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WriterGeni] > 좋은글&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표 달성에 노련한 사람이 되려면 (0) | 2004.05.23 |
---|---|
영업택시를 타고 사고로 부상당한 경우 손해배상청 (0) | 2004.05.21 |
두 번 다시 지나갈 수 없는 세상 (0) | 2004.05.18 |
전화코드를 빼놓아야 하는 시간 (0) | 2004.05.18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 |
|
목표 달성에 노련한 사람이 되려면 (0) | 2004.05.23 |
---|---|
영업택시를 타고 사고로 부상당한 경우 손해배상청 (0) | 2004.05.21 |
두 번 다시 지나갈 수 없는 세상 (0) | 2004.05.18 |
전화코드를 빼놓아야 하는 시간 (0) | 2004.05.18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영업택시를 타고 사고로 부상당한 경우 손해배상청 (0) | 2004.05.21 |
---|---|
내 인생의 역경지수는 얼마일까? (0) | 2004.05.19 |
전화코드를 빼놓아야 하는 시간 (0) | 2004.05.18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Digital Nomad Summary(2) (0) | 2004.05.15 |
내 인생의 역경지수는 얼마일까? (0) | 2004.05.19 |
---|---|
두 번 다시 지나갈 수 없는 세상 (0) | 2004.05.18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Digital Nomad Summary(2) (0) | 2004.05.15 |
비와 해바라기 (0) | 2004.05.15 |
두 번 다시 지나갈 수 없는 세상 (0) | 2004.05.18 |
---|---|
전화코드를 빼놓아야 하는 시간 (0) | 2004.05.18 |
Digital Nomad Summary(2) (0) | 2004.05.15 |
비와 해바라기 (0) | 2004.05.15 |
돈을 쫓아가지 말고, 새로운 일을 쫓아가라 (0) | 2004.05.15 |
미국 MIT대학에서는 최근 Oxygen project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산소같은 it'를 표방하며 사람이 산소없이 살 수 없는 것처럼 it없이 살 수
없게 만들겠다는 MIT의 의지를 나타낸 프로젝트입니다. 이것을 설명하시면서
미군이 이라크벙커에 미사일을 투하하는 데 그 미사일을 보고 한 명의 이라크인이
살기위해 도망을 치는 장면을 보여주며,,
'이 군인이 세계에서 제일 빠른 군인이다' 라고 윤부소장님은 설명하셨습니다.
즉 미사일을 피할 정도로 빠르다는 거죠. 이 것은 앞으로는 IT기술이 사람이 옷을
입는 것처럼 필수적으로 필요한 진정한 Digital 시기가 오고 있음을 알려주며,
1부에서 언급한 대로 유비쿼터스의 시대에서는 시,공간이 소멸하기 때문에
미사일을 피해 달아나는 군인처럼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는 것을
우리에게 암시해 줍니다. 즉 운동에너지 = 1/2 * m(질량) * v제곱(속도의 제급)의
식처럼,, 앞으로는 빨라야 운동에너지를 많이 낼 수 있고 그래야 살 수 있다는
의미로도 볼 수 있을 겁니다.
* 중요개념 정리 *
1. Link vs Network
: 링크는 중앙에서 정보를 집중해서 수용, 연결해 주는 핵심요인을 중심으로
여러 요소들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말하며, 다음이나 네이버 같은 포털을 통해
우리가 개별 사이트에 들어가는 것처럼 개별 사이트들을 다음이 중앙에서
집합시켜 놓은 이런 것을 '링크'로 연결되어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 [링크] = [정보의 집중] ) 입니다.
반면에 Network는 정보가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어 있는 형태로 소리바다를
생각하면 됩니다. 즉 포털사이트처럼 정보가 집중되지 않고,, 개별 주체들간에
연결을 중재하는 '복덕방'같은 연결만 해주는 고리가 있다면 그 다음부터는
정보가 자유로이 이동하고 특정 요인에 집중되어 있지 않습니다. 여기서의 핵심은
( [네트워크] = [정보의 분산 ] ) 입니다.
이런 네트워크가 이루어 낸 것 중에 하나가 Synergo - cosm입니다.
2. Cyber Space (붕괴의 법칙) : Coase's law(코즈의 법칙)
==> 조직의 규모는 '거래비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코즈의 법칙입니다.
극단적으로 이야기해서 거래비용이 0이면, 조직은 소멸하게 되고,, 이 단계에서는
국가나 기업, 군대도 필요없게됩니다. 개인이 거래해도 거래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비용이 지출되는 조직이 필요없게 된다는 것이죠. 실제로 사이버 공간으로
거래비용이 줄어드는 사례를 들자면 '인터넷 뱅킹'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인터넷 뱅킹을 통해 지점의 번잡함과 지점인력,지점수등 많은 비용지출
을 줄 일 수 있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3. Container vs Content
: 어떤 학자는 세상은 container와 content로 모두 구별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컨테이너는 형식,틀이라는 의미이고 컨텐츠는 내용,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물컵은 컨테이너이고 물은 컨텐츠입니다. 또 전화기가 컨테이너라면
통화내역은 컨텐츠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1세기의 큰 화두
'Communication'입니다. 즉 컨텐츠부분이 매우 중요해지고,, 의사소통을 잘
이끌 수 있는 컨테이너가 21세기에서 매우 중요해 질 것입니다.
그럼 '컨텐츠'는 왜 중요해 지는 걸까요?
4. Logic vs Feeling
: 디지털 기술의 진화로 이제 Logic(간단히 말해서 자료같은 것) 은 DB가 담당하
게 되었습니다. 이것은 복제도 가능하죠. 하지만 Feeling(감성)은 복제가 불가능
합니다. 앞으로 포스트 모더니즘(60 ~ 90년대 사회를 흔히 모던 사회라고 하며,
tv와 전화가 주종이던 사회이다. 포스트 모던사회는 컴퓨터,인터넷,휴대폰등이
일상화되고 이성보다 감성이, 물건의 효용보다 이미지가, 진지함보다는 가벼움이
강조되는 사회라고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는 사회이다.)사회에서는 Contents와
feeling이 부가가치의 원천이 되므로 매우 중요해 지게되며, Contents와 feeling의
핵심은 Creativity & Difference입니다. 즉 창조성과 다양성이 중요해 지게 됩니다.
1 ~ 4를 정리하면, 앞으로의 digital 사회에서 중요한 concept은 개성과 차이,
아웃소싱,협력과 전략적 제휴, m & a, 지식창조, 전략적 사고등이 중요시 될 것
입니다.
==> 마지막으로 정주민과 유목민,,, 징기스칸이 21세기 사회에 교훈을 주는 점을
조명하고 우리나라 사람들의 성격과 어떻게 앞으로의 사회를 보아야 하는 가?
등에 대한 내용이 남아있습니다. 이것은 3편에 마무리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전화코드를 빼놓아야 하는 시간 (0) | 2004.05.18 |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비와 해바라기 (0) | 2004.05.15 |
돈을 쫓아가지 말고, 새로운 일을 쫓아가라 (0) | 2004.05.15 |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내 마음은 나도 모르게 구름속으로 달려가고 있어요.
무엇인가에 씻겨져 잊고 싶은 추억들을 보고 싶어
내 마음은 비를 거슬러 올라가는 한 마리 연어가 됩니다.
그대는 나를 비처럼 잊으셨지만
내 마음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 하늘위로 올라가네요.
사랑하는 이여~
그대는 빗방울에 묻혀 흘러가는 물줄기처럼 저멀리 떠나가셨지만
나의 마음은 빗방울을 머금고 자라나는 한 송이 해바라기입니다.
- 2004. 5. 15 the september song of a boy를 들으며 (Yuichi watanabe)
비내리는 어느 날 오후 6 : 12 에 geni씀 -
자신의 인생을 방치하는 한... (0) | 2004.05.18 |
---|---|
Digital Nomad Summary(2) (0) | 2004.05.15 |
돈을 쫓아가지 말고, 새로운 일을 쫓아가라 (0) | 2004.05.15 |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Actions vs Word (0) | 2004.05.15 |
Digital Nomad Summary(2) (0) | 2004.05.15 |
---|---|
비와 해바라기 (0) | 2004.05.15 |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Actions vs Word (0) | 2004.05.15 |
Digital Nomad- Seri 윤순봉 부소장님 세미나 요약(1) (0) | 2004.05.15 |
비와 해바라기 (0) | 2004.05.15 |
---|---|
돈을 쫓아가지 말고, 새로운 일을 쫓아가라 (0) | 2004.05.15 |
Actions vs Word (0) | 2004.05.15 |
Digital Nomad- Seri 윤순봉 부소장님 세미나 요약(1) (0) | 2004.05.15 |
어떤 일도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0) | 2004.05.13 |
Actions, not words, are the greatest means of self-praise. 말이 아니라 행동은 자기 자랑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
돈을 쫓아가지 말고, 새로운 일을 쫓아가라 (0) | 2004.05.15 |
---|---|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Digital Nomad- Seri 윤순봉 부소장님 세미나 요약(1) (0) | 2004.05.15 |
어떤 일도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0) | 2004.05.13 |
성공의 경험 (0) | 2004.05.13 |
이번에 윤 순봉 삼성경제연구소 부소장님이 Digital nomad(디지털 유목민)이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하셨습니다. 안 오신 분들을 위해서 요약해서 서머리를
올립니다.
문맥에 맞도록 약간의 각색을 하였으니 이해해주세요.^^;
1)서론 : 21세기 사회는 '한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사회'이다. 영화 스파이더맨을
제작했을 때 예고편에는 월드센타를 중심으로 촬영했었지만 개봉시에는 9.11테러
로 월드센터는 없어졌다. 현대사회는 이처럼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고, 찰스
다윈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을 종족은 변화에 적응할 줄 아는 종족'
이라고 하였다. 21세기 변화의 시대를 맞아 우리는 그럼 어떻게 이것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2)본론1 : 21세기의 프랙탈 구조 - '소속연계'
==> '소속연계'는 작고 빠르고, 연결되고 오픈된 마인드'를 가지는 것이다.
과거 '징기스칸'은 지금보다 700여년전에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땅을 정복한 정복자였으며, '징기스칸'은 워싱턴 포스트(?)에서 가장
21세기에 영향을 끼치는 위인중의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 이유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큰 대륙의 정복자였으며, 세계 최초로 Global communication
Network를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그가 정복한 땅은 나폴레옹,알렉산더,
히틀러등이 차지한 땅보다 3 ~ 5 배 넓은 지역을 차지하였고, 지배하였을 때는
이라크처럼 치안이 불안한 것이 아닌 평화롭게 지배를 하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였을까?
1)'징기스칸'의 리더쉽
: 징기스칸의 리더쉽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Envision(비전제시)
(2) Enable(비전수행능력)
(3) Energize(활성화)
(4)Empower(권한이양)
==> 큰 뜻을 제시하였고, 강한 훈련으로 비전수행능력을 키웠으며 능력을 더 높게
끌어준 후에는 능력이 있는 자에게는 신분을 따지지 않고 권한을 이양해 주었다.
2) '징기스칸'으로부터 배우는 '소속연계'
(1) '작다'
: '징기스칸'의 군사들은 동서양에 이르는 막대한 원정을 어떻게 할 수 있었을까?
일단 무거운 장비들을 없애고, 최대한 가볍게 하고 말을 통해 기동성을
극대화시켰다. 그들은 정복한 땅이 넓어 식량을 운송해도 몽골에서 동유럽까지
빨리잡아도 100일이 걸리기 때문에, 현지에서 식량을 얻어야만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보르츠'였다. '보르츠'는 주된 식량으로 가축를 잡아 '육포'로 말린
후 빻아서 가루로 만들은 것으로 소의 방광에 넣어 다닌 것으로 소 한마리가
방광2개에 들어갈 정도였고, 이는 1인당 8 ~ 10 개월간 식량이었다. 이들은
이외에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스피드를 살릴 수 있었다.
(2) '빠르다'
: '징기스칸'의 큰 아들 주치가 해외에서 죽었을 때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4,000km를 달려야 했다. 4,000km를 단 열흘만에 주파하여 이 사실을 알릴 수
있었는 데 어떻해야 가능하였을까?
'징기스칸'은 역참,역전 제도를 두었는 데 이는 몇 km마다 역참을 두고 중요한
정보가 있을 때 릴레이하며 정보를 전달하였다. 이 때 정보를 전달하는 자를
'파발'이라고 하였고, '파발'의 통행증은 '패자'라 하였으며 '패자'를 지닌 자는
자신의 앞을 가로막는 사람이 있으면 ' 목숨을 취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다.
이는 그만큼 '징기스칸'이 정보의 중요성을 일치감치 알고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원래 유목민의 첫 인사는 '별 일 없습니까?'라고 한다. 그만큼 항상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모르는 곳이 '초원'의 삶이기 때문에 정보를 물음으로써
위험에 대비 하려는 것에서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유목민은 정보에
빠르게 대응하는 집단이었다.
(3) '연결되어 있다'
: '징기스칸'은 아래 '천호장'.'백호장'등의 직위를 두어 세분화하여 지배를 하였고,
이들간에는 서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다.
(4) 'Open Mind'
: '징기스칸'은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두어 신분을 가리지 않고 능력에 따라
사람을 뽑았다.또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였으며, 중요한 손님에게는 '아내'를
허락할 정도로 개방적이었는 데 이는 생존을 위한 선택이다. 왜냐 하면
인류생존의 비밀은 '다양성'이라고도 볼 수 있는 데, 난자가 정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정자'의 염색체를 분석해서 자신과 가장 다른 것을 선택하게 된다.
즉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살아남기 위한 본능에 기초한 것이라는
이야기다. 또한 자신의 기술에 자만하지 않고 외부의 기술을 잘 받아들였다.
'징기스칸'의 군대가 어떤 땅을 정복하면 가장 먼저 적군의 기술자를 챙겼고
이는 곳 징기스칸 부대의 기술발전으로 이어졌다. 징기스칸은 작고,빠르고,
연결되고,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임으로써 광활한 제국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본론2 : '21세기'의 Digital 사회의 변화와 Korea's Nomad
: 가상공간(Cyber space)은 다음과 같이 진화하였다.
Node(점) --> Link(선) --> Network(면) --> Space(공간)
(1)초기단계 : Moore's law
==> 무어는 정보처리 및 보관능력이 18개월마다 2배로 증가하나 가격은 동일할
것으로 예측하였고, 실제로 이는 현재까지 거의 맞아 떨어졌다) 삼성전자의
통합사장은 지금 16기가에 해당하는 것을 들고 다닌다. 이는 정보처리보관능력
이 얼마나 커졌는지 알려준다.
(2) Micro - cosm : '작은 것이 부가가치가 높고 강하다'(talked ny 조지 길드)
(3)Ubiquitous의 도래
: 조지 길드는 그의 책 Tele-cosm에서 앞으로는 거리와 시간의 개념이 소멸하고
언제 어느때나 어떤 상황에서든 연결이 이루어지는 'Ubiquitous' world'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보았다.
Any - X, Anywhere, Anytime,,,,,,,, 등 Any-X 로 통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보았다.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
Actions vs Word (0) | 2004.05.15 |
어떤 일도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0) | 2004.05.13 |
성공의 경험 (0) | 2004.05.13 |
인생과 인격 (0) | 200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