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한조 우리투자증권 연구원


적립식은 특정 상품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니고 간접투자자산에 자금을 저축하는 방법이다. 일정기간 동안 일정액을 저축하거나 금액 및 기간에 상관없이 저축하는 방법하고 만기나 환매제한기간 이후에 자금을 인출하면 모두 적립식 펀드가 되는 것이다.

적립식 펀드는 투자의 세계에 처음 입문하는 사람에게 적합한 상품이다. 적립식 펀드가 유리한 이유는 정액 분할매수 방법(코스트 애버리징 방법:Cost Averaging Method)을 채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액 분할 매수방법이란 매월 일정액을 납입해 주식을 매입하는 방법으로 일시에 매입하는 방법보다 매입한 주식수가 많기 때문에 시간이 흐를수록 우월한 투자방법이다.

적립식 펀드는 분산투자, 장기투자, 정액투자의 3박자를 고루 갖춘 상품으로 다른 어떤 상품보다 먼저 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적립식 펀드로 투자대상 자산의 흐름이 어느 정도 파악이 된다면 일시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는 거치식 투자로 수익률을 더 높일 수도 있다.

적립식펀드 투자도 주의할 사항이 있다. 적립식 펀드의 열풍이 지속되긴 하지만 적립식 상품도 엄연히 투자로 인한 실적을 배당하는 `실적배당상품'이다. 따라서 투자에 수반되는 위험은 반드시 존재한다. 아무리 적립식 펀드라고 해도 짧은 기간에 몇 억을 `확실하게' 달성할 수는 없다. 주식과 같은 위험자산은 단기간에 고수익을 창출하기도 하지만 그 기간을 확정할 수가 없다.

또, 적립식 펀드가 최소한 1년 이상의 장기투자라는 점을 항상 명심해야한다. 이 말은 최소한 적립식 펀드에 투자하는 기간 동안에는 투자금액을 다른 곳에 사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다른 곳에 투자하고자 한다면 일정부분의 손해를 감수해야 할 것이다.

적립식 펀드도 실적 배당상품인 만큼 과거 운용실적이 우수한 상품을 선택하고, 이왕이면 수수료가 저렴한 펀드를 선택해야 한다. 인덱스 펀드 등 어느 정도 운용스타일이 표준화된 펀드는 펀드 수수료의 차이가 크지 않다. 시장에 널리 알려져 있는 펀드를 운용하는 데에는 크게 노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렇지만적립식 펀드의 경우에는 회사별로 수수료 차이가 발생한다. 수익률만 좋다면 수수료가 높아도 상관이 없겠지만 수익률이 비슷하다면 비용을 줄이는 것이 투자자들에게 돌아가는 이익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 모바일로 보는 디지털타임스 3553+NATE/magicⓝ/ez-i >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