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日증시, 1% 이상 하락…올림푸스 14% 급락
- 中·홍콩증시, 전일 과매수로 조정
- 대만·베트남 증시 설 연휴로 휴장

[이데일리 임현옥기자] 5일 아시아 주요 증시는 일제히 하락했다.

일본 증시는 수출주, 은행주 중심으로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일 큰 폭으로 상승했던 중국 증시도 이날 조정을 받고 있는 모습이다. 홍콩 증시는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함에 영향을 받아 하락했다. 전일 홍콩 증시의 상승으로 매수세가 몰린 것이 이날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대만과 베트남 증시는 이날 설 연휴로 휴장했다.

일본 증시는 1% 이상 하락했다. 닛케이 225 지수는 전일 대비 1.2% 떨어진 1만3688.01로 오전장을 마쳤다. 토픽스 지수는 1.1% 밀린 1349.63을 기록했다.

올림푸스가 실적 하향 전망에 따라 13.9% 급락한 것이 일본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했다.

캐논이 2.2% 하락했으며 마쓰시타 전기가 0.4% 떨어졌다.

일본 최대 은행인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그룹은 2.5% 밀렸으며 2위 은행인 미즈호 파이낸셜도 2.6% 떨어졌다.

도요타 자동차와 혼다도 각각 2.4%, 2.6% 하락했다.

전일 8% 이상 급등했던 중국 증시는 상당폭 하락했다. 한국시간 오전 11시39분 현재 상하이 종합지수는 1.7% 떨어진 4595.00을 나타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들이 거래하는 상하이 B 지수는 0.5% 떨어진 317.79을 기록 중이다.

홍콩 증시는 하락 출발했다. 항셍 지수는 1.5% 떨어진 2만4667.65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의 해외펀드 자금이 가장 많이 몰려있는 H 지수는 1.4% 하락한 1만3923.10을 나타내고 있다.

모노라인(채권보험사)의 신용 등급이 하향돼 세계 경제가 휘청거릴 것이라는 전망이 홍콩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전일 과매수세가 이날은 부담이 되고 있다.

풀브라이트 증권의 프랜시스 런 매니저는 로이터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시장은 과매수 상태며 전날 상승은 근거가 없다"고 설명했다.

중국인수보험(차이나라이프)이 1.7% 떨어졌다.

이밖에 싱가포르 스트레이츠 타임스(ST) 지수 0.7% 하락한 3056.12를 기록 중이다.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안방에서 만나는 가장 빠른 경제뉴스ㆍ돈이 되는 재테크정보 - 이데일리TV>




임현옥
[머니투데이 이학렬기자][우리투자證 "올해 전략전 변화 원년될 것"]

"국내 은행산업은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 다각화와 해외진출이 필요하다."

백동호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5일 여의도 증권선물거래소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은행업종은 과거와 달리 순이자마진 희생이 없는 고성장이 어려운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적 해법은 비은행으로의 다각화와 해외 진출 뿐"이라고 덧붙였다.

백 애널리스트는 올해 국내 은행들이 본격적으로 전략적 변화를 시작할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은행주 주가는 상대적으로 부진했다. 해외 영향도 있었지만 주된 이유는 머니 무브 현상과 장기 성장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은행업종은 지난해와 올해 주가수익배율(PER)이 정체를 보이고 있다. 주당순이익(EPS) 증가가 없기 때문이다.

지난해 예금 증가분은 마이너스를 기록한 반면 주식형펀드와 CMA계좌잔액은 크게 증가했다. 머니부브는 은행의 조달 구조를 악화시킬 수 밖에 없다. 저원가성 예금 비중이 줄고 5%에 달하는 시장성 예금과 금융채 비중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백 애널리스트는 "미국 등 선진국과 비교할 때 머니무브 현상은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장기적 추세"라며 "은행업종이 저성장 국면에 진입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지난해 신한지주와 국민은행 주가는 차별화된 움직임을 보였다. 이는 신한지주가 국민은행과 달리 증권사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백 애널리스트는 "신한지주는 2000년이후 굿모닝신한증권, 조흥은행, LG카드 등과 M&A에 성공하면서 꾸준히 변했으나 국민은행은 큰 변화가 없었다"며 차별화 요인으로 M&A를 통한 다각화를 꼽았다.

해외 진출 역시 저성장 국면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이다. 백 애널리스트는 국민은행이 카자흐스탄의 센터크레디트은행을 인수한 것에 대해 "자산의 성장률과 장기 성장 가능성을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필요한 행보였다"고 평가했다.


[관련기사]
☞ 은행-증권은 악어-악어새?



이학렬기자 tootsie@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서명훈기자][작년 은행 수익 15조원 돌파... 수익창출 능력 '악화']

지난해 주식시장 호황과 펀드 열풍에 힘입어 국내 은행들의 비이자이익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은행의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대비 10.6% 늘어난 15조170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LG카드 등 출자전환주식 매각이익을 제외할 경우 당기순이익과 수익성 모두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1조4439억원 증가한 15조17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LG카드와 SK네트웍스 등 출자전환주식 매각이익이 3조4000억원(세후 기준) 발생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출자전환주식 매각이익을 제외할 경우 당기순이익은 11조7000억원으로 전년도 12조원에 비해 3000억원 감소했다.

부문별로는 주식시장 호황과 펀드 열풍에 힘입어 비이자이익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은행이 주식과 채권에 투자해 벌어들인 유가증권 이익은 6조3854억원으로 전년대비 72.3% 급증했다. 또한 펀드와 방카쉬랑스 판매에 따른 대리사무취급수수료 역시 2조8222억원으로 39.9% 늘어났다. 이에 따라 은행의 비이자이익은 10조7901억원으로 45.1% 증가했다.

반면 송금과 현금자동지급기(ATM) 이용수수료 등 개인고객에게서 받은 수수료는 7019억원으로 9.6% 감소했다.

또한 은행의 이자이익은 31조2000억원으로 1조7000억원(5.8%) 증가했으며, 은행의 수익성(ROA) 역시 1.10%로 지난해 1.13%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이같은 화려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속내를 들여다보면 얘기는 달라진다. 출자전환주식 매각이익을 제외한 수익성은 0.85%로 전년대비 0.15%포인트 감소했다. 또 본질적인 수익창출능력을 나타내는 구조적이익률 역시 1.37%로 0.13%포인트 하락했다.

김대평 금감원 부원장은 “은행간 경쟁이 심화되고 저원가성 예금비중이 낮아지면서 순이자마진(NIM)이 감소했다”며 “수익창출능력을 나타내는 핵심지표들은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내부유보 확충 등을 통해 은행의 경영 건전성을 높이고 장기·안정적 성장기반을 다져나갈 수 있도록 경영다각화를 유도해 나가기로 했다.
[관련기사]
☞ 은행권, '순이자마진(NIM)' 돌아 오나
☞ 설 앞두고 은행·증권 "펀드고객님아~"
☞ 국민은행장 "순이자마진↓ 어느정도 잡혔다"



서명훈기자 mhsuh@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서울=연합뉴스) 김문성 기자 = 지난해 국내 은행들이 사상 최대의 순이익을 냈지만 출자전환 주식의 매각 이익을 제외하면 순이익 규모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은행들이 대출 확대 등 외형 경쟁에 치중하면서 수익성은 악화된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18개 은행의 순이익은 15조170억원으로 전년보다 10.6%(1조4천439억원) 증가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5일 밝혔다.

여기에는 3조4천억원에 이르는 LG카드 등 출자전환 주식의 매각 이익이 포함된 것으로, 이를 제외한 순이익은 11조6천542억원으로 3.2%(3천864억원) 감소했다.

이자 이익은 31조1천858억원으로 5.8% 늘어나는데 그쳤지만 비이자 이익은 펀드와 방카슈랑스 판매 수수료에 힘입어 10조7천901억원으로 45.1% 급증했다.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10%로 2006년 1.13%보다 떨어졌으며 출자전환 주식의 매각 이익을 제외하면 0.85%에 불과했다.

은행의 본질적인 수익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구조적 이익률은 1.37%로 0.13%포인트 하락했고 순이자마진(NIM)은 2.45%로 0.19%포인트 떨어졌다.

구조적 이익률의 경우 2004년 1.79%에서 2005년 1.63%, 2006년 1.50%로 계속 하락하고 있다.

이는 총자산 100억달러 이상인 미국 상업은행(작년 3.4분기 누적 기준)의 ROA 1.17%, 구조적 이익률 1.72%, NIM 3.20%에 못미치는 수준이다.

국내 은행들이 저원가성 예금이 줄어드는 가운데 비용이 많이 드는 양도성 예금증서(CD)와 은행채 를 대거 발행하면서 외형 경쟁을 벌인 것이 수익성 악화의 주범으로 지목됐다.

금감원 김대평 부원장은 "은행들의 수익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핵심 지표들이 부진한 모습"이라며 "내부 유보의 확충, 경영 다각화 등을 통해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다질 수 있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kms1234@yna.co.kr

(끝)

주소창에 '속보'치고 연합뉴스 속보 바로 확인

<모바일로 보는 연합뉴스 7070+Nate/magicⓝ/show/ez-i>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그게말이죠..

 

지금 꿈이  펀드 매니저입니다.

 

공부는 꽤 상위권이구요.

 

다만 못하는게있다면 영어입니다. 영어는 지금 확실하게 공부하고있구요.

 

근데 저희집 사정이 많이안좋아요. ...........

 

근데 펀드매니저하면 유학도가야한다구들엇어요

 

 

 

 

 

 

 

1. 펀드매니저 한달 월급은 얼마정도하나요 ? 초기월금 ~많은월급

 

 

2. 펀드매니저가 될려면 어떻게 하면될까요?

 

 

3. 펀드매니저라는 게 정확하게 말하는게 뭐입니까?

 

 

 

 

 

 

 

 

내공 많이걸께요 ㅎㅎㅎ

제가 직업을 빨리알구싶어서.ㅎㅎ

지인의 추천으로 열린사이버대학을 진학하려고 하는데요.

지금 세무사사무실에서 근무중입니다.

금융자산관리학과에 관심이 있는데요.

졸업후 취득할수 있는 자격증이 무엇무엇이 있나요?

그리고 직장인에게 등록금 혜택이 있나요?

펀드 매니저나 금융에 관련된 직종을 가지려면 자격증을 따야되잖아요.

그런 자격증은 어떤것이 있는지 궁금하고요.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
증권분석사
는 어디서 따야 하는건가요?

그분야의 학원을 다녀야 되겠죠?

상세히 답변 해주시기 바랍니다!

 

 

은행원이 정말 되고싶거든요 ㅠㅠ

근데 어떻게 되는지 어느대학가야되는지 잘모르겠구요

전 이과를 가려고하는데요

국어가싫어서 문과가기싫어요 ㅜㅜ

근데 은행원이 될라면 이과가도 되나여?

그리고 자격증은 머머필요한가요?ㅜㅜ

안녕하세요 저는 그냥 평범한40대가장입니다 증권에 관심이잇어서 공부를 하고 싶은데 증궈관련자격증 좀 가르케주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와우패스입니다 ^ ^

 

증권관련자격증에는 여러가지가 있답니다.

 

증권업협회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는...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증권FP), 재무위험관리사(FRM)이 있고요

 

금융연수원에서 주관하는 시험으로는 자산관리사 (은행FP)

 

자산운용협회에서 주관하는 일반운용전문인력(RFM) 이 있답니다.

 

만약 증권에 관심이 있으셔서 공부를 하고 싶으시다면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이 두가지 정도를 추천합니다.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같은경우는 하루에 3~4시간씩 공부하실 경우

2~3달 정도면 취득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 ^

 

더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와우패스 홈페이지를 이용하시거나

쪽지 보내주세요~

 

 

와우패스홈페이지

증권회사에 취직을 원하는 학생입니다...
그런데 증권회사 취직시 남녀 차별이 있나요??
여자는 안 뽑아주나요??
그런 거 없지 않나요??
관련 자격증에 어떤 것들이 있나요??
근데 선물거래 상담사는 관련된 거 맞죠??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