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news.naver.com/image/023/2008/03/19/2008031801671_0.jpg)
창가에 팬지 침대맡에 벤저민…
'홈덱스 2008'에 참가하는 하현영씨에게 듣는 친환경 인테리어법
![](http://imgnews.naver.com/image/023/2008/03/19/2008031801671_1.jpg)
열매 식물로 우리 아이 EQ, IQ 쑥쑥!
구석에 박혀 있는 아이들 컴퓨터는 창가에 두자. 컴퓨터에서 나오는 전자파 노출을 최대한 피할 수 있고, 바깥 공기를 타고 자체 열기도 쉽게 배출된다. 침대는 벽에서 20~30㎝ 정도 떨어뜨려 놓는 게 좋다. 침대를 벽에 바짝 붙이면 아이들이 벽의 탁한 기운에 노출돼 수면 장애를 앓을 수 있다. 아이 책상은 될 수 있으면 천연목으로 만들어 나뭇결이 살아 있는 짙은 갈색 책상이 좋다. 벽지는 실크벽지 대신 합지를, 마루는 화학재료가 덜 들어간 원목마루, 합판마루, 강화마루 등 친환경 소재를 추천한다. 혹시 아이 방이 침대, 옷장, 책상 같은 가구로만 꽉 채워져 있지는 않은지 살펴보자. 아이들은 방바닥에서 자유롭게 노는 시간이 많다는 사실을 유념할 것. 다목적 가구나 수납공간을 충분히 활용해 짐을 정리하고 방안에 아이들이 놀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자.
![](http://imgnews.naver.com/image/023/2008/03/19/2008031801671_2.jpg)
숯부작 두면 잠이 스르르
가구가 많을수록 실내 오염도가 높아지고 숙면이 방해된다. 될 수 있으면 침대 외에는 가구와 가전제품을 두지 말자. 벽지는 천연소재인 갈포나 지사 등을 쓰고, 바닥은 한지 마감이나 황토바닥재를 사용하면 건강에 좋다. 화려하지 않은 소박한 질감의 꽃이나 살균소독 작용이 있는 숯부작, 작은 테라리움 같은 식물이 어울린다. 벤저민 고무나무, 아라우카리아 등 중간 크기 화분을 배치하면 방이 더 넓어보이는 효과를 볼 수 있다.
거실은 통풍과 흡착성이 뛰어난 친환경 석재를 인테리어 자재로 사용하는 게 좋다. 습도조절과 몸에 좋은 음이온을 내부로 끌어들이는 수벽이나 어항 설치도 도움이 된다. 거실에는 잎이 넓은 관엽식물이 알맞다. 공기정화기능이 있는 팔손이, 파키라가 추천 대상. 현관은 공간이 협소하고 음지이기 때문에 내음성이 강한 양치식물, 싱고니움, 안스리움, 스킨답서스 등이 효과적이다.
주방엔 허브 향기 솔솔~
가사에 따른 주부들의 피로를 덜어주는 공간 배치가 포인트. 주부 키에 맞는 싱크대를 써야한다. 싱크대를 바꿀 상황이 아니라면 주부 키에 맞춰 발판을 마련하는 방식으로 높이를 조절하자. 음식 냄새 제거에 효과적인 허브류를 통풍이 잘되는 도기류에 심어 올려두면 좋다. 때에 따라선 즉석 허브 요리에 넣을 수도 있다. 야생화나 작은 꽃을 바구니에 담아 놓거나 주방에서 쓰다 남은 작은 그릇을 재활용해 카랑코에를 심어 놓으면 봄 분위기 연출에 그만이다.
[김미리 기자 miri@chosun.com]
[☞ 모바일 조선일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 [☞ 스크린신문 다운로드]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http://imgnews.naver.com/image/023/2008/03/19/2008031801671_3.jpg)
![](http://imgnews.naver.com/image/023/2008/03/19/2008031801671_4.jpg)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아이디어 레벨업 > 아이디어발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화 약세..유학 송금도 '코스트애버리지' 전략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
윤하 日영화 주연… 상대역은 日최고배우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쇼에 나온 그 車 내년엔 탈 수 있다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유럽 부자들의 (0) | 2008.04.28 |
[송호근칼럼] 대장과 척후병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