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로텔레콤의 새 주인 찾기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시장에서는 벌써 SK텔레콤의 인수를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통신시장 재편 전망을 나름의 분석을 토대로 잇따라 쏟아내고 있다. SK와 KT그룹의 양강체제론이 대표적이다. KT는 이참에 ‘숙원’인 KTF와의 합병을 추진할 동력을 찾았다는 해석도 나왔다. 기존 3강의 한 축이었던 LG 3콤의 향배에도 갖가지 억측이 따라붙는다.
하지만 우리가 정작 주목하는 것은 따로 있다. 하나로텔레콤 인수합병이 국민과 정부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되짚어 봐야 한다. 하나로의 최대주주는 AIG-뉴브리지 컨소시엄이다. AIG는 국민의 정부 시절 한솔PCS를 인수해 2∼3년 만에 천문학적 이윤을 챙긴 채 KTF에 지분을 넘겨 ‘신화’를 창조한 바 있다. AIG-뉴브리지는 5억달러 정도를 투자해 40%에 가까운 하나로 지분을 사들였다. 1주당 3천200원가량이다. 중간에 감자 등을 거치면서 매입가격은 6천400원 수준으로 평가된다. 시장이 예측하고 있는 SK텔레콤의 인수가격은 1조2000억원이다.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3년여 만에 7천억원 이상을 튀기는 초대형 잭팟을 터트리게 된다. 물론 최종 인수가격은 변하겠지만 은행 M&A로 거액을 챙겨간 론스타 못지않은 수익이 기대된다. 이쯤되면 전형적인 M&A전문기업의 모습이다. 문제는 그 차액이 우리 국민의 호주머니에서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이 인수한다 해도 그 재원의 출발점은 어디까지나 소비자의 사용료다.
AIG-뉴브리지는 부실기업을 회생시켜 제값 받고 파는데 웬 딴소리냐고 항변할 수 있다. 회계 시스템 투명화, 구조조정, 신사업 발굴 등으로 클린컴퍼니화했으니 7천억원 차익도 적다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온전히 외자의 힘만으로 하나로의 기업가치가 오늘처럼 높아졌다고 판단하면 오산이다. 과점상태인 통신시장의 소비자 편익을 위해 정부는 경쟁사를 강력히 규제하는 정책을 펴왔다. 그 덕에 하나로의 회생은 가능했다. 하나로 사용자를 포함한 정부와 소비자의 역량이 투입된 결과라는 말이다. 임직원의 희생도 컸다. 경연진은 완전히 물갈이 됐고 25% 이상의 직원이 일터를 떠났다. 그럼에도 표면적으로는 그 과실이 고스란히 외자의 손으로 들어갈 것 같다.
글로벌 시대 외자의 국내 기업 경영권 참여는 당연한 일이다. 삼성전자와 포스코의 외인 지분은 50%를 훨씬 넘는다. 그럼에도 이들은 하나로와는 다르다. 경영권을 무기로 머니게임을 하지는 않는다. 회사의 가치 제고와 투자수익이라는 윈윈 게임을 벌인다. 주가 차익에 따라 툭하면 경영권이 바뀌는 기간통신사업자는 더 이상 기간사업자가 아니다. 우리는 아직도 기억한다. AIG-뉴브리지가 하나로를 인수하면서 ‘한국 통신시장의 장기발전을 위한 투자’임을 누누히 강조했던 사실을.
앞으로 또 어떤 외국 투기자본의 통신업체 M&A 시도가 있을지 모른다. 정부도 옥석을 가려야 한다. 머니게임용 자본을 외자유치로 포장할 수는 없다. 기간통신사업자에 필요한 외자는 파트너십이지 투기가 아니다. 통신시장이 외국 투기자본의 ‘대박의 추억’이 돼서는 곤란하다.
'No.1 IT 포털 ETNEWS'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지만 우리가 정작 주목하는 것은 따로 있다. 하나로텔레콤 인수합병이 국민과 정부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되짚어 봐야 한다. 하나로의 최대주주는 AIG-뉴브리지 컨소시엄이다. AIG는 국민의 정부 시절 한솔PCS를 인수해 2∼3년 만에 천문학적 이윤을 챙긴 채 KTF에 지분을 넘겨 ‘신화’를 창조한 바 있다. AIG-뉴브리지는 5억달러 정도를 투자해 40%에 가까운 하나로 지분을 사들였다. 1주당 3천200원가량이다. 중간에 감자 등을 거치면서 매입가격은 6천400원 수준으로 평가된다. 시장이 예측하고 있는 SK텔레콤의 인수가격은 1조2000억원이다.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3년여 만에 7천억원 이상을 튀기는 초대형 잭팟을 터트리게 된다. 물론 최종 인수가격은 변하겠지만 은행 M&A로 거액을 챙겨간 론스타 못지않은 수익이 기대된다. 이쯤되면 전형적인 M&A전문기업의 모습이다. 문제는 그 차액이 우리 국민의 호주머니에서 나와야 한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이 인수한다 해도 그 재원의 출발점은 어디까지나 소비자의 사용료다.
AIG-뉴브리지는 부실기업을 회생시켜 제값 받고 파는데 웬 딴소리냐고 항변할 수 있다. 회계 시스템 투명화, 구조조정, 신사업 발굴 등으로 클린컴퍼니화했으니 7천억원 차익도 적다고 말할지 모른다. 그러나 온전히 외자의 힘만으로 하나로의 기업가치가 오늘처럼 높아졌다고 판단하면 오산이다. 과점상태인 통신시장의 소비자 편익을 위해 정부는 경쟁사를 강력히 규제하는 정책을 펴왔다. 그 덕에 하나로의 회생은 가능했다. 하나로 사용자를 포함한 정부와 소비자의 역량이 투입된 결과라는 말이다. 임직원의 희생도 컸다. 경연진은 완전히 물갈이 됐고 25% 이상의 직원이 일터를 떠났다. 그럼에도 표면적으로는 그 과실이 고스란히 외자의 손으로 들어갈 것 같다.
글로벌 시대 외자의 국내 기업 경영권 참여는 당연한 일이다. 삼성전자와 포스코의 외인 지분은 50%를 훨씬 넘는다. 그럼에도 이들은 하나로와는 다르다. 경영권을 무기로 머니게임을 하지는 않는다. 회사의 가치 제고와 투자수익이라는 윈윈 게임을 벌인다. 주가 차익에 따라 툭하면 경영권이 바뀌는 기간통신사업자는 더 이상 기간사업자가 아니다. 우리는 아직도 기억한다. AIG-뉴브리지가 하나로를 인수하면서 ‘한국 통신시장의 장기발전을 위한 투자’임을 누누히 강조했던 사실을.
앞으로 또 어떤 외국 투기자본의 통신업체 M&A 시도가 있을지 모른다. 정부도 옥석을 가려야 한다. 머니게임용 자본을 외자유치로 포장할 수는 없다. 기간통신사업자에 필요한 외자는 파트너십이지 투기가 아니다. 통신시장이 외국 투기자본의 ‘대박의 추억’이 돼서는 곤란하다.
'No.1 IT 포털 ETNEWS'
Copyright ⓒ 전자신문 & 전자신문인터넷,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론] 지리학의 부활을 위하여 (0) | 2008.02.08 |
---|---|
[디지털 산책] 웰빙 재테크 (0) | 2008.02.08 |
[최광은 칼럼] ‘삼성제국’의 해체, 불가능한 상상만은 아니다 (0) | 2008.02.08 |
[한마당―김성기] 高手의 전설 (0) | 2008.02.08 |
[길섶에서] 값진 교훈/함혜리 논설위원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