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윤 순봉 삼성경제연구소 부소장님이 Digital nomad(디지털 유목민)이라는
제목으로 특강을 하셨습니다. 안 오신 분들을 위해서 요약해서 서머리를
올립니다.
문맥에 맞도록 약간의 각색을 하였으니 이해해주세요.^^;
1)서론 : 21세기 사회는 '한치 앞도 내다 볼 수 없는 사회'이다. 영화 스파이더맨을
제작했을 때 예고편에는 월드센타를 중심으로 촬영했었지만 개봉시에는 9.11테러
로 월드센터는 없어졌다. 현대사회는 이처럼 급속한 변화를 보이고 있고, 찰스
다윈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 살아남을 종족은 변화에 적응할 줄 아는 종족'
이라고 하였다. 21세기 변화의 시대를 맞아 우리는 그럼 어떻게 이것을
받아들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
2)본론1 : 21세기의 프랙탈 구조 - '소속연계'
==> '소속연계'는 작고 빠르고, 연결되고 오픈된 마인드'를 가지는 것이다.
과거 '징기스칸'은 지금보다 700여년전에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세계에서 가장
넓은 땅을 정복한 정복자였으며, '징기스칸'은 워싱턴 포스트(?)에서 가장
21세기에 영향을 끼치는 위인중의 한 명으로 선정되었다. 그 이유는 동서양을
가로지르는 큰 대륙의 정복자였으며, 세계 최초로 Global communication
Network를 구성하였기 때문이다. 그가 정복한 땅은 나폴레옹,알렉산더,
히틀러등이 차지한 땅보다 3 ~ 5 배 넓은 지역을 차지하였고, 지배하였을 때는
이라크처럼 치안이 불안한 것이 아닌 평화롭게 지배를 하였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것이 가능하였을까?
1)'징기스칸'의 리더쉽
: 징기스칸의 리더쉽은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1) Envision(비전제시)
(2) Enable(비전수행능력)
(3) Energize(활성화)
(4)Empower(권한이양)
==> 큰 뜻을 제시하였고, 강한 훈련으로 비전수행능력을 키웠으며 능력을 더 높게
끌어준 후에는 능력이 있는 자에게는 신분을 따지지 않고 권한을 이양해 주었다.
2) '징기스칸'으로부터 배우는 '소속연계'
(1) '작다'
: '징기스칸'의 군사들은 동서양에 이르는 막대한 원정을 어떻게 할 수 있었을까?
일단 무거운 장비들을 없애고, 최대한 가볍게 하고 말을 통해 기동성을
극대화시켰다. 그들은 정복한 땅이 넓어 식량을 운송해도 몽골에서 동유럽까지
빨리잡아도 100일이 걸리기 때문에, 현지에서 식량을 얻어야만 했다.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 '보르츠'였다. '보르츠'는 주된 식량으로 가축를 잡아 '육포'로 말린
후 빻아서 가루로 만들은 것으로 소의 방광에 넣어 다닌 것으로 소 한마리가
방광2개에 들어갈 정도였고, 이는 1인당 8 ~ 10 개월간 식량이었다. 이들은
이외에도 최대한 작게 함으로써 스피드를 살릴 수 있었다.
(2) '빠르다'
: '징기스칸'의 큰 아들 주치가 해외에서 죽었을 때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4,000km를 달려야 했다. 4,000km를 단 열흘만에 주파하여 이 사실을 알릴 수
있었는 데 어떻해야 가능하였을까?
'징기스칸'은 역참,역전 제도를 두었는 데 이는 몇 km마다 역참을 두고 중요한
정보가 있을 때 릴레이하며 정보를 전달하였다. 이 때 정보를 전달하는 자를
'파발'이라고 하였고, '파발'의 통행증은 '패자'라 하였으며 '패자'를 지닌 자는
자신의 앞을 가로막는 사람이 있으면 ' 목숨을 취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졌다.
이는 그만큼 '징기스칸'이 정보의 중요성을 일치감치 알고 있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원래 유목민의 첫 인사는 '별 일 없습니까?'라고 한다. 그만큼 항상
무슨 일이 일어날 지 모르는 곳이 '초원'의 삶이기 때문에 정보를 물음으로써
위험에 대비 하려는 것에서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유목민은 정보에
빠르게 대응하는 집단이었다.
(3) '연결되어 있다'
: '징기스칸'은 아래 '천호장'.'백호장'등의 직위를 두어 세분화하여 지배를 하였고,
이들간에는 서로 밀접히 연결되어 있었다.
(4) 'Open Mind'
: '징기스칸'은 능력주의 인사제도를 두어 신분을 가리지 않고 능력에 따라
사람을 뽑았다.또한 종교의 자유를 보장하였으며, 중요한 손님에게는 '아내'를
허락할 정도로 개방적이었는 데 이는 생존을 위한 선택이다. 왜냐 하면
인류생존의 비밀은 '다양성'이라고도 볼 수 있는 데, 난자가 정자를 선택하는
기준은 '정자'의 염색체를 분석해서 자신과 가장 다른 것을 선택하게 된다.
즉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야말로 살아남기 위한 본능에 기초한 것이라는
이야기다. 또한 자신의 기술에 자만하지 않고 외부의 기술을 잘 받아들였다.
'징기스칸'의 군대가 어떤 땅을 정복하면 가장 먼저 적군의 기술자를 챙겼고
이는 곳 징기스칸 부대의 기술발전으로 이어졌다. 징기스칸은 작고,빠르고,
연결되고,새로운 것을 잘 받아들임으로써 광활한 제국을 이룩할 수
있었던 것이다.
3) 본론2 : '21세기'의 Digital 사회의 변화와 Korea's Nomad
: 가상공간(Cyber space)은 다음과 같이 진화하였다.
Node(점) --> Link(선) --> Network(면) --> Space(공간)
(1)초기단계 : Moore's law
==> 무어는 정보처리 및 보관능력이 18개월마다 2배로 증가하나 가격은 동일할
것으로 예측하였고, 실제로 이는 현재까지 거의 맞아 떨어졌다) 삼성전자의
통합사장은 지금 16기가에 해당하는 것을 들고 다닌다. 이는 정보처리보관능력
이 얼마나 커졌는지 알려준다.
(2) Micro - cosm : '작은 것이 부가가치가 높고 강하다'(talked ny 조지 길드)
(3)Ubiquitous의 도래
: 조지 길드는 그의 책 Tele-cosm에서 앞으로는 거리와 시간의 개념이 소멸하고
언제 어느때나 어떤 상황에서든 연결이 이루어지는 'Ubiquitous' world'가 이루어
질 것이라고 보았다.
Any - X, Anywhere, Anytime,,,,,,,, 등 Any-X 로 통하는 사회가 도래할 것으로
보았다.
'[WriterGeni] > 좋은글&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관리에서의 일석이조 (0) | 2004.05.15 |
---|---|
Actions vs Word (0) | 2004.05.15 |
어떤 일도 저절로 생기지 않는다 (0) | 2004.05.13 |
성공의 경험 (0) | 2004.05.13 |
인생과 인격 (0) | 2004.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