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핏하면 속도위반 딱지를 발부 받는 운전자라면 자신의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해 당장 살펴볼 필요가 있을 듯하다.

다른 모든 조건이 동일한 상황에서 과속 딱지를 발부 받을 때마다 투자 실패 확률은 11% 올라간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고 뉴욕 타임스가 10일(현지시각) 보도했다.

미국재정학협회(AFA)가 발간하는 '저널 오브 파이낸스(The Journal of Finance)'에 실린 '감각 추구, 과신 그리고 투자행태(Sensation Seeking, Overconfidence and Trading Activity)'라는 제하의 보고서에서 이런 결과가 도출됐다고 타임스는 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속 운전자일수록 위험한 투자 습관을 가진 경우가 많았다. 과속 딱지를 많이 발부 받은 투자자일수록 투자 종목 회전도 빨랐다.

보고서 저자인 캘리포니아 대학의 마크 그린블란트 교수는 이런 행태를 일으키는 원인 가운데 하나가 '과신'이라고 지적했다. 과속해도 잡히지 않을 수 있다고 믿는 운전자는 주식 투자에서도 자신이 평균 이상의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고 믿는 것이다.

보고서 작성자들은 핀란드인들의 다양한 데이터를 검토해본 결과 과속 딱지와 투자 횟수 사이에 어떤 관계가 있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1997년 중반~2001년 말 헬싱키와 인근 거주민들에게 발부된 속도 위반 딱지 및 1995~2002년 핀란드 전체 가구의 투자 종목 기록을 검토해본 결과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박병희 기자 nut@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박병희

【인천=뉴시스】

인천시 남구 도화동 도화구역 도시개발사업과 관련, 금융권으로부터 토지대출을 통한 사업비 마련을 위해서는 현행 도시개발법 일부가 개정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인천시는 도시개발법에 따라 도시개발사업을 추진중에 있는 도화구역 88만1047㎡(28만6340평)에 대해 토지대출을 통한 사업비 마련을 위해서는 현재 토지 면적의 30% 이상 소유하게 돼 있는 도시개발법이 개정돼야 한다며 이를 건교부에 개정 건의할 계획이라고 11일 밝혔다.

현행 도시개발법에는 사업지구 전체 면적의 30% 이상의 토지 소유권을 확보해야만 사업 지정권자로 승인 받을 수 있으며 금융권은 사업 지정권자에게 PF(Project Financing)를 통해 토지 대출금액을 지급할 수 있다.

그러나 시는 도화구역에 전체 부지의 14%만을 확보한 상태여서 사실상 금융권으로부터 토지 대출을 통한 사업비를 마련할 수 없는 처지에 놓여있는 실정이다.

시는 이에 따라 개발사업 예정지구 가운데 전체면적의 25% 이상 토지 소유권 확보 또는 토지 사용동의 만으로도 PF대출을 받을 수 있는 택지개발촉진법과 실시계획 승인면적의 30%이상 토지 소유권 확보 또는 사용동의만으로도 PF가 가능한 경제자유구역개발 지침을 근거로 도시개발법에 대한 개정을 건의하고 나섰다.

시는 이같은 내용에 따라 도시개발법이 개정되지 않는 한 도화구역 개발사업은 사업비 마련까지 상당 기간 지연되는 것은 물론 사업추진에 큰 어려움이 뒤따를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도시개발지역에 대한 사업지정권자로 승인받기 위해서는 택지개발촉진법이나 경제자유구역개발 지침과 같이 규제가 완화돼야 할 것"이라며 "앞으로 인천지역에서 전개되는 많은 도시개발사업을 위해서라도 법 개정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한편 도화구역 개발사업은 오는 2014년까지 총 2조6188억2400만원이 투자되며 이 일대에 주거 및 상업단지, 인천전문대 재 배치사업이 전개되며 특수목적회사 (주)코로나개발이 개발사업시행자 사업을 벌이고 있다.

이영수기자 ysl0108@newsis.com

<저작권자ⓒ '한국언론 뉴스허브'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광교명품신도시 11개 특별계획구역 중 4곳에서 올 상반기 중으로 5조원이 넘는 국내 사상 최대 규모의 설계공모가 이뤄진다.

경기도시공사(사장 권재욱)는상반기 중에 광교신도시내 핵심지구인 특별설계구역중 4개지구에 대한 사업자 및 설계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실시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공모 대상지역은 비즈니스파크, 파워센터, 에듀타운, 어뮤즈파크 등 4개 지역으로 면적으로는 234만2000㎡에 달하며 공모에 의한 사업비 결정액은 최소 5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규모다.

◇총 3조 규모 16만2000㎡ 비즈니스파크 조성 = 광교신도시내 원천호수 수변에 자리 잡을 비즈니스파크는 총16만2000㎡ 규모로, 오는 5∼6월경에 사업계획서와 공급가격평가로 구성된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사업비는 최소 2∼3조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경기도시공사는 비즈니스파크를 워터프론트형 글로벌 업무복합단지로 조성해 글로벌기업이나 국내 유수기업의 본사와 지사를 유치할 계획이다.

광교신도시 비즈니스파크는 원천호수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인접한 경기도 행정타운, 컨벤션센터와 연계돼 있고 신분당선 및 서울∼용인 고속화도로와는 바로 연결되는 들어서기 때문에 최상의 비즈니스 환경을 갖추게 된다.

경기도시공사는 비즈니스파크를 지상 총 연면적 47만3380㎡에 업무시설(최대 23만6690㎡)과 복합용도의 주거시설 1,423호(평균50평형 1232가구,평균 33평형 191가구)를 건립, 광교명품신도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와 자족기능 수행할 핵심지역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파워센터 2조원 = 북쪽의 원천,신대호수를 배경으로 총12만2510㎡ 부지에 연건축면적 48만8000㎡규모로 들어설 파워센터는 백화점, 멀티플렉스, 실내테마시설, 주상복합아파트 등을 유치하여 공연, 쇼핑, 외식이 한곳에서 이뤄질 수 있도록 조성해 수도권 남부를 대표하는 복합 상업문화주거단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방식으로 추진하는 파워센터는 3∼5월 중 사업자 공모에 들어갈 예정이다. 파워센터의 사업비는 최소 2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국내 최초 에듀타운 조성 = 광교신도시는 다른 신도시와 차별화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에듀타운을 조성한다.

에듀타운은 학교내 운동장, 체육관, 도서관 등을 주민에게 개방하고,아파트단지,수영장, 테니스장은 학생들에게 개방함으로써 토지이용 및 시설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주민간 교류의 장으로 활용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열린공간,정이 흐르는 커뮤니티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광교신도시 에듀타운내에는 주택 3186가구와 초·중·고교가 각1개씩 건립된다.

경기도시공사는 상반기 중으로 관계기관과 협의를 마치고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설계공모를 실시한다.

◇175만1000㎡ 규모 어뮤즈파크 6월 현상공모 = 원천·신대 호수를 따라 175만1000㎡ 규모로 조성될 어뮤즈파크에는 카페, 소극장, 갤러리, 산택로 등이 조성된다.

모든 세대가 24시간 즐거움과 편안함,낭만을 느낄 수 있는 가족지향의 개방형 여가공간으로 조성해 세대별로 다양한 문화체험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품격있는 휴식 문화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경기도시공사는 6월에 현상공모를 통해 설계계획안을 확정한 후 사업자 및 테넌트를 유치하는 순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시공사는 세계적인 건축가를 참여시켜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중심지 상업지역)공간연계계획을 수립, 중심지역을 상호유기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광교신도시를 기존 도시와는 차별화된 세계수준의 명품도시로 만든다는 전략이다.

광교신도시내 비즈니스파크, 파워센터, 에듀타운, 어뮤즈파크 등은 광교신도시내에서도 가장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규모 또한 막대해 이들 지역에 대한 사업권 및 설계안을 획득하기 위한 건설업계의 물밑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김정수 기자 kjs@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김정수

ㆍ20% 인하효과…지자체수용 불투명

건설교통부가 분양가를 내리기 위한 방안으로 ‘조세담보금융(TIF)제도’ 도입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조세담보금융(Tax Increment Financing)제도는 택지가 조성되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가 향후 인구유입 등으로 증가할 지방세수를 감안해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통해 얻어진 자금으로 도로 및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분양가로 전액 전가되는 기반시설설치 비용을 공공부문이 일정부분 부담해 택지조성원가를 낮추겠다는 것이다.

건교부 관계자는 11일 “택지조성 원가 인하를 통한 분양가 인하의 방안으로 외국이나 학계에서 거론하고 있는 TIF가 우리나라 현실에 적용가능한 것인지 검토하기 위한 기초자료 등을 수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건교부는 지난 1월 인수위에 “연구용역을 통해 TIF 등 새로운 기법의 재원조달 방법의 적용가능성 및 실행방안 등을 올해 중 검토하겠다”고 보고한 것으로 확인됐다.

당시 건교부는 “그동안 기반시설비용의 합리적 분담방안을 연구하였으나, 재정부족 등 현실적 문제점이 상존함에 따라 새로운 방안을 강구하겠다”면서 “지자체에서 개발사업이 완료된 이후 발생하는 조세수입 등을 활용하여 재원을 마련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차기 정부가 ‘택지조성원가 인하를 통한 분양가 인하’를 국정의 중점과제로 제시함에 따라 향후 TIF에 대한 활발한 검토가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용인, 일산, 김포 등 수도권 민간택지지구에서는 기반시설 설치비용에 따른 고분양가 논란이 한창이어서 관련업계의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TIF가 분양가 인하 방안으로 검토되는 이유는 택지조성원가에 전가되는 기반시설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신도시 등 택지개발지구에 설치되는 간선도로, 철도, 상하수도의 건설비는 고스란히 택지조성원가에 포함되고 있다. 재정부족으로 수조원에 달하는 기반시설 비용을 국가가 모두 충당하기는 불가능한 데다 국민세금을 특정지역 개발에 쓸 경우 ‘수혜자 부담원칙’을 훼손하기 때문이다. 특히 주택 건설에 대한 인허가권을 가진 지방정부는 이 비용을 거의 대부분 사업시행자에게 떠넘기고, 사업자는 이를 소비자에게 부담시킴으로써 분양가는 높아지게 되고 연쇄적으로 주변 집값을 불안하게 만들고 있다.

TIF가 성공하면 택지조성원가가 최대 20% 안팎 내려 분양가도 이와 같은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한 대형 건설업체 관계자는 “분양가 상승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지자체가 주택사업자에게 과도한 기반시설비용을 부과하고 공공생활 편의시설에 대한 기부채납 요구 때문”이라면서 “TIF방식으로 기반시설 부담금을 조달할 경우 사업자와 정부, 입주민 모두 부담을 덜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사자라 할 수 있는 지방정부가 이에 어느 정도 적극적일지는 미지수여서 성공가능성을 점치기는 힘든 상태다.

채권발행은 결과적으로 지방정부의 채무증가를 의미하는데 이를 달가워할 지자체는 드물기 때문이다. 또 채권발행으로 조달한 자금 규모가 수조원에 이르는 기반시설 비용의 극히 일부에 그쳐 실효성이 떨어질 수도 있다.

〈 박재현기자 parkjh@kyunghyang.com 〉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내손안의 모바일 경향 “상상” 1223+NATE)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총 사업비 28조원 규모로 단군 이래 최대 건설사업으로 일컬어지는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드림허브프로젝트)'이 본격 착수된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을 주관할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와 용산역세권개발은 13일 서울 세종로 광화문 빌딩에서 창립기념식을 열고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을 본격적으로 추진한다고 11일 밝혔다.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는 이 사업 시행사로 삼성물산 국민연금 등 모두 27개 컨소시엄 참여회사가 자본금 1조원을 출자해 설립한 PFV(Project Financing Vehicle)다.

지분은 철도공사가 29.9%고 삼성물산 롯데관광개발 국민연금 등 민간 사업자가 70.1%다.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은 용산역사 뒤쪽에 위치한 철도정비창 터와 서부이촌동 일대 56만6800㎡(약 17만평)에 150층(620m) 높이 랜드마크 타워와 국제업무ㆍ상업ㆍ주거시설과 문화시설이 결합된 복합개발단지를 건설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로 2011년 착공해 2016년 완공될 예정이다.

[김기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구독][주소창에 '경제'를 치면 매경 뉴스가 바로!]


경제학자 147명 '기획재정부.금융위, 외환위기 불러온다'
정우성 기자
인수위 정부조직 개편안 중 경제 및 금융 분야 핵심인 '기획재정부' 개편과 '금융위원회' 신설에 대해 전국 대학의 경제, 금융 분야 교수들이 반대 의견을 분명히 했다.

11일 정동 세실레스토랑에서 경제, 금융, 경영 분야 교수들이 주최한 '올바른 경제, 금융 부처 개편을 촉구하는 전문가 공동 기자회견'이 열렸다. 이 자리에서 교수들은 "인수위의 경제, 금융부처 개편방안은 견제 받지 않는 두 공룡부처의 탄생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이는 외환위기 체제 이전으로의 회귀"라고 인수위의 조직개편안을 강하게 비판했다.

교수들은 기획재정부 개편과 관련해 "성장률을 중시하는 재정경제부와 재정건전성을 중시하는 기획예산처가 통합될 경우 상호 균형점을 찾기 어렵고 왜곡된 재정운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권한을 한 곳에 집중할 것이 아니라 잘못된 정책 판단에 의한 리스크를 최소화 할 수 있게 견제와 균형의 원리가 작동하는 체제로 개편해야한다"면서 외환위기 이전처럼 신(新)모피아의 발호 가능성에 우려를 표시했다.

모피아(Mofia)란 재무부 출신인사를 지칭하는 말로 재정경제부 (MOFE,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y)와 마피아(Mafia)의 합성어다. 이는 과거 재무부 출신인사들이 정계, 금융계 등으로 진출해 산하기관을 장악하여 무소불위의 금융 권력을 휘두른 것을 빗대어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금융위원회 신설과 관련해 "방안대로라면 금융위원회는 기존의 금융 감독 기능 외에 기존 재경부의 금융정책 기능까지 담당하게 된다"며 "정책권과 감독권은 서로 다른 영역으로 엄격히 분리"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자회견에 참석한 김홍범 경상대 경제학과 교수는 "금융 감독 정책을 관료들이 관장하면 어려운 점이 있다"며 "관료들의 투명성이 대단히 결여되어 있기 때문에 감독이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보기 어렵다"고 금감위와 금감원의 일원화와 민간기구화를 주장했다.

윤석헌 한림대 재무금융학과 교수는 "중복규제는 줄여야 한다"면서도 "금융정책과 감독 정책 및 집행 기능은 전 세계 80% 이상의 국가들이 분리하고 있다"며 금융위원회의 비대화를 비판했다.

권영준 경희대 국제경영학부 교수는 "효율성과 건전성은 고속도로에서 달리는 것과 같다"며 "시속200~300km로 달리면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사고 나면 죽는다. 효율성과 건전성은 견제와 균형이란 원리 하에서 이루어져야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공동 기자회견에는 김대식(한양대 경영학과), 강철규(서울시립대 경제학부), 김상조(한성대 무역학과), 장하성(고려대 경영학과) 등 경제, 금융 분야 학자 147명이 참여했다.

한편 국회 재정경제위원회(위원장 정의화 의원)는 11일 '금융감독기구의 설치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안'에 대한 공청회를 열었다. 이 공청회에서 이상복 서강대 법학부 교수는 "우리 법체계상 민간조직에 의한 행정행위적 업무 수행은 곤란"하다며 금융감독기구의 민간기구화를 반대했다.

반면 반대성명에 참가했던 고동원 성균관대 법학과 교수는 <민중의소리>와의 통화에서 "대통령이나 의회가 법률적 권한을 민간기구에 위임했다면 민간기구도 행정적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 대다수 행정법학자들의 의견"이라고 반박했다.
기사입력 : 2008-02-11 17:06:24
최종편집 : 2008-02-11 18:59:43
ⓒ민중의소리
'한국의 대표 진보언론 민중의소리' 민중의소리 http://www.vop.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Bank loans to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have increased 23 percent last year -- the highest record in recent five years.

The SME loan growth rate is about four times the sales growth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supporting the assumption that excessive competition among banks to increase assets has caused side effects such as financing even unproductive sectors.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disclosed Monday that bank loans to SMEs posted 371.6 trillion won last year, up 22.5 percent from the previous year, the highest record since 2003 when the financial supervisory authorities officially started to collect the relevant data.

Banks’ SME loans had increased sharply by 17.9 percent in 2003 and come to a lull for the following two years (2.4 percent in 2004 and 5.2 percent in 2005), but rebounded to 17.6 percent in 2006.

Such a large and rapid increase in SME loans (22.5 percent) is deemed to be undesirable as the increment is 4.2 times the sales increase a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during the same period (5.3 percent).

[Sun-young Park /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Korea’s No. 1 national treasure Sungnyemun -- also known as Namdaemun (literally translated as Great South Gate) -- which nearly collapsed in an arson-suspected fire on Sunday is expected to receive less than 100 million won for its fire insurance claim.

According to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n Monday, Sungnyemun was subscribed to just one fire insurance policy, which was uniformly subscribed by Seoul City for other municipal properties.

This single fire insurance is to pay 95 million won only to cover the monstrous damage done to Sungnyemun.

The insurance payment is so low because instead of being subscribed to a fire insurance of a private company, Sungnyemun is subscribed to the Korea Local Finance Association’s “Building and Facility Disaster Relief Aid,” an insurer that deals with local governments. Seoul City holds no responsibility over Sungnyemun’s maintenance but nevertheless included the cultural treasure when uniformly subscribing the Korea Local Finance Association’s fire insurance for other municipal properties in 1998.

The Korea Local Finance Association calculates insurance bill and payment depending on a building’s gross floor area. Sungnyemun’s gross floor area is 299㎡, yielding an annual insurance payout of 278 won per ㎡ that totals to 83,120 won and the insurance claim for a fire damage is 318,000 won per ㎡, accumulating to 95.08 million won.

[Dong-eun Lee /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머니투데이 김진형기자]["지속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추진..밑바탕은 인재와 기업문화"]

GE(General Electric)는 1896년 시작된 다우존스공업지수에 포함됐던 12개 기업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기업이다. GE가 이처럼 장수할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

황수 GE코리아 사장은 "지속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과 이를 뒷받침하는 훌륭한 인재·강력한 기업 문화"를 이유로 꼽았다.

황 사장은 12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열린 '신성장동력 포럼' 제4차 회의에서 발제자로 나와 "GE의 100년 성장은 지속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을 통한 과감한 사업 구조조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그 밑바탕에는 훌륭한 인재 양성과 성과 지향의 강력한 기업 문화가 자리잡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GE는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사업을 인수·합병(M&A)하는 동시에 저수익·저성장·저기술 사업을 과감히 퇴출시키면서 사업포트폴리오를 재구축해 왔다. GE는 가전제품(전구 등)과 보험 분야의 투자를 삭감하고, 의료(Healthcare), 환경·에너지(Infrastructure), 산업(Industrial), 상업금융(Commercial Finance), 소비자금융(GE Money), 미디어(NBC Universal) 등 6개 사업 분야를 집중 육성했다. 이 과정에서 지난 5년간 M&A 규모는 800억 달러, 매각한 규모는 350억 달러에 달했다.

황 사장은 또 "21세기형 성장리더의 보유·육성과 경쟁적인 대내외 환경 하에서도 반드시 성과를 만들어내는 강력한 기업문화"를 강조했다.

그는 "성과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GE의 탁월한 실행력은 환경·금융·미디어 등 다양한 사업에서 160개국 31만명 직원을 대상으로 한 통합 오퍼레이팅 시스템 때문"이라며 "중기성장목표, 연도계획, 인사조직, 준법, 그리고 최고경영진 회의체 등의 체계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리더십 미팅이 갖춰져 있다"고 설명했다.

황 사장은 이어 "글로벌 관점에서 한국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개별 사업 전략의 우위성 확보는 물론 회사 전체의 성장 전략 차원에서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검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신성장동력포럼 대표인 김윤 삼양사 회장은 "인수·합병전략(inorganic growth)과 자체성장방식(organic growth)의 혁신을 통해 고성장·고수익을 유지한 GE의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은 신사업 발굴에 골몰하는 한국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평가했다.

이윤호 전경련 부회장은 "GE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인수합병과 기존사업 성장을 전략적으로 병행해 추진하는 것이 긴요하며, GE의 성장형 글로벌 인재육성과 21세기형 학습조직 등 개방형 조직문화 형성도 신사업 포트폴리오 구성 못지않게 우리 기업에 요구되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신성장동력포럼은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미래 성장잠재력이 높은 수소연료전지 및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의 사업화 방안 등을 공동 모색키로 했다.

특히 이를 위해 신성장동력 포럼 산하에 '신재생에너지 연구회'를 설치·운영키로 하고 구체적인 운영계획은 추후에 논의하기로 하였다.

전경련 신성장동력포럼은 매달 두 번째 화요일에 정례적으로 열리며 5차 포럼은 오는 3월 11일에 '선진국의 지식·서비스 사업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개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GE 4Q 순익, 15%↑..예상 부합(상보)
☞ GE, 재생에너지 투자 배로 늘린다
☞ GE, 올해 해외매출이 국내 매출 처음 넘는다
☞ 이멜트 GE회장 "훌륭한 CEO는 변화를 주도한다"
☞ "한국 CEO들 GE를 배워라"



김진형기자 jhki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서울=뉴스와이어) 기업인들이 한 자리에 모여, GE(General Electric)의 ‘신성장동력 사업 포트폴리오전략’ 등 성장 전략과 비결을 공유하였다.

전국경제인연합회(회장 조석래)는 12일 전경련회관 20층에서, 우리 기업의 신성장동력 발굴을 통한 차세대 성장엔진 확보를 위해 기업, 연구기관, 학계, 언론계, 정부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신성장동력 포럼』(대표 : 김 윤 삼양사 회장)의 제4차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날 발제를 맡은 황 수 GE코리아 사장은 신사업 진출을 통한 GE의 성장 전략을 제시하였고, 참석한 기업인들은 GE의 100년 성장이 ‘지속적인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을 통한 과감한 사업 구조조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그 밑바탕에는 훌륭한 인재 양성과 성과 지향의 강력한 기업 문화가 자리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GE, 의료·에너지 등 신성장동력 사업 포트폴리오 구축으로 재도약

2001년 9.11사태의 극심한 경기불안 중에 취임한 제프리 이멜트(Jeffrey R. Immelt) 회장은 신성장동력 중심의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을 통해 GE의 성장궤도를 이어가고 있다. GE는 장기적으로 성장잠재력이 높은 사업을 인수·합병(M&A) 하였으며, 동시에 저수익·저성장·저기술 사업을 과감히 퇴출시킨 결과, 지난 5년간 800억 달러의 인수와 350억 달러의 매각을 통해 고성장·고수익을 내는 사업포트폴리오를 완성시켰다.

* ’02년 포트폴리오 재편 결과, GE는 수익성이 떨어진 가전제품(전구 등)과 보험 분야의 투자를 삭감하고, 의료(Healthcare), 환경·에너지(Infrastructure), 산업(Industrial), 상업금융(Commercial Finance), 소비자금융(GE Money), 미디어(NBC Universal) 등 6개 사업 분야를 집중 육성.

지속가능한 성장의 근원은 훌륭한 인재와 강력한 기업 문화

황 수 GE코리아 사장은 “GE가 1896년 시작된 다우존스공업지수(Dow Jones Industrial Average)에 포함되었던 8개 기업 중 유일하게 현존할 수 있는 이유는, 21세기형 성장리더의 보유·육성과, 경쟁적인 대내외 환경 하에서도 반드시 성과를 만들어내는 강력한 기업문화”라고 밝혔다. 특히, “성과를 실제로 만들어내는 GE의 탁월한 실행력(execution)은 환경·금융·미디어 등 다양한 사업에서 160개국 31만명 직원을 대상으로 한 통합 오퍼레이팅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이며, 중기성장목표, 연도계획, 인사조직, 준법, 그리고 최고경영진 회의체 등의 체계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오퍼레이팅 시스템과 리더십 미팅이 바로 그것“ 이라고 강조하였다.

또한 글로벌 관점에서 한국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개별 사업 전략의 우위성 확보는 물론 회사전체의 성장 전략 차원에서 기존 사업 포트폴리오를 재검토하는 노력이 시급하다고 지적하였다.

신성장동력 포럼 산하에「신재생에너지 연구회」설치·운영키로

포럼 대표인 김 윤 (주)삼양사 회장은 “인수·합병전략(inorganic growth)과 자체성장방식(organic growth)의 혁신을 통해 고성장·고수익을 유지한 GE의 사업포트폴리오 재구축 전략은 신사업 발굴에 골몰하는 한국기업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언급하였다. 이윤호 전경련 부회장은 “GE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인수합병과 기존사업 성장을 전략적으로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긴요하며, GE의 성장형 글로벌 인재육성과 21세기형 학습조직 등 개방형 조직문화 형성도 신사업 포트폴리오 구성 못지않게 우리 기업에 요구되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포럼 참석자들은 기후변화 대응은 물론 미래 성장잠재력이 높은 수소연료전지 및 태양열 등 신재생에너지의 사업화 방안 등을 공동 모색키로 하였다. 이의 실천을 위해 신성장동력 포럼 산하에「신재생에너지 연구회」를 설치·운영키로 하고, 구체적인 운영계획은 추후에 논의하기로 하였다.

* ‘05년말 현재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은 1차 에너지 소비의 2.1%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임(덴마크 13.2%, 프랑스 6.4%, 일본 3.7%)이며, 기술수준 역시 선진국의 50% 수준에 불과

이날 포럼에는 김 윤 (주)삼양사 회장, 이윤호 전경련 부회장, 최경훈 (주)LS예스코 사장, 김광섭 롯데시네마 대표, 조해형 (주)나라홀딩스 회장, 조완규 바이오산업협회 회장, 정성철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원장, 전상인 서울대 교수, 김주항 연세대 교수 등 환경·바이오·의료·실버·디자인·IT분야 전문가와 기업의 CEO 및 경영전략·기술·신사업 담당 임원 50명 등 70여 명이 참석하였다.

매달 두 번째 화요일에 정례적으로 개최되는 전경련 신성장동력포럼은 3월 11일(화)에 디자인·문화·사업서비스를 중심으로 “선진국의 지식·서비스 사업 동향과 시사점”이라는 주제로 제5차 포럼이 개최될 예정이다.

출처:전국경제인연합회

보도자료 통신사 뉴스와이어(www.newswire.co.kr) 배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