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gnews.naver.com/image/089/2008/03/14/2008031422746279.jpg)
렌줄리(Renzulli)는 영재판별의 절대적인 척도였던 IQ외에 창의력, 과제집착력 등의 다른 요소를 포함하여 영재성을 규정했다. 여기에서 과제집착력은 어떤 과제나 특정 수행(예컨대, 달리기, 연주, 실험등)을 끈기 있게 지속하는 힘을 말하며, 창의력은 무언가 새롭고 문제 상황에 적절한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능력(스턴버그, Sternberg)을 의미한다. 다음의 인물에서 과제집착력과 창의성의 요소를 보겠다. 화가인 피카소가 남긴 175권의 드로잉 노트를 보면 형태를 변형하고 캐리커처를 그리면서 인간의 형태를 묘사하려고 무수히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으며, 과학자인 아인슈타인은 자기 마음속에서 세상을 창조하고 탐험하는 일을 즐겼으며 공간적 시각화와 상상력을 중요시하고, 자기 생각을 다양한 표상 방법을 통해 나타내는 일을 즐겼다고 한다.
다중지능이론으로 유명한 가드너(Gardner)는 인간의 지능이란 단일한 것이 아니라, 독립된 여러 가지 능력들로 이루어져있다고 주장한다. 가드너가 제시한 인간의 지능은 음악지능, 신체-운동 지능, 논리-수학 지능, 언어 지능, 공간 지능, 대인관계 지능, 자기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 등이며, 여러 가지 독립된 지능을 누구나 지니고 있다고 한다. 개인마다 지능의 정도에는 차이가 있고, 누구나 각각의 지능을 적절한 수준까지 개발시킬 수 있으며 적절한 여건(동기, 용기, 좋은 교육 등)만 있으면 비교적 높은 수준의 성취를 할 수 있다고 한다. 화가이면서 동시에 조각가, 건축가, 시인이었던 미켈란젤로와 같이 여러 가지 지능이 모두 우수할 수도 있으며 박찬호처럼 한 가지 지능이 다른 지능에 비해 우수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박찬호 선수가 신체-운동 지능만 우수하다는 것은 아니다. 그는 타자의 심리를 잘 읽어 낼 수 있는 대인관계 지능이나, 자신이 위기에 처했을 때 자신을 이해하고 통제할 수 있는 자기이해 지능, 더 나아가 자신이 던진 공의 속도와 더불어 타자가 방망이를 휘두르는 속도, 바람의 속도 등을 계산해 내는 논리-수학 지능이 남들보다 뛰어날 수 있다.
따라서 부모의 역할은 아이들에게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영재성을 키워주고, 사회 발전에 기여하는 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어느 정도의 지식과 함께 남다르게 생각하는 창의성, 자신의 능력 개발을 위해 스스로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이 미래사회가 필요로 하는 영재인 것이다.
심재영박사
<저작권자ⓒ대전일보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아이디어 레벨업 > 아이디어발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경제, 금리인하 아닌 '침체'가 '묘약']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
[IQ업! 멘사퍼즐](18)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에듀캣 1면-글로벌 영재만들기 카운트 다운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英 두살배기 ‘최연소 비아그라 복용자’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모유수유로 자란 아이들 '당뇨' 잘 안 생긴다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