에 영향 받아 주식시장은 크게 출렁이는 모습이다. 아직은 주식시장 외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없지만 경우에 따라 금융시장에 신용경색이 초래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동성 팽창을 걱정하는 한편으로 신용경색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을 맞고 있는 것이다. 통화당국으로서도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굳이 구분하자면 과잉 유동성 문제는 당장 심각성을 드러내는 현안인 데 비해 서브프라임 모지기 부실 파문은 아직 초기 단계여서 당장 발등의 불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책의 무게 중심은 계속 과잉 유동성 흡수에 두면서 만일의 신용경색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챙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회복세를 의식하기보다는 금융시장의 불안이 초래되지 않도록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협의의 통화증가율이 안정적으로 마이너스인 것을 보면 금융기관 쪽에서 유동성 증가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주식형 펀드로 돈이 몰리는 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중소기업 대출과 주식투자를 위한 대출 등도 늘면서 유동성 팽창을 낳고 있다는 분석이다. 통화당국은 일시적 요인이 크다고 말하지만 유동성 과잉 상태가 확대되면 자산가격 거품으로 이어지고, 외부 충격에 노출될 경우 급격한 거품 붕괴에 따른 경제 불안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처럼 시중 유동성이 크게 느는 한편으로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 부실 파문에 영향 받아 주식시장은 크게 출렁이는 모습이다. 아직은 주식시장 외에는 직접적인 충격이 없지만 경우에 따라 금융시장에 신용경색이 초래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유동성 팽창을 걱정하는 한편으로 신용경색 가능성에도 대비해야 하는 복잡한 상황을 맞고 있는 것이다. 통화당국으로서도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굳이 구분하자면 과잉 유동성 문제는 당장 심각성을 드러내는 현안인 데 비해 서브프라임 모지기 부실 파문은 아직 초기 단계여서 당장 발등의 불은 아니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책의 무게 중심은 계속 과잉 유동성 흡수에 두면서 만일의 신용경색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챙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경기 회복세를 의식하기보다는 금융시장의 불안이 초래되지 않도록 상황을 예의주시하는 자세가 필요한 것 같다.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향의 눈]금융시장이 볼모가 돼선 안된다 (0) | 2008.02.08 |
---|---|
[차학봉] 아파트 지상주의의 폐해 (0) | 2008.02.08 |
[분수대] 애국심 마케팅 (0) | 2008.02.08 |
[아침햇발] 우리나라 집값은 예외일까? / 정남구 (0) | 2008.02.08 |
[디지털포럼] 국부펀드의 활성화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