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출원비용 지원사업 공고(~5월 20일)

 



특허와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의 해외출원비용을 지원하는 

2014년 제1차 해외출원비용 지원사업 공고가 나왔습니다.

국내 지식재산권은 있지만 해외출원비용이 부족해서 아이디어 보호를 받기 어려우시다면

이번 지원제도를 통해 도움을 받아보세요~!


상세내용은 첨부파일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접수하실 분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면 됩니다.(☞신청하기)



제1차 해외출원비용지원사업 공고







첨부파일 2014년_해외출원비용지원_사업공고.hwp






 제5회 동부 금융제안 공모전 안내(~2014.06.30)

 



금융분야의 아이디어공모전입니다.

대학생 및 대학원생이 참여가능합니다.



「2014년 제5회 동부 금융제안 공모전」 안내 이미지









  

  





2014년 신사업 창업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공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는 예비창업자 및 소상공인이 새로운 분야로 진출하여 소상공인 시장의 과당경쟁을 완화하고 창업성공률을 제고할 수 있는 신업종·신업태 등의 참신한 창업 아이디어를 공모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본 공모전은 단순 아이디어 제품(미구현된) 공모전이 아닌 예비창업자의 신규 창업을 위한 창업(사업) 아이디어 공모전으로, 응모 아이디어의 사업성(시장성, 수익성, 기술성 등), 국내 사업화 추진 성공 전략 및 방법이 구체적으로 기술된 비즈니스모델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선정되는 공모전임을 유념하시어 지원바랍니다.

□ 사업목적

 ○ 대학생 및 일반인 등을 대상으로 예비창업자 및 소상공인이 새로운 분야로 진출할 수 있는 신업종·신업태 등의 참신한 창업 아이디어 공모

 

□ 공모기간 : ‘14. 4. 8(화) ~ 5. 9(금), 18:00까지

 

□ 공모대상 : 소상공인분야의 우수한 창업 아이디어로써 아래 항목 중 하나 이상을 충족하는 아이디어 

 

 발굴대상조건

  • 소상공인 분야의 독창적인 창업 아이디어
  • 국내에 최근 소개되어 시장규모가 작지만 향후 발전가능성이 높은 아이디어
  • 해외에서 사업화되었으나, 국내에 사업화가 미비한 유망 창업 아이디어

 

발굴제외대상

  • 완제품의 단순 유통·판매 아이디어
  • 현재 국내에서 프랜차이즈로 운영되고 있는 아이디어
  • 법적문제(인허가, 지식재산권 등)가 발생하여 예비창업자가 활용하기 어려운 아이디어
  • 향락성, 사행성, 퇴폐성 아이디어
  • 고난이도의 전문기술이 요구되어 일반 예비창업자가 창업하기 어려운 아이디어
  • 기타 소상공인이 창업하기 어려운 아이디어


□ 신청자격 : 대학생, 일반인 등 누구나 참가 가능

     * 개인 또는 팀 단위(인원제한 없음)로 참여 가능

 

□ 신청방법 :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양식(첨부파일 참조)을 다운받아 작성한 뒤 이메일(idea@kmdc.or.kr)로 제출

   - 이메일 (idea@kmdc.or.kr) 접수(‘14. 5. 9(금), 18시 도착분에 한함)

   - 메일 제목 : “ [공모전] 아이디어 명, 신청자이름 ”

    * 신청서 등 서식은 작성된 HWP파일 1부와 출력하여 서명(필수)한 이후 스캔본 (PDF, JPG 등) 1부를 메일로 함께 제출

    * 작성된 HWP파일 1부 + 작성된 HWP출력하여 서명(날인)하고, 해당 출력물을 모두 스캔한 후 해당 스캔 파일 1부 = 총 2부 제출

 

□ 포상규모 : 13,000천원(12명/팀)

 ○ 우수 아이디어에 대하여 포상하며, 팀 구성원 수와 관계없이 1개 아이디어 기준으로 포상

 구    분

 상    장

 수상자수

 포상금액

대    상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이사장상

 1명(팀)

 300만원

최우수상

 2명(팀)

 각 200만원

우 수 상

 3명(팀)

 각 100만원

장 려 상

 6명(팀)

 각 50만원

 

 

□ 유의사항

 ○ 응모된 아이디어에 대한 권리는 아이디어 제안자에게 있음

 ○ 제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지식재산권 등 모든 법적인 책임은 제안자에게 있음

 ○ 주관기관은 제출된 아이디어 제안서에 대한 비밀을 보장하며, 제출된 일체의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 선정된 아이디어는 제안자의 동의를 얻어 본 사업 취지에 따라 공개 및 공유 할 수 있음

    * 제안자는 결과 발표일 이전에 응모철회를 요청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응모된 적이 없는 것과 동일하게 취급하며 주관기관은 자료 일체를 폐기함

 ○ 타 공모전 수상작, 대리작 또는 표절한 아이디어는 심사에서 제외되며, 수상하였더라도 추후 밝혀질 경우, 수상 취소 및 상금 회수 조치

 ○ 제출 서류상의 기재착오나 연락불능으로 인한 불이익은 일체 제출자의 책임으로 함

 ○ 개인정보보호 강화 및 아이디어 보호 강화 방침에 따라 선정결과(공개 전 선정자 성명 및 선정 아이디어 등) 발표 및 향후 일정은 개별통보 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 참조














  

  



 

 

 

 

    허청에서 시행하는 발명특허지원제도 2014

   


 

2014년 아이디어를 지식재산권으로 권리화를 하고 해외출원 등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지식재산권 확보비용을 줄여주는

발명특허지원제도 2014년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올 해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나의 우수한 아이디어를 지식재산권으로 확보하고자 하는 많은 발명가, 기술자, 연구원, 엔지니어, 학생, 기업CEO, IP담당자 분 등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정부지원·창업·자금' 게시판에 남겨주시면 시간되실 때 성심성의껏 답변해 드리겠습니다.



 

 ○ 사업개요


  특허, 실용신안, 상표, 디자인 등 지식재산권의 출원 및 등록, 해외출원, 컨설팅, 패키지, 3D시뮬레이션,

  침해대응소송 등 지식재산권에 대한 2014년 특허청에서 아이디어가 있는 분들을 위해 지원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지원분야 및 대상

 

 사업 및 지역별로 상이(첨부파일을 참조하세요!) 

 

 

 ○ 지원내용

 

 

 

※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조해 주세요.

 

2014년도 지역지식재산 창출지원사업 안내

사업 구분

사업 목적

추진 개요

지원 대상

접수 기간

세부 사업

지원 규모

기업분담금

비고

IP Start-Up

지역 중소기업

IP 인식제고

지식재산 교육, 선행기술 조사, 국내출원 등 기업 지식재산경영 입문을 위한 지원 강화

중소기업 또는 사회적기업

(최근 3년간 지식재산권 출원 3건 미만 기업 우선 지원)

일부 개인발명가 포함

수시 접수

(지역별 www.ripc.org 참조)

선행기술

400천원 이내

전액 지원

기업(개인) 3건 이내

개인은 선행기술조사, 특허·실용신안 출원만 지원

국내출원

특 허

실용신안

상 표

디자인

1,000천원

500천원

250천원 350천원

사회적기업 : 5%

소기업(개인) : 10%

중기업 : 30%

IP Scale-Up

지역 중소기업

IP 경쟁력 강화

지식재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지식재산을 통한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중소기업 또는 사회적기업

(최근 3년간 지식재산권 출원 3건 이상 또는 등록 1 이상 보유 기업 우선 지원)

수시 접수

(지역별 www.ripc.org 참조)

국내출원

특 허

실용신안

상 표

디자인

1,000천원

500천원

250천원 350천원

사회적기업 : 5%

소기업 : 10%

중기업 : 30%

기업 당 3건 이내

해외출원

특허(PCT)

특허(개별국)

상 표

디자인

3,000천원

7,000천원

2,500천원

2,800천원

정기 접수

2014. 1. 27() 2. 21()

시뮬레이션

5,000천원 이내

기업 당 최대 1

특허맵(PM)

12,000천원 이내

브랜드 개발

25,000천원 이내

디자인 개발

25,000천원 이내

IP Star 기업

지역 IP 대표기업 육성

지식재산 경영자원 집중지원을 통해 지역의 지식재산경영 선도기업 구축을 위해 3년간 전략적으로 지원, 자생적으로 지식재산 경영능력을 갖추도록 유도

2012, 2013년도 선정된 IP 스타기업

2014년 신규 IP 스타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

(IP 스타기업으로 선정된 중소기업에 대한 육성지원 기간은 3년이나, 매년 지역별 평가를 통해 계속지원 여부 결정)

정기 접수

2014. 1. 2() 1. 24()

해외출원

특허(PCT)

특허(개별국)

상 표

디자인

3,000천원

7,000천원

2,500천원

2,800천원

스타기업 : 10%

연간 70백만원 이내

3년간 200백만원 이내

시뮬레이션

5,000천원 이내

특허맵(PM)

12,000천원 이내

브랜드 개발

25,000천원 이내

디자인 개발

25,000천원 이내

비영어권 브랜드

40,000천원 이내

브랜드&디자인 융합

30,000천원 이내

디자인&특허 융합

50,000천원 이내

중소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 제2, 사회적기업은 사회적기업육성법 제2조에 의거함

IP Star 지원대상 제외기업은 IP Start-Up 또는 IP Scale-Up 지원 사업에 신청 가능

산업통상자원부의 글로벌 전문기업 육성사업(수행기관 : KIAT) 참여기업은 IP 스타기업 선정 시 우대

중소기업청의 글로벌 하이웨이 프로그램(수행기관 : 중소기업진흥공단) 참여기업은 IP 스타기업 선정 시 우대

 

6. 지역별 문의처

구 분

센터명

연락처

지원 사업

구 분

센터명

연락처

지원 사업

광역

센터

서울센터

02-380-3633

IP Start-Up

 

IP Scale-Up

 

IP Star 기업

 

모든 사업 포함

기초

센터

수원센터

031-244-8321

IP Start-Up

 

IP Scale-Up

 

중 일부 사업

경기센터

031-500-3043

부천센터

070-7094-5483

경기북부센터

 

031-853-7431

춘천센터

033-264-6580

인천센터

032-810-2882

태백센터

033-552-5555

강원센터

033-749-3333

강릉센터

033-643-4411

충남센터

041-558-5706

대전센터

042-930-8420

서산센터

041-663-0041

충북센터

043-229-2732

충주센터

043-843-7005

부산센터

051-974-9065

부산남부센터

051-645-9684

울산센터

052-228-3087

안동센터

054-859-3093

대구센터

053-242-8079

경북센터

054-274-5533

구미센터

054-454-6601

경남센터

055-210-3085

진주센터

055-753-0411

전남센터

061-242-8587

순천센터

061-741-5411

광주센터

062-954-3841

군산센터

063-471-1284

제주센터

064-755-2554

일부 사업은 센터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기타 세부사항은 지역지식재산센터 통합홈페이지(www.ripc.org) 참조

 

첨부파일 2014년도_중소기업_지식재산_창출지원사업_공고(최종)_1226.hwp

첨부파일 2014년도_통합공고_총괄표_및_지역별_연락처(최종)_1226.hwp


  

  






국유지 개발 활용 아이디어 국민 공모전



국유지 개발 활용 아이디어 국민 공모전

 


 

국유지 개발활용 아이디어 국민 공모

 

 

  ● 응모 자격

    - 일반국민

    - 전문가 [건축도시부동산건설개발 등 관련 전공 대학()교수연구원 및 관련 업무 종사자(법인)]

      * 개별 및 팀(3인 이내응모 모두 가능하다.

      * 상기 전문가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국민은 전문가 부문에 참여할 수 없다.

      * 전문가는 일반국민 부문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 다만동일인이 일반국민과 전문가 부문 양쪽으로 중복해서 응모하는 것은 불가하다.

      * 공모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아래 열거한 자는 응모에 참가할 수 없다.

       ㆍ주최자 및 주관사의 구성원 및 자문위원

       ㆍ본 공모의 심사위원

       ㆍ아이디어 공모 심사 운영 용역 수행자

 

 

  ● 응모 주제

    - 대상 부지에 대한 민간공공 개발활용방안(최유효이용, The Highest & Best Use) 제안

 

 

  ● 시상 내역

    - 응시작 중 심사를 통해 12건을 선정(총상금 6,700만원)하여

      총리 또는 부총리상(2), 부총리상(4), 캠코 사장상(6시상

   

구 분

(A) 일반인 공모

(B) 전문가 공모

대상

상금

상장

대상

상금

상장

대상

1

500만원

총리 또는 부총리상

1

2,000만원

총리 또는 부총리상

최우수상

2

200만원

부총리상

2

1,000만원

부총리상

우수상

3

100만원

캠코 사장상

3

500만원

캠코 사장상

합계

6

1,200만원

 

6

5,500만원

 

 

    - 입상작 이외에 참신한 아이디어 또는 다수 제안 제출자에게 심사를 통해 상품권(10만원지급한다.

    - 제세공과금은 수상자 본인이 부담한다.

    - 출품작에 따라 시상내역이 조정될 수 있으며심사결과 공모 목적에 적합하지 않거나

      작품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 그 외 작품은 별도의 비용을 지급하지 않는다.

 

 

  ● 응모 일정

    - 신청접수 : ’13. 12. 2( ’14. 1. 10(오후 6시까지

    - 작품접수 : ’14.  1. 6( ’14. 1. 17(오후 6시까지

    - 결과발표 : 개별통보

    -      : ’14. 2. 27(예정 (장소는 개별 공지)

      ※ 상기 일정은 주최사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일정 변경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 예정

      ※ 아이디어 공모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짐

 

 

  ● 제출 방법

    [제출서류 및 도서]

    - 일반국민 : 양식및 양식참조하여 전체 분량은 A4 3매 이내로 하되,

                   세부 설명 자료가 필요한 경우 붙임자료 제출 가능

    - 전 문 가 : 양식및 양식참조하여 전체 분량은 A4 20매 이내로 하되,

                   세부 설명 자료가 필요한 경우 붙임자료 제출 가능

    - 1인이 응모할 수 있는 작품 수는 제한이 없다.

      같은 아이디어로 여러 필지에 적용하여 제출할 경우 1건으로 간주한다.

    - 작품접수가 완료되면 최종 접수번호가 생성된다.

      * 구성 : 사전접수번호 - 물건번호 - 개발방식

    - 제출된 작품은 추가 및 수정삭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 모든 제출도서는 동시에 제출되어야 한다.

    - 제출도서에 대한 익명성 확보는 심사위원회의 최종 결정까지 적용되며,

      모든 응모작에는 응모자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떠한 암호나 기호 등을 표기()할 수 없다.

 

 

  ● 접수 방법

    -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www.국유지.com 또는 www.gukyugi.com에 업로드

 

 

  ● 심사 기준

    [선정위원회 구성]

    - 내ㆍ외부 전문가로 구성

    - 심사위원은 심사가 완료된 후 공개한다.

 

    [분야별 배점 기준]

    - 공모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성실용성효율성 평가

 

심사항목

심 사 내 용

배 점

창의성

▪ 독창적이며 새로운 내용인지 여부

▪ 새로운 개발 및 활용모델 제시미적인 디자인 등

A

B

C

D

E

30

25

20

15

10

30

실용성

▪ 구체성완성도장애극복 등 실제 적용 가능 여부

▪ 직접적인 예산절감 및 국고수입 증대의 효과

A

B

C

D

E

30

25

20

15

10

30

효율성 및 효과성

▪ 국유지 개발활용 및 매각활성화에 대한 기여도

▪ 국유지에 적용가능한지 여부

▪ 실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지 여부

A

B

C

D

E

40

35

30

25

20

40

 

    - 필요시 심사항목 및 배점 조정 가능

    - 평가의 총점은 심사위원들의 점수를 산술평균한다.

    - 심사점수가 동일할 경우, “창의성-실용성-효율성” 순서로 점수가 높은 작품을 선정한다.

 

 

  ● 유의 사항

    [사전 참가등록]

    - 사전 참가등록을 하지 않은 자는 응모작을 제출할 수 없다.

    - 사전 참가 접수 신청자에 한해 제공자료 및 제출양식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질의·회신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다.

    - 팀으로 사전 등록한 자가 개별 응모를 원할 경우개인 명의로 재등록하여야 한다.

    - 참가등록을 완료하면 사전 접수번호가 부여된다.

 

    [질의응답]

    - 질의 및 회신 내용은 사전등록을 한 자에 한하여 공개하도록 한다.

    - 질의 답변사항은 지침서에 대한 추가 또는 수정으로 간주하여본 아이디어 공모의 지침서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 공모와 관련된 모든 질의 사항은 지정된 기간 내에 공식 홈페이지의 질의 응답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이메일 및 전화상의 질의응답은 하지 않는다.

 

    [저작권]

    - 당선작에 대한 저작권(2차 저작물 등의 작성 및 이용권 포함)의 모든 권한은 기획재정부에 귀속된다.

    - 참가자가 제출하는 모든 작품은 순수 창작물이어야 하고3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심사]

    - 심사결과 공모 목적에 적합하지 않거나 작품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작품 반환]

    - 응모된 작품에 대해서는 반환하지 않는다.

 

    [실격기준]

    - 공모지침을 위반한 경우

    - 공모 서류에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 기록할 사항 이외의 특정기호 등을 표시한 경우

    - 그 밖의 선정위원회에서 실격으로 판정한 경우

    - 심사 이후에도 실격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실격 판정을 할 수 있으며,

      주최자는 시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환수한다.

 

 

  ● 문의 사항

    - 아이디어 국민 공모전 사무국 ()씽굿 (TEL : 02-334-9044)
    - 자세한 세부 대상부지 내역과 위치서비스 및 관련 Q&A 등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 참조

 














  

  




[음악] 윤하 "없어"(SBS인기가요)

인기가요에 나온 윤하의 노래 "없어"입니다.
즐감하세요~

 





2014년 중소기업청 정책자금 안내



2014년도 중소기업청 정책자금 안내드립니다.

미리 잘 준비하셔서 필요하신 자금을 잘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출력이 필요하신 분은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고 출력하시면 됩니다.








































첨부파일 2014년_중소기업청_소관_중소기업_정책자금_융자계획.hwp


첨부파일 2014년_중소기업청_소관_중소기업_정책자금_융자계획.pdf















2014년 기술개발지원자금 8,184억원 지원안내(중소기업청)



2014년 기술개발지원자금 8,184억원 지원안내(중소기업청)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3일 2014년도 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별 지원계획을 확정하고, 세부사업별 공고를 통해 사업계획서를 신청·접수받는다.

 

‘14년도는 '13년(8,037억원) 대비 147억원(1.8%) 증가한 8,184억원으로, 개발역량은 있으나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4년도에는 성장단계에 맞춘 지원 및 인프라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기술개발 저변확대, 유망기술분야 중점지원, 인프라 강화의 3개 분야로 나누어 지원할 계획이다.

 

분야별 주요 지원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개발 저변을 확대한다.

 

창의적 기술개발지원을 통한 기술창업을 활성화(1,414억원)한다.

 

창업기업에 대한 지원범위를 확대(업력5년→7년이하)하고 이공계 대학(원)생 전용 사업을 신설하는 등 준비된 기술창업자 육성을 위한 전용R&D를 확대하였다.

 

또한, 산학연협력 구조 안정화 및 사업화를 확대(1,458억원)했다.

 

정부 R&D에 처음 참여하는 기업의 참여확대를 위해 산학연과제(첫걸음기술개발)의 지역제한을 폐지하고,

 

대학내 기업 부설연구소를 집적화하여 공동 R&D 및 사업화를 지원하는 연구마을 사업을 확대하였다.

 

또한, 전문엔젤투자社가 보육·투자하고 정부가 기술개발을 지원하는 글로벌시장형 창업기술개발(이스라엘式 프로그램)운영을 확대할 계획이다.

 

제품·공정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유도(300억원)한다.

 

뿌리기업 등 5인 미만 소기업을 대상으로 현장 수요가 많은 제품·공정개선 분야를 중점 지원하며,

 

기술개발역량이 부족한 소상공인의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단독참여가 가능하도록 신청자격을 완화할 계획이다.

 

* 소상공인 신청자격 : (현행) 3개 업체 컨소시엄 → (개선) 단독참여 가능

 

둘째, 유망기술분야에 대해 중점 지원한다.

 

혁신형 기업을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성장 지원(2,470억원)한다.

 

혁신형 기업을 주요 대상으로 FTA에 대응하여 수출유망 전략기술개발을 지원하고, 서비스분야의 R&D 사업화 성공 제고를 위해 멘토링 지원 등 개발 이후 지원체계를 강화하였다.

 

융·복합 전략분야 과제 발굴 및 기술개발을 지원(840억원)한다.

 

지역거점별 융합지원센터 등을 통해 중소기업형 융·복합과제를 발굴·지원하고 사업화 촉진을 위해 기술보증 등 연계지원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특허청과 협업을 통해 대학·연구기관이 보유한 우수 특허기술을 활용·촉진하기 위한 지원체계도 구축하였다.

 

* 이전기술개발 지원체계 : 유망기술발굴(특허청) → 기술이전(중기청·특허청) → 기술개발지원(중기청) → 사업화 연계 지원(중기청)

 

대·중소기업간 기술협력을 강화(1,336억원)한다.

 

구매조건부 사업의 수요처 및 민관 R&D 협력펀드 확대를 통해 지원 대상을 늘리는 한편,

 

대학·연구기관과 수요처(대기업 등)의 공동투자로 설립된 법인의 사업화를 지원하여 선순환 투자 모델을 확산할 계획이다.

 

신시장 창출을 위한 창의·도전적 과제발굴을 지원(41억원)한다.

 

'14년에는 창의·도전적 기술개발과제 전용 지원사업을 추진하여 실패위험성이 높으나 신시장 개척 및 고수익 창출이 가능한 분야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셋째, 기술혁신 인프라 종합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R&D 사업화 성과 제고를 위한 기획을 지원(55억원)한다.

 

기획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전문가를 활용한 기술·시장성 분석을 통한 R&D기획을 지원하며, 기획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자체 역량향상에도 힘쓸 계획이다.

 

또한, 대학·연구기관의 연구장비 활용을 지원(165억원)한다.

 

대학이나 연구기관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중소기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기술개발인력의 중소기업 유입 촉진 및 역량을 강화(105억원)한다.

 

중소기업이 초·중급 기술개발 인력 채용시, 인건비, 능력개발비 등의 일부를 지원하며, 실무 기술력을 보유한 군 인력을 중소기업에 취업을 연계하는 지원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더불어, 기술개발지원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연계 지원 및 수요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를 운영할 계획이다.

 

기술개발 성공과제 전용 사업화 자금을 신설(500억원)하여 개발이후 자금애로를 해소할 예정이며,

 

지방청·전문기관별 상시 상담창구를 개설하고 지역별 전자평가장을 추가 운영하여 수요자 근접 평가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14년부터는 중소기업의 자생력을 높이기 위해 기술개발지원사업에 대해 졸업제를 본격 시행하며,

 

개별 기업당 저변확대 사업은 총 3회, 선택집중 사업은 총 4회까지 지원하여 정부지원의 의존도를 낮춰나갈 계획이다.

 

 

세부사업별 신청자격, 지원기준 등 자세한 내용은 사업별 공고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며, 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tech.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 :기술개발과 이정훈 사무관(042-481-4442)

















2014년 중소기업 정책자금 3.82조원 지원안내(중소기업청)




최근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세 및 내년도 국내 경기의 회복 조짐 가시화 등이 예상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청(청장 한정화)은 중소기업의 설비투자 및 운영자금 융자지원을 위한 2014년도 중소기업 정책자금 운용계획을 발표하였다.

 

2014년도 정책자금 예산규모(안)*은 ‘13년도 당초 예산규모(3.85조원)와 유사한 3.82조원 규모로 편성되었다.

 

* ‘13년 추경 등 증액 반영(5조원) 대비 감소

 

우선 중소기업의 투자촉진을 위해 시설투자 자금인 신성장자금(‘14: 8,350억원)이 ‘13년 당초예산 대비 대폭 2,000억원 확대되었으며,

 

청년창업활성화를 위한 청년창업전용자금 및 재기중소기업인을 위한 재창업자금 규모 확대 되는 등 시장실패 보완을 위한 자금위주로 편성되었다.

 

* 재창업자금 : (‘13당초) 400억원 → (’14) 500억원

* 청년전용창업자금 : (‘13당초) 1,230억원 → (’14) 1,500억원

 

특히 ‘14년도 정책자금은 일자리 창출기업에 대한 우대를 확대하여,

 

지원업체 중 추가 고용 1인당 0.1%p 정책자금 대출금리를 인하(최대 1%p → 2%p)하고,

 

10인 이상 고용창출 기업에 대한 개별기업 융자한도(45억원)의 예외를 적용하여 70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창업자금의 가산금리 조건부 연대보증 면제 대상을 확대*하여 우수 인력들의 과감한 창업을 촉진키로 하였다.

 

* 창업자금 지원업체 중 6.3% → 53.8%가 연대보증 면제 신청 가능(’13.9월말 기준)

 

 

아울러 연대보증 면제제도가 현장에 조속히 착근될 수 있도록 현장홍보를 강화하고, 분기별로 실적을 점검하기로 하였다.

 

‘14년 정책자금 금리는 연간 조달금리 대비 △0.8%p(전년 △1.0%P)를 분기별로 차등 적용하되 민간 금융권의 저금리 기조를 고려하여,

 

’14년 1/4분기 정책자금 기준금리는 전분기(3.57%) 보다 낮은 3.29%로 운영하기로 하였다.

 

금번 정책자금 신청․접수는 중소기업인들이 직접 방문 등 정책자금 신청 등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지적에 따라,

 

올해부터 매월 1일부터 20일 사이*에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 박철규) 홈페이지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는다.

 

* 창업기업지원자금, 개발기술사업화자금, 신성장기반자금 : 매월 1일 ∼ 10일

* 재창업자금, 협동화 및 협업사업, 수출금융자금, 사업전환자금, 투융자복합금융자금, 소공인특화자금 : 매월 11일 ∼ 20일

 

중소기업청은 금번에 실시되는 정책자금 온라인 신청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업계의 관심과 주의를 당부하였다.

 

2014년 정책자금 운용계획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책자금 고용창출 성과제고 및 창업과 재도전 촉진>>

 

첫째, “고용을 많이 하면 금리가 낮아진다.”

 

정책자금 지원 후 신규 일자리창출에 따라 1명당 0.1%p씩 최대 1.0%p 금리를 인하해주던 기준을 최대 2.0%p까지 확대해 정책자금의 일자리창출 효과를 높일 계획이다.

 

둘째,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 도전하는 자가 아름답다.”

 

기술․사업성 우수 창업자에 대한 연대보증 면제 대상을 확대한다.

 

창업기업 중 중진공의 기술․사업성 평가결과 우수한 등급의 기업에 대해 가산금리 조건부 연대보증 면제로 우수인력들의 과감한 창업을 촉진한다.

 

또한, 민간 금융기관 이용이 어려운 재창업기업의 시설투자 촉진 및 상환부담 경감을 위해 재창업자금 중 시설자금에 대한 대출기간을 연장한다.

 

* 시설자금 대출기간 : (현행) 5년(2년 거치 3년) → (변경) 8년(3년 거치 5년)

 

셋째, “창업기업의 라이프 사이클을 고려해 지원한다.”

 

창업기업 생존율 제고를 위해 창업자금 지원기업의 업력을 창업지원법에 맞춰 5년에서 7년까지로 확대하고,

 

단, 업력 5년 이상기업에게 지원되던 신성장기반자금 지원기업의 업력은 7년 이상으로 조정

 

청년창업기업의 원금상환 부담을 경감하여 창업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청년전용창업자금의 대출기간을 3년에서 5년으로 연장한다.

 

<<기술과 창의성에 바탕을 둔 기술금융 활성화>>

 

첫째, “기술사업성 우수기업에 희망의 사다리를 놓는다.”

 

중소기업의 성장사다리 구축을 위해서 기술․사업성 우수기업의 장기․시설투자 지원 전용자금 신설하고,

 

중진공의 기업평가 우수기업에게 만기 15년 이내의 장기대출, 기업이 고정금리 또는 변동금리 선택 가능

 

중기청 소관 R&D사업 성공기업 전용자금(500억원)을 운용하여 R&D 기업의 성공률을 제고하고, R&D사업과 융자사업의 시너지 효과를 제고한다.

 

둘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가진 문화 기업을 지원한다.”

 

◦ 민간창투사가 투자하지 않은 문화콘텐츠 분야 유망기업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투자 신설(‘14년 하반기 시범운영)

 

예시)뮤지컬․콘서트․애니메이션․영화 등의 사업성과 흥행성을 심사․검토하여 투융자복합금융 방식 등으로 대출

 

셋째, “지식재산권이 기업의 효자”

 

‘13년 하반기 시범운용 결과(19개 업체, 50억원)를 바탕으로, ’14년에는 150억원 규모의 특허담보대출을 실시(개발기술사업화자금 활용)한다.

 

* 대출자금의 용도 : (’13 하반기) 운전자금 → (’14) 운전자금, 시설자금

 

또한, ‘지식재산경영인증기업’을 혁신형 기업*에 포함하고, 개발기술사업화자금 신청대상에도 추가한다.

 

신성장기반자금 지원 시 시설자금(45억원 → 70억원) 및 시운전자금(시설자금의 30% → 50%) 한도 우대

 

<<현장애로 개선 및 정책의 실효성 확보>>

 

첫째, “영세 기업들의 부담을 확실히 덜 수 있도록”

 

영세 소공인의 대출금 상환부담 완화를 위해 ‘소공인특화자금’의 시설자금 대출기간을 5년에서 8년으로 연장하고,

 

재고재산 담보대출 가능 기업범위 확대(업력 3년 이상 → 1년 이상) 및 매출채권 담보대출의 담보인정 비율 상향조정(40~50% → 60~100%)한다.

 

둘째, “글로벌시장에서 뛰는 수출 중소기업 지원 강화”

 

글로벌 성장사다리 선정기업*에 대한 수출금융지원자금 대출한도를 10억원에서 30억원까지 확대한다.

 

중소·중견기업을 연간 수출액에 따라 차별화된 맞춤형 무역보험 서비스 제공으로 글로벌 수출 강소기업으로 육성(한국무역보험공사 선정)

 

셋째, “유턴기업을 적극 지원한다.”

 

해외진출기업이 인건비 상승 등 어려움으로 국내에 복귀한 경우 사업장 신·증설 등을 위한 융자금을 최대 70억원까지 지원한다.

 

* 해외진출기업 국내복귀 지원 법령에 의해 국내복귀기업으로 선정된 기업

 

넷째, “건설․관광 등 정책자금의 투자 촉진 기능 강화”

 

녹색․환경 및 안전과 관련된 건설업 등 정책자금 지원대상을 확대하고,

 

 

제주특별자치도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제주지역의 유원지 및 테마파크 운영업(91210), 기타 오락장 운영업(91229)을 지원한다.

 

* 제주지역 호텔업(5111) 중 관광숙박업, 기타 관광숙박시설 운영업 등을 예외적으로 지원 중

 

다섯째, “정책자금 신청은 기업 스스로”

 

제3자의 도움 없이도 손쉽게 자금을 이용할 수 있도록 신청서류를 간소화하고, 정책자금 접수기관인 중소기업진흥공단 각 지역본(지부)에 융자신청 도우미를 배치하여 자금 신청 시 활용토록 한다.

 

중소기업청은 성장 가능성이 크고 일자리 창출 의지가 있는 기업 중심으로 정책자금을 운용하여 지원성과를 높이는 한편,

 

앞으로도 현장의 자금사정을 면밀히 점검하여 필요한 기업에 자금이 적기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문의: 중소기업청 기업금융과 남궁설주무관(042-481-4375), 중소기업진흥공단 융자사업처 조양동과장(02-769-6873)













국유지 개발 활용 아이디어 국민 공모전

 


 

국유지 개발활용 아이디어 국민 공모

 

 

  ● 응모 자격

    - 일반국민

    - 전문가 [건축도시부동산건설개발 등 관련 전공 대학()교수연구원 및 관련 업무 종사자(법인)]

      * 개별 및 팀(3인 이내응모 모두 가능하다.

      * 상기 전문가 요건에 해당하지 않는 일반국민은 전문가 부문에 참여할 수 없다.

      * 전문가는 일반국민 부문으로 참여가 가능하다.

      * 다만동일인이 일반국민과 전문가 부문 양쪽으로 중복해서 응모하는 것은 불가하다.

      * 공모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아래 열거한 자는 응모에 참가할 수 없다.

       ㆍ주최자 및 주관사의 구성원 및 자문위원

       ㆍ본 공모의 심사위원

       ㆍ아이디어 공모 심사 운영 용역 수행자

 

 

  ● 응모 주제

    - 대상 부지에 대한 민간공공 개발활용방안(최유효이용, The Highest & Best Use) 제안

 

 

  ● 시상 내역

    - 응시작 중 심사를 통해 12건을 선정(총상금 6,700만원)하여

      총리 또는 부총리상(2), 부총리상(4), 캠코 사장상(6시상

   

구 분

(A) 일반인 공모

(B) 전문가 공모

대상

상금

상장

대상

상금

상장

대상

1

500만원

총리 또는 부총리상

1

2,000만원

총리 또는 부총리상

최우수상

2

200만원

부총리상

2

1,000만원

부총리상

우수상

3

100만원

캠코 사장상

3

500만원

캠코 사장상

합계

6

1,200만원

 

6

5,500만원

 

 

    - 입상작 이외에 참신한 아이디어 또는 다수 제안 제출자에게 심사를 통해 상품권(10만원지급한다.

    - 제세공과금은 수상자 본인이 부담한다.

    - 출품작에 따라 시상내역이 조정될 수 있으며심사결과 공모 목적에 적합하지 않거나

      작품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 그 외 작품은 별도의 비용을 지급하지 않는다.

 

 

  ● 응모 일정

    - 신청접수 : ’13. 12. 2( ’14. 1. 10(오후 6시까지

    - 작품접수 : ’14.  1. 6( ’14. 1. 17(오후 6시까지

    - 결과발표 : 개별통보

    -      : ’14. 2. 27(예정 (장소는 개별 공지)

      ※ 상기 일정은 주최사 사정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일정 변경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 예정

      ※ 아이디어 공모와 관련된 모든 사항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루어짐

 

 

  ● 제출 방법

    [제출서류 및 도서]

    - 일반국민 : 양식및 양식참조하여 전체 분량은 A4 3매 이내로 하되,

                   세부 설명 자료가 필요한 경우 붙임자료 제출 가능

    - 전 문 가 : 양식및 양식참조하여 전체 분량은 A4 20매 이내로 하되,

                   세부 설명 자료가 필요한 경우 붙임자료 제출 가능

    - 1인이 응모할 수 있는 작품 수는 제한이 없다.

      같은 아이디어로 여러 필지에 적용하여 제출할 경우 1건으로 간주한다.

    - 작품접수가 완료되면 최종 접수번호가 생성된다.

      * 구성 : 사전접수번호 - 물건번호 - 개발방식

    - 제출된 작품은 추가 및 수정삭제를 인정하지 않는다.

    - 모든 제출도서는 동시에 제출되어야 한다.

    - 제출도서에 대한 익명성 확보는 심사위원회의 최종 결정까지 적용되며,

      모든 응모작에는 응모자를 인지할 수 있는 어떠한 암호나 기호 등을 표기()할 수 없다.

 

 

  ● 접수 방법

    -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www.국유지.com 또는 www.gukyugi.com에 업로드

 

 

  ● 심사 기준

    [선정위원회 구성]

    - 내ㆍ외부 전문가로 구성

    - 심사위원은 심사가 완료된 후 공개한다.

 

    [분야별 배점 기준]

    - 공모주제의 특성을 고려하여 창의성실용성효율성 평가

 

심사항목

심 사 내 용

배 점

창의성

▪ 독창적이며 새로운 내용인지 여부

▪ 새로운 개발 및 활용모델 제시미적인 디자인 등

A

B

C

D

E

30

25

20

15

10

30

실용성

▪ 구체성완성도장애극복 등 실제 적용 가능 여부

▪ 직접적인 예산절감 및 국고수입 증대의 효과

A

B

C

D

E

30

25

20

15

10

30

효율성 및 효과성

▪ 국유지 개발활용 및 매각활성화에 대한 기여도

▪ 국유지에 적용가능한지 여부

▪ 실시 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는 지 여부

A

B

C

D

E

40

35

30

25

20

40

 

    - 필요시 심사항목 및 배점 조정 가능

    - 평가의 총점은 심사위원들의 점수를 산술평균한다.

    - 심사점수가 동일할 경우, “창의성-실용성-효율성” 순서로 점수가 높은 작품을 선정한다.

 

 

  ● 유의 사항

    [사전 참가등록]

    - 사전 참가등록을 하지 않은 자는 응모작을 제출할 수 없다.

    - 사전 참가 접수 신청자에 한해 제공자료 및 제출양식 다운로드가 가능하며, 질의·회신 게시판을 이용할 수 있다.

    - 팀으로 사전 등록한 자가 개별 응모를 원할 경우개인 명의로 재등록하여야 한다.

    - 참가등록을 완료하면 사전 접수번호가 부여된다.

 

    [질의응답]

    - 질의 및 회신 내용은 사전등록을 한 자에 한하여 공개하도록 한다.

    - 질의 답변사항은 지침서에 대한 추가 또는 수정으로 간주하여본 아이디어 공모의 지침서와 동일한 효력을 갖는다.

    - 공모와 관련된 모든 질의 사항은 지정된 기간 내에 공식 홈페이지의 질의 응답을 통해서만 가능하고,

      이메일 및 전화상의 질의응답은 하지 않는다.

 

    [저작권]

    - 당선작에 대한 저작권(2차 저작물 등의 작성 및 이용권 포함)의 모든 권한은 기획재정부에 귀속된다.

    - 참가자가 제출하는 모든 작품은 순수 창작물이어야 하고3자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한다.

 

    [심사]

    - 심사결과 공모 목적에 적합하지 않거나 작품수준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판단될 경우

      당선작을 선정하지 아니할 수 있다.

 

    [작품 반환]

    - 응모된 작품에 대해서는 반환하지 않는다.

 

    [실격기준]

    - 공모지침을 위반한 경우

    - 공모 서류에 허위사실을 기재한 경우

    - 기록할 사항 이외의 특정기호 등을 표시한 경우

    - 그 밖의 선정위원회에서 실격으로 판정한 경우

    - 심사 이후에도 실격기준에 해당되는 경우 실격 판정을 할 수 있으며,

      주최자는 시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환수한다.

 

 

  ● 문의 사항

    - 아이디어 국민 공모전 사무국 ()씽굿 (TEL : 02-334-9044)
    - 자세한 세부 대상부지 내역과 위치서비스 및 관련 Q&A 등은 공모전 공식 홈페이지 참조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