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전력 고성능의 보급형 네트워크 스토리지 설계를 위한 업계 최초SBB 규격용 RDK 발표

임베디드 시스템 분야를 위한 3종의 저전력 AMD 애슬론TM X2 프로세서 제품군도 함꼐 선보여

AMD는 금일 미국 플로리다 올랜도에서 개최된 스토리지 네트워킹 월드 컨퍼런스(Storage Networking World conference )에서 스토리지 브리지 베이(Storage Bridge Bay, 이하 SBB) 2.0 규격을 위한 최초의 AMD 애슬론TM 프로세서 기반 레퍼런스 디자인 킷(Reference Design Kit - 이하 SBB RDK)을 발표했다. 이와 함께, AMD는 임베디드 시스템 디자인을 위한 3종의 저전력 AMD 애슬론TM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도 새롭게 출시한다고 밝혔다.

AMD의 새로운 SBB RDK는 AMD의 강력한 다이렉트 커넥트 아키텍처(Direct Connect Architecture)가 적용된 표준화된 플랫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스토리지 설계 과정을 단순화시켜준다. AMD는 SBB RDK를 통해 스토리지 제조업체들이 저전력, 고성능의 보급형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출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줄 뿐만 아니라, 제품 출시 시기를 앞당기고 고객들의 요구 사항에 부응할 수 있는 차별화된 혁신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AMD의 임베디드 컴퓨팅 솔루션 부문 책임자인 버디 브뢰커(Buddy Broeker)는 "AMD는 개방형 산업 표준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고객사 및 파트너 업체들이 혁신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노력해 왔다. 이번 SBB RDK 역시 고객사들의 전형적인 설계 주기를 3개월에서 9개월 정도로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라며, "AMD는 임베디드 제품 라인업에 새로운 저전력 프로세서 제품군을 추가함으로써, 시스템 설계 디자이너들이 최상의 와트 당 성능 및 에너지 효율성을 갖춘 AMD 프로세서 기술에 기반하여 혁신적인 고성능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도록 설계의 간결성과 유연성을 제공하게 되었다"라고 밝혔다.

AMD의 SBB RDK는 스토리지 제작업체들에게 다이렉트 커넥트 아키텍처 및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기술에 기반한 AMD 애슬론 및 AMD 애슬론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의 뛰어난 데이터 쓰루풋 성능을 통해 설정변경이 용이한 플랫폼을 구현해준다. SBB RDK는 또한 네트워크 스토리지 환경 상에서 요구되는 높은 메모리 및 I/O 대역폭에 대한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고객들의 요구에 기반한 차별화된 시스템을 제작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RDK는 NAS(Network Attached Storage) 및 SAN(Storage Area Networks), 그리고 통합형 스토리지 시스템을 지원할 뿐만 아니라, GigE, 10GigE, 파이버 채널(Fibre Channel) 및 인피니밴드(Infiniband)를 포함하는 모든 주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접속(connectivity) 옵션도 지원한다. RDK는 개념도 및 레이아웃 소스 파일을 포함하며, 레퍼런스 디자인 하드웨어는 AMD의 파트너사인 뉴이시스 데이터 스토리지(Newisys Data Storage)를 통해 공급된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사의 스토리지 솔루션 마케팅 부문 책임자인 발라 카시비스워너선(Bala Kasiviswanathan)은 "SBB 2.0 규격은 향상된 관리 용이성, 보안성 및 안정성을 갖춘 윈도우 스토리지 서버(Windows Storage Servers)와의 결합을 통해 설계 비용 및 복잡성을 감소시켜줌으로써, 모든 규모의 고객들이 저렴한 엔터프라이즈급 스토리지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라며 "MS는 AMD와의 협력을 통해 SBB 2.0 규격을 양사 공동의 파트너사에 제공, 고객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킬 수 있는 혁신적인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AMD는 또한 MS 뿐만 아니라,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업체인 AMI 및 팔콘스토어(FalconStor)와도 협력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AMD SBB 2.0 RDK 상에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고객사에 더욱 다양한 구축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저전력 AMD 임베디드 솔루션 제품 포트폴리오의 확장

AMD는 아울러 금일 3종의 새로운 저전력 AMD 애슬론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 제품군을 임베디드 제품 로드맵에 추가했다. 새로운 AMD 애슬론 X2 제품군은 보급형 네트워크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통신 솔루션, 디지털 표지판, POS(point-of-sale), 게이밍 및 키오스크(kiosk) 시스템 등을 포함하는 기타 고성능의 임베디드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임베디드 시스템 상에서 혁신적인 AMD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보다 다양한 옵션을 제공해줄 것이다. 한편, 새롭게 출시가 이뤄지는 AMD 애슬론 X2 듀얼 코어 프로세서 모델은 3400e, 3600+ 및 4200로 각각 22, 35 및 35W의 최대 전력 소비량을 갖춰, 뛰어난 와트 당 성능을 제공한다.

이번에 새로이 출시된 제품군은 지속적인 플랫폼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소켓 AM2와 호환이 된다. 이를 통해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자들은 싱글 코어에서 간편하게 듀얼 코어로 업그레이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들이 현재 보유 중인 AM2 보드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개발 비용을 감소시키고 시장에 제품을 출시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됐다.

새로운 프로세서 모델들은 빠르게 구축이 가능하고, 견고하며, 안정적인 기업용 임베디드 플랫폼을 제공하는 AMD M690E 칩셋과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설계가 이뤄졌다. 아울러 이번 신제품은 뛰어난 성능 및 에너지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브로드컴 HD-2100 및 HT-1000 칩셋 등 업계의 주요 칩셋 제품들과도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이번 신제품은 업계 표준인 5년 기한의 제품 공급을 보장하며, 2008년 2분기 중 출시가 이뤄질 예정이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G Electronics Inc. yesterday unveiled its much-anticipated new Black Label phone, with which it hopes to duplicate the success of its two previous handsets of the Black Label series - Chocolate and Shine.

The third Black Label phone, whose pet name has yet to be announced, will be launched in Europe on April 24 and later in the rest of the world, company officials said. Korean consumers will be able to buy the phone at local stores sometime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third Black Label phone embodies LG`s competitiveness in handset design and technology," said Skott Ahn, head of the company`s mobile business.

"(With the new model," we hope to make another milestone in the global mobile industry, following Chocolate and Shine," he said.

LG released handout photos of the new handset - a slider with what the company officials explained was the world`s slimmest 5 mega-pixel camera. Specifics of the phone were withdrawn until the official launch later this month. "The latest model adds enhanced durability characteristics to its stylish design, using carbon fiber for the back of the handset and tempered glass for the display screen," said Choi Jun-hyuk, an LG spokesperson.

Chocolate and Shine were global mega hits. Over 180 million units of the Chocolate phone have been sold worldwide, with sales of the Shine at about 70 million units.

By Lee Sun-young

(milaya@heraldm.com)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G Electronics’ Black Label phone By Cho Jin-seo

Staff Reporter

LG Electronics unveiled its third Black Label series phone Monday, which will be its new flagship product after the hugely successful Chocolate and Shine.

The new handset is protected by a carbon-fiber casing and scratch-free tempered glass, LG said. The company hopes it will be a symbol of the firm's dedication to making design-savvy phones.

``The third Black Label handset is a product of LG's accumulated competence in design as well as its cutting-edge technology,'' Ahn Seung-kwon, chief of the firm's mobile communications department, said in a release. ``It will set another landmark in the global mobile phone market as did the Chocolate and Shine.''

The phone will be first launched on April 24 in Europe, and Korean consumers will be able to get it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he firm said. Its name has not been decided on yet, a spokesman said.

LG was the world's fifth largest mobile phone maker last year, but it is expected to get past fourth-placed Sony-Ericsson this year by shipping 24.2 million handsets, according to NH Investment Securities. Its operating profit in the first quarter is also expected to rise by 35.1 percent from last year, thanks to brisk sales and the weaker Korean currency.

The company set its reputation as a design leader in the phone industry with the launch of its Black Label series, while its domestic rival Samsung Electronics has focused on technology-savvy phones.

So far LG sold 18 million Chocolate phones, a dark-black handset with sliding screen, and 7 million Shine, which has a glossy aluminum body. The firm says that the production of Chocolate will be phased out during the second quarter of the year, while the Shine will also be prepared for retirement soon after giving way to the newcomer.

The price of the black carbon-fiber phone has yet to be announced, but the spokesman said it will be in the same range with Chocolate and Shine, lower than that of high-end phones such as Prada and Viewty. The phone also has a 5-million pixel camera.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G전자(www.lge.co.kr 대표 남용)는 2008년형 신제품 PDP TV가 출시 3개월만에 5만대 이상 팔리는 등 히트상품으로 부상하고 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1월 중순 출시한 엑스캔버스 '토파즈(42/50PG30D)'는 3월말 기준 4만대가 팔렸다. 3월초 출시한 엑스캔버스 '보보스(42/50PG60D)'는 1만대가 나갔다.
 
5만여대의 PDPTV 중 42인치 제품이 2만4000대, 50인치가 2만6000대 판매돼 처음으로 50인치 제품이42인치보다 많이 판매됐다. PDP TV가 대형인치대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 LG전자의 분석.
 
올해 국내 PDP TV시장은 2006년 30만대, 2007년 42만대에서 올해에는 6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PDP TV 시장 증가는 ▲같은 인치대의 LCD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있고 ▲빠른 응답속도/명암비 개선 등으로 화질이 뛰어나며 ▲Stylish한 디자인 등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이다.  
 
50인치 PDPTV의 경우 같은 크기의 LCD TV에 비해 가격이 절반 가량이며, 42인치는 50만원 정도 싸다.
 
또 PDP TV 고유의 특장점인 빠른 응답속도와 업계 최고의 3만대1 명암비 구현 등으로 뚜렷하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LG전자 PDP사업부장 박종석 부사장은 "스타일리시 디자인(Stylish Design)과 스마트 테크놀로지(Smart Technology)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적용해 국내 PDP TV시장 1위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상호 기자>crow@ddaily.co.kr

[ 관련기사 ]

☞ '보르도'vs'스칼렛'·'깐느'vs'보보스'…TV전쟁 '시작'

☞ LG전자, PDP TV 야심작 '보보스' 출시

<저작권자ⓒ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1월 출시 토파즈 40,000대, 3월 출시 보보스 10,000대 판매

42인치 2만 4천대, 50인치 2만 6천대 판매 대형TV 인기

보보스 일일 평균 500대 이상 판매 20일만에 10,000대 돌파

△LCD 대비 가격경쟁력 △명암비 개선 등 화질개선 △Stylish한 디자인 등으로 올해 60만대의 국내 PDPTV시장 형성 전망

PDP사업부장 박종석 부사장, "Stylish한 디자인과 Smart한 기술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적용해 국내 PDPTV시장 1위 위치를 확고히할 계획"

LG전자(대표 南鏞 / www.lge.co.kr)의 2008년형 신제품 PDPTV가 상반기 히트상품으로 부상했다.

지난 1월 중순 출시한 『엑스캔버스 '토파즈'』(모델명: 42/50PG30D)가 3월말 기준 40,000대, 3월초 출시한『엑스캔버스 '보보스'』(모델명: 42/50PG60D)가 10,000대를 돌파하는 등 총 5만여대가 팔렸다.

5만여대의 PDPTV 중 42인치 제품이 2만4천대, 50인치가 2만 6천대 판매돼 처음으로 50인치 제품이42인치보다 많이 판매돼 PDPTV가 대형인치대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LG전자의 PDPTV 야심작인 '보보스'의 경우 일일 평균 500대 정도 판매돼 20일만에 10,000대를 돌파하는 등 인기상품으로 급부상했다.

42인치와 50인치 두가지 모델로만 5만대가 넘게 판매된 PDPTV는 2분기부터 60인치 제품까지 출시되면 판매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국내 PDPTV시장은 2006년 30만대, 2007년 42만대에서 올해에는 60만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PDPTV 시장이 증가하게 된 배경은 ▲같은 인치대의 LCD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있고 ▲빠른 응답속도/명암비 개선 등으로 화질이 뛰어나며 ▲Stylish한 디자인 등이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고 있기 때문이다.

50인치 PDPTV의 경우 같은 크기의 LCD TV에 비해 가격이 절반 가량이며, 42인치는 50만원 정도 싸다.

또한, PDPTV 고유의 특장점인 빠른 응답속도와 업계 최고의 3만대1 명암비 구현 등으로 뚜렷하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한다.

전면(全面) 글라스 필터를 적용한 한 장의 유리와 같은 매끈한 디자인과 스피커를 보이지 않게 처리한 '인비저블 스피커(Invisible Speaker)' 등 획기적인 디자인이 강조되고 있다.

LG전자 PDP사업부장 박종석 부사장은 "최근 고객들은 감성적 화질과 디자인을 중요시 한다"며, "스타일리시 디자인(Stylish Design)과 스마트 테크놀로지(Smart Technology)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적용해 국내 PDPTV시장 1위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설명> 서울 잠실 롯데백화점에서 고객들이 LG전자 PDPTV를 둘러보고 있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G전자의 2008년형 플라즈마디스플레이패널(PDP) TV가 잇따라 히트조짐을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1월 중순 출시한 ‘엑스캔버스 ‘토파즈’’(42/50PG30D)가 3월말 기준 4만대, 3월초 출시한 ‘엑스캔버스 ‘보보스’’(42/50PG60D)가 1만대를 돌파하는 등 총 5만여대가 팔렸다고 6일 밝혔다.

LG전자의 PDP TV 야심작인 ‘보보스’의 경우 일일 평균 500대 정도 판매돼 20일만에 1만대를 돌파하는 등 인기상품으로 급부상했다. LG전자 PDP사업부장 박종석 부사장은 “최근 고객들은 감성적 화질과 디자인을 중요시 한다”며 “스타일리시 디자인(Stylish Design)과 스마트 테크놀로지(Smart Technology)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적용해 국내 PDP TV시장 1위 위치를 확고히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wyang@fnnews.com양형욱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Crowds view cars as they visit the Leipzig Auto Mobil International (AMI) car trade fair, Leipzig, Germany, 05 April 2008. Some 500 companies from 17 countries attend the fair to present 100 premieres, and latest trends in automobile design and products. EPA/RALF HIRSCHEBRGER

<저작권자 ⓒ 2007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A hostess of Japanese car maker Nissan stands next to a Nissan protype vehicle during the Leipzig Auto Mobil International (AMI) car trade fair, 05 April 2008. Some 500 companies from 17 countries attend the fair to present 100 premieres, and latest trends in automobile design and products. EPA/RALF HIRSCHEBRGER COLOR

<저작권자 ⓒ 2007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A hostess of Japanese car maker Nissan sits in a Nissan protype vehicle during the Leipzig Auto Mobil International (AMI) car trade fair, 05 April 2008. Some 500 companies from 17 countries attend the fair to present 100 premieres, and latest trends in automobile design and products. EPA/RALF HIRSCHEBRGER

<저작권자 ⓒ 2007 연 합 뉴 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Design goliath Ron Arad`s rise to fame started with a fateful lunch.

Fresh out of school and working for "some other genius," Arad decided not to go back to work after his lunch break.

one lunch time I didn`t come back and I designed a piece of furniture right then and there," said the industrial designer at a press conference held at the Gana Art Gallery in Seoul last week.

Born to break barriers in the world of design, Arad went on to establish one-Off Ltd. -- a design studio, workshop and showroom -- with Caroline Thorman in 1981.

His innovative furniture and interior structures, which used tube and cast iron fittings, got him noticed.

Arad catapulted to fame, founding his own design practice in 1989, garnering 11 awards and showing his works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in New York City,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in London, the Pompidou Centre in Paris and the Vitra Design Museum in Basel.

He is also one of 200 designers to hold the distinction of Royal Designer for Industry. Considered the highest honor in the field of industrial design in Britain, it is a lifelong award.

Arad nabbed this award in 2002. And judging from how chipper he looked last Wednesday, he shows no signs of stepping down anytime soon.

But if a clean bill of health isn`t enough to keep him going, then his continual ability to forge ahead with something new promises to keep Arad at the forefront of design.

So how does he do it?

"Drugs and television," the designer answered with a deadpan face. "Ideas are cheap ... a lot of it comes from the work itself."

But the designer`s former pupil Paul Cocksedge thinks differently. In an interview with the British newspaper the Independent, in May 2007, Cocksedge stated: "Ron`s got quite a short attention span, so he`s always looking for new things that are inspiring, and he wants his students to push themselves."

When asked about Cocksedge`s statement, Ron responded, "Boredom is the mother of creativity. Everything we do is to avoid boredom. So, I`m basically very, very lazy. That`s why I do so much, because I get bored very fast, I have to do something else."

Looking at the 56-year-old designer, decked out in jeans, a plaid flannel jacket, brown hat and sneakers, it`s not hard to imagine him getting bored quickly. Inventing on a spur of whim, a flight of fancy.

Now Seoulites get the golden opportunity to see his groundbreaking creations at his first Korean solo exhibition.

Running at the Gana Art Gallery until April 20, Arad is showcasing 10 limited edition pieces alongside about 20 other works.

Most of the works on display are chairs made out of metal. Cold to the touch, they are all surprisingly comfortable. one of his latest pieces, "Afterthought" (2007), is particularly snug.

When asked why he designed so many chairs, Arad answered, "It`s interesting to work within a given framework ... We all know the height of the chair."

Quick to discount himself though, he added, "A chair is about sitting ... Nothing important about sitting (people) on chairs ... If it is a chair it has to be comfortable ... They are not practical chairs."

Arad is absolutely correct. His cold chairs fuse comfort and impracticality to create aerodynamic, neo-modern sculptures. More fit for a museum than a house, they are definitely chill.

But more importantly, they reflect Arad`s wonderful sense of light ingenuity.

Take the "Bodyguard" for instance. Arad`s version of a rocking chair, it looks physically impossible to sit on. one wrong move and the whole thing might tip over. Bodyguard seems like a misnomer, more like "use at your own risk."

But a leap of faith is all that is required. Tip back into it, let it rock and roll, and soon you are as snug as a bug. Safe and sound in his metal cocoon.

To test drive his works yourself, if the docents let you, head on over to the Gana Art Gallery. To get there go to Gyeongbok Palace Subway Station Line 3, Exit 3. Then take bus No. 1020 or 1711 and get off at the Lotte Apartment stop. Tickets cost 10,000 won for adults and 8,000 won for students. Opening hours are from 10 a.m. to 7 p.m. daily. For more information call (02) 720-1020 or visit www.ganaart.com

By Jean Oh

(oh_jean@heraldm.com)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