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채 등급평가 방식과 구별 위해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가 전세계적인 신용위기로 투자 리스크가 크게 부각되고 있는 모기지 구조화 채권에 대한 등급 산정 방식을 바꾸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5일 월스트리트저널이 보도했다.

저널에 따르면 무디스의 검토안은 기존의 최고 ‘AAA’에서 최저 ‘C’로 평가하던 방식을 최고 21점인 점수제로 변경하는 것이 핵심이다.

특히 모기지 채권이나 자산담보부증권(CDO) 등 구조화 채권을 회사채 등과 명백하게 구분하기 위해 등급에 ‘SF(structured finance)’라는 라벨을 붙이고, 등급을 급격히 내릴 위험이 있을 때는 경고사인도 명시키로 하는 것도 검토 중이다.

무디스가 이처럼 100년 가까이 사용해온 파생상품에 대한 평가방식을 바꾸려고 하는 이유는 주택경기침체로 인해 파생 상품의 등급이 무더기로 하향 조정되면서 미국과 유럽의 규제 당국이 비판의 강도를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무디스로서는 부채담보부증권(CDO) 등 구조화금융상품과 일반 회사채의 등급 평가 방식이 달라야 투자 리스크를 제대로 고지할 수 있다는 비판 여론을 수용한 셈이다.

무디스 이외에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S&P)나 피치 레이팅즈 등 다른 신용평가사도 아직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파생상품에 대한 평가방식을 새로 만드는 작업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훈

기자 shlee@sed.co.kr

ⓒ 한국아이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아이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설날 아침, 고사리 손을 모아 어른들께 새배를 드리고 받는 빳빳한 지폐 한장은 '돈'의 의미를 몰랐던 어린 시절에도 '저절로 기분 좋아지는' 느낌을 주었던 것은 분명하다.

아이들 세뱃돈이야 으레 부모님 손으로 들어가기 마련이지만 이왕이면 자녀들에게 저축과 재테크 습관을 길러줄 수 있는 어린이펀드에 가입시키는 것은 어떨까?

해마다 차곡차곡 모아가다 보면 저절로 장기적립식 투자 효과가 나타나 학자금이나 유학자금 등 목돈이 필요할 때 요긴하게 쓸 수 있게 된다.

자산운용협회 자료에 따르면 현재 시중에는 15개 이상의 어린이펀드가 판매·운용되고 있다.

대신투자신탁운용의 '꿈나무적립식펀드'처럼 출시된지 5년째인 상품부터 지난 해부터 시작된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우리아이친디아업종대표'까지 해마다 신규 상품이 꾸준이 출시됐다.

특히 ING자산운용의 '미래만들기주식형펀드', SH자산운용의 'Tops 엄마사랑어린이적립식펀드' 등과 같은 인기 상품은 이미 설정액만 1000억원을 넘어섰고,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우리아이3억만들기'의 경우 6000억원이 넘는 자금이 투자돼 있다.

마이다스에셋자산운용, KB자산운용, 우리CS자산운용 등 주요 운용사들이 골고루 한 개 이상의 어린이펀드를 보유하고 있는 점도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일부 자산운용사들은 운용보고서를 어린이용 만화 등으로 쉽게 제작해 보내 주거나 각종 경제교육 프로그램에 가입자들을 초청해 어린이들의 경제 교육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명절이나 신학기를 앞두고서는 어린이펀드 판매 마케팅이 확대된다.

SH자산운용은 지난 1월 말 어린이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 3박4일간의 '어린이 역사 경제 탐험대' 숙박캠프를 열고 역사탐방과 경제산업 시찰, 각종 경제게임, 미션수행 등을 진행하는 체험행사를 가졌다.

우리CS자산운용은 이달 15일까지 '우리쥬니어네어버펀드' 홈페이지(finance.naver.com/jrfund)에 교육비 마련을 위한 아빠, 엄마들의 다양하고 애틋한 재테크 아이디어를 남기면 응모자 가운데 심사를 거쳐 '우리CS차이나러시아펀드' 통장을 선물하는 행사를 열고 있다.

조인경 기자 ikjo@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조인경

The possibility that economies around the world may accompany the U.S. economy, which is assumed to have already plunged into a recession, is growing. China which was expected to prop up the world economic growth is also compelled to face a slowdown due to the worst heavy snowfall this winter.

In the G7 meeting held in Tokyo, Japan on February 9,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ers of the world’s major seven industrialized nations including France, Germany, Italy, Britain, Japa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expressed concern over the world economy facing the most uncertain circumstances ever owing to various unfavorable factors such as the sluggish U.S. housing market, soaring prices of grains and raw materials and inflation.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laid a gloomy forecast that global growth would stand at 4.1 percent this year, down 0.8 percentage points from the previous year’s 4.9 percent. Meanwhile, Morgan Stanley warned a “double dip” against the U.S. economy throughout this year that the economy would undergo consecutive recessions in the first and second quarters followed by a short-lived recovery in the third quarter and by another recession after that.

Europe is also besieged by signs of recession. The service index across the euro zone has slipped from 53.1 in December 2007 to 50.6 in January 2008 and retail sales last December in the region dropped by 2 percent against the corresponding period of the previous year.

The Bank of England has cut its benchmark rate by a quarter of a percentage point to 5.25 percent last Thursday in apprehension of falling housing prices and worries over the slowing U.S. economy.

The World Bank has lowered its forecast for China’s growth this year to 9.6 percent on February 4 from 10.8 percent laid in September 2007 and economic sentiment in Japan is also shrinking drastically.

[Sun-young Park /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It has been informally decided that Hallym University President Kim Choong-soo is to be appointed the first economic senior secretary for the new administration and Kwak Seung-joon, a professor from Korea University, as the senior secretary in charge of policy & planning. Park Jae-wan from the Grand National Party is to be named the senior secretary in charge of political affairs.

President-elect Lee Myung-bak announced nominations for the spokesperson and seven senior secretaries of the Blue House on February 10 at the transition committee’s conference room located in Samcheong of Seoul. Hallym University President Kim, who is expected to be named the economic senior secretary, has once served as president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Finance (KIPF) and president of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Lee Jong-chan, a former head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is expected to be named the senior secretary for civil affairs. As the senior secretary for education & science & culture, Grand National Party (GNP) member Lee Joo-ho is to be named. Kim Byung-kook who is a political science professor at Korea University is to be entitled the senior secretary for foreign affairs & national security.

Meanwhile, Park Mi-seok who is a child welfare professor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has been selected as the senior secretary for social policy.

Lee Dong-kwan -- the current spokesman of the transition team -- has been chosen to be in charge of public information affairs.

[Min-jeong Lee /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Nominations for the new administration’s first ministers are expected to be confirmed within the week; earlier, the nominations for the Blue House senior secretaries were released.

Park Young-joon who is the head of the secretary’s office of President-elect Lee said on February 10 that suitable candidates for ministry members are to be immediately selected once the government organization reform plan is approved.

I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s decided to be restored during negotiation with the National Assembly, the number of special ministers has been forecasted to be reduced to one -- indicating that the total number of state ministers is to be settled at 15.

Kang Man-soo, a former vice minister of finance, is likely to be named the minister of planning and finance.

Between Yoo Myung-hwan, Ambassador to Japan, and Lee Tae-sik, Ambassador to the United States, the former has been cited as the leading candidate for the foreign affairs minister. Lee Sang-heui, a former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is likely to be named the defense minister. The candidate for the education & science minister has been narrowed to Oh Se-jung -- Dean of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hoi Jae-deok, a former Vice Minister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and Chung Jong-hwan, former CEO of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KR), are names being discussed as national land development & ocean minister. Meanwhile, Lee Man-eui, a former vice minister of environment, and Won Se-hoon, former Deputy Mayor of Seoul, are competing to be named as the minister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 security.

[Min-jeong Lee /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Fears about corporate and commercial property debt reached new heights in the U.S. and Europe on Friday as investors liquidated holdings in a sign of spreading credit turmoil, the Financial Times reported.

The markets were gripped by worries that economic weakness would affect corporate profits, leveraged buy-outs and commercial property. This represents an escalation of the crisis that began with concerns about U.S. subprime mortgages.

The trading was particularly heavy in leveraged loans -- used by private equity firms to finance deals.

Mutual funds that invest in these loans have been hit with redemptions, forcing them to dump some of their holdings.

Hedge funds that bet on the likelihood of buy-out deals happening have been among the casualties. The turmoil has also put pressure on banks and other investors who are holding $200 billon (?03 billon) of leveraged loans that they had been hoping to sell.

Closely followed measures of credit risk in the U.S. and Europe peaked as investors unwound complex trades that lose money when credit deteriorates.

Europe?s Markit iTraxx index, which measures the cost of buying credit insurance against defaults by investment grade companies, hit a record 97.75 basis points. The U.S. Markit CDX index of 125 investment grade companies hit a record 133bp, up from 78bp at the start of the year.

The triple-A index of the CMBX series, which measures the performance of commercial mortgage bond deals, reached a record 235bp.

Investors sought the safety of government bonds, sending the yield on the two-year Treasury down 11bp to 1.94 percent. The S&P 500 fell 0.4 percent.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Finance leaders of the world’s top industrialized nations put on a show of solidarity on Saturday in the face of an economic slowdown and conceded that things could get even worse because of the crumbling U.S. housing market, Reuters reported.

In an announcement released after meetings in Tokyo, the Group of Seven said prospects for economic growth had worsened since they last met in October.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ers from Japan, the United States, Canada, Britain, Germany, Italy and France said that growth in their countries was expected to slow in the short term.

Debt-laden banks have curbed lending as their losses, tied primarily to souring U.S. home loans, rise above $100 billion. That has raised the specter of a vicious cycle as consumer spending slows, prompting businesses to retrench and cut jobs.

The G7 leaders urged banks to fully disclose their losses and shore up their balance sheets to help restore the normal functioning of markets.

Before Saturday’s meetings, many in Europe had privately expressed alarm over the U.S. Fed’s aggressive interest rate-cutting stance after it slashed 1.25 percentage points off of the benchmark federal funds rate in less than 10 days in January.

The monetary easing, along with a $152 billion U.S. fiscal stimulus package, threatened to open a rif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over how to prevent the credit crisis from pushing the world into a downturn.

European leaders were particularly concerned about the strength of the euro which hit a record high against the dollar after the Fed began its cutting rates in September.

With more pressing economic matters to discuss, foreign exchange issues were relegated to the back burner at Saturday’s meeting. The announcement contained similar wording as in the October statement, with a focus on encouraging China to allow its yuan currency to appreciate more quickly.

The statement also urged oil exporters to step up production after oil prices briefly topped $100 per barrel last month. It has since retreated, though it spiked up 4 percent to $91.77 on Friday -- its biggest gain in nearly two months -- amid supply snags and a looming U.S. cold spell.

[KHS]

[ⓒ Maeil Business Newspaper & mk.co.kr, All rights reserved]


[머니투데이 문성일기자][용산역세권개발회사 13일 창립식…2011년 착공]

총 사업비 28조원 규모의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본격화된다.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와 용산역세권개발㈜는 오는 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빌딩에서 창립기념식을 갖고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드림허브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기념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진영 의원, 박광석 코레일 사장, 이철 전 코레일 사장, 이상대 삼성물산 사장 등 컨소시엄 주주대표와 학계, 언론계 등 13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 시행은 모두 27개 컨소시엄 참여사가 출자한 자본금 1조원 규모의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대표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가 맡는다. PFV(Project Financing Vehicle) 방식의 이 법인 지분은 철도공사 29.9%, 롯데관광개발 15.1%, 국민연금 10%, 프루덴셜 7.7%, 삼성물산 6.4% 등의 순이다.

사업대상지 취득과 마스터플랜 수립, 각종 인·허가, 건설·분양 등 실질적인 업무는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에 위탁해 집행한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부사장 출신인 이원익 사장이 이끄는 이 회사는 삼성물산, 코레일, 롯데관광개발 등 3개사에서 파견된 전문인력 30명을 중심으로 개발·마케팅·경영관리·엔지니어링 등 4개 본부 8개 팀으로 운용된다.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은 용산역사 뒤쪽에 위치한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56만6800㎡(약 17만평) 부지에 620m 높이(152층)의 랜드마크 타워와 국제업무·상업·주거시설, 문화시설을 결합한 연면적 317만㎡(96만평) 규모의 복합개발단지를 건설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시공은 삼성물산 건설부문과 GS건설, 현대산업개발, 포스코건설, 금호산업 등이 담당한다. 푸르덴셜, 국민연금, 삼성생명, 우리은행 등이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한다. 해외에선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 개발업체인 나킬과 세계 3위의 미국 쇼핑몰업체 터브먼, 세계적 호텔운영업체인 포시즌과 만다린 등이 나선다. 드림허브 프로젝트는 오는 2011년 착공, 2016년 완공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 서울시, 용산국제업무지구 '특별건축구역' 추진(상보)
☞ 용산역세권 개발 ‘드림허브 컨소시엄’ 확정
☞ 용산 'IT+금융+관광' 복합단지로 개발



문성일기자 ssamddaq@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이데일리 윤진섭기자]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창립기념식을 갖고 개발사업을 본격화한다.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와 용산역세권개발㈜는 오는 13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광화문빌딩에서 창립기념식을 갖고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드림허브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기념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진영 의원, 박광석 코레일 사장, 이철 전 코레일 사장, 이상대 삼성물산 사장 등 컨소시엄 주주대표와 학계, 언론계 등 130여명의 관계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다.

이번 프로젝트 시행은 모두 27개 컨소시엄 참여사가 출자한 자본금 1조원 규모의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대표 김기병 롯데관광개발 회장)가 맡는다. PFV(Project Financing Vehicle) 방식의 이 법인 지분은 철도공사 29.9%, 롯데관광개발 15.1%, 국민연금 10%, 프루덴셜 7.7%, 삼성물산 6.4% 등의 순이다.

사업대상지 취득과 마스터플랜 수립, 각종 인·허가, 건설·분양 등 실질적인 업무는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에 위탁해 집행한다. 이원익 삼성물산 건설부문 부사장이 초대 사장을 맡는다.

이 사업에는 삼성물산(000830) 건설부문, GS건설(006360), 현대산업개발, 포스코건설, 금호산업 등이 시공을 담당하고, 국민연금, 삼성생명, 우리은행 등이 재무적 투자자로 참여했다.

용산역세권개발은 용산역사 뒤쪽에 위치한 철도정비창 부지와 서부이촌동 일대 56만6800㎡(약 17만평) 부지에 620m 높이(152층)의 랜드마크 타워와 국제업무·상업·주거시설, 문화시설을 결합한 연면적 317만㎡(96만평) 규모의 복합개발단지를 건설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드림허브 프로젝트는 오는 2011년 착공, 2016년 완공할 계획이다.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안방에서 만나는 가장 빠른 경제뉴스ㆍ돈이 되는 재테크정보 - 이데일리TV>




윤진섭



상반기중 사업자 및 설계자 선정을 위한 공모

- 광교신도시 핵심 4개지구, 총2,342천㎡ 대상

- 광교특별계획지구 2개지구 사업권 최소 5조원 규모

국내외 건설관련업계 물밑 경쟁 치열

올 상반기내 국내외 건설업계 마음을 설레게 할 사상 최대 규모의 공모장이 선다.

주인공은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가 시행하는 광교명품신도시내 11개 특별설계구역중 4개 지역이다.

경기도시공사(사장 권재욱)는 금년 상반기내에 광교명품신도시내 핵심지구인 특별설계구역중 4개지구에 대한 사업자 및 설계자 선정을 위한 공모를 실시한다.

이번 공모 대상지역은 비즈니스파크,파워센터,에듀타운,어뮤즈파크 등 4개 지역으로 면적으로는 2,342㎡천에 달하며 공모에 의한 사업비 결정액은 최소 5조원에 이르는 막대한 규모다.

광교신도시내 원천호수 수변에 자리 잡을 비즈니스파크는 총162천㎡ 규모로 금년 5∼6월경에 사업계획서와 공급가격평가로 구성된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을 통해 사업자를 선정할 계획이며 사업비는 최소 2∼3조원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기도시공사는 비즈니스파크를 워터프론트형 글로벌 업무복합단지로 조성하여 글로벌기업이나 국내 유수기업의 본사와 지사를 유치할 계획이다.

광교명품신도시 비즈니스파크는 원천호수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경관이 빼어날 뿐 아니라 인접한 경기도 행정타운,컨벤션센터와 연계되어 있고 신분당선 및 서울∼용인 고속화도로와는 바로 연결되는 들어서기 때문에 최상의 비즈니스 환경을 갖추게 된다.

경기도시공사는 비즈니스파크를 지상 총 연면적 473,380㎡에 업무시설(최대 236,690㎡)과 복합용도의 주거시설 1,423호(평균50평형 1,232호,평균33평형 191호)를 건립,광교명품신도시를 상징하는 랜드마크와 자족기능 수행할 핵심지역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북쪽의 원천,신대호수를 배경으로 총122,510㎡ 부지에 연건축면적 488천㎡규모로 들어설 파워센터는 백화점,멀티플렉스,실내테마시설,주상복합아파트 등을 유치하여 공연,쇼핑,외식이 한곳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성할 계획이며 남부 수도권을 대표하는 복합 상업문화주거단지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경기도시공사는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3∼5월 중 사업자를 공모할 예정이다.파워센터의 사업비는 최소 2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광교신도시를 명품되게 하는 또 하나의 존재는 에듀타운이다.

광교신도시는 국내 최초로 다른 신도시와는 다르게 교육과 주거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도시인 에듀타운(EDU-TOWN)개념을 도입해 조성된다.에듀타운은 학교내 운동장,체육관,도서관 등을 주민에게 개방하고,아파트단지,수영장,테니스장은 학생들에게 개방함으로써 토지이용 및 시설운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지역주민간 교류의 장으로 활용함으로써 학교와 지역이 소통하고 교류하는 열린공간,정이 흐르는 커뮤니티로 만든다는 개념이다.

광교신도시 에듀타운내에는 주택 3.186세대와 초.중.고교가 각1개씩 건립된다.

경기도시공사는 금년 관계기관과 협의를 마치고 금년 상반기내 민간사업자를 대상으로 설계공모를 실시할 구상이다.

원천,신대 호수를 따라 1,751천㎡ 규모로 조성될 어뮤즈파크에는 카페,소극장,갤러리,산택로 등이 조성된다. 모든 세대가 24시간 즐거움과 편안함,낭만을 느낄 수 있는 가족지향의 개방형 여가공간으로 조성하여 세대별로 다양한 문화체험과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품격있는 휴식 문화공간으로 만들 계획이다.

경기도시공사는 금년 6월에 현상공모를 통하여 설계계획안을 확정한 후 사업자 및 테넌트를 유치하는 순으로 사업을 추진 할 계획이다.

한편 경기도시공사는 세계적인 건축가를 참여시켜 CBD(CENTRAL BUSINESS DISTRICT: 중심지 상업지역)공간연계계획을 수립, 중심지역을 상호유기적으로 개발함으로써 광교신도시를 기존 도시와는 차별화된 세계수준의 명품도시로 만든다는 전략이다.

경기도시공사는 이와 같은 계획을 김문수 경기도지사에게 신년업무계획을 통해 이미 보고함으로써 사업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광교신도시내 비즈니스파크,파워센터,에듀타운,어뮤즈파크등은 광교신도시내에서도 가장 중심지역에 위치하고 있을 뿐 아니라 규모 또한 막대하여 이들 지역에 대한 사업권 및 설계안을 획득하기 위한 건설업계의 물밑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