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승덕 변호사의 학습비법 - (1)"나와 남은 같다"

 

  오늘은 약속드린대로 "고승덕 변호사의 공부방법과 성공철학"강연 Summary본을

 

  풀어서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연재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나와 남은 같다" , "상대성"사회

 

   (2) 집중력과 바이오리듬

 

   (3) T1 T2 판단법   : ( 선택의 기로에 놓였을 때 판단하는 방법론 )

 

   (4) T1 T2 판단법과 시간가치(Time-value)와 인생설계(Life-Planning)

 

   (5) 파동원리

 

   (6) 행복의 법칙과 희소성의 원칙

 

   (7) 크게 꿈을 가진자, 한 걸음씩 나가는 자가 성공한다

 

 

----------------------------------------------------------------

 

   (1) "나와 남은 같다", "상대성" 사회

 

: 이 세상은 상대성이 지배하는 사회입니다. 즉 절대적인 강자도 절대적인 약자도 존재하지

 

 않으며, 아무리 부자가문이라해도 1000년이상 부를 유지한 가문은 없습니다. 사자라 해도

 

 한 때 강할 뿐 나이들고 늙은 사자는 찬밥 신세를 당하기 마련이지요. 즉 자연자체가

 

 "절대적"인 것은 없고, 현실 사회에서는 남보다 나으면 성공합니다. 즉 절대적으로

 

1인자가 되어야 잘 되는 게 아니라 상대적으로 봐서 남들보다 조금 잘 하면 성공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이죠. 이것이 적자생존, 약육강식의 사회의 한 모습입니다.

 

 

* 사고 1 - " 나 = 남 "

 

  : 학교수업을 듣다보면 이해가 되서 공부하다가 딴 짓하는 경우들이 있다. 이럴 때

 

 사람들은 "나는 남보다 이해가 잘된다" 라고 생각하는 때이다. 나는(고변호사님)

 

 "나는 남과 같다" 라고 생각했다. 나는 남과 다를 게 없다고 보았고 그렇기 때문에

 

  결국에는 남보다 더 열심히 하는 수 밖에 없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공부가 재미없다",

 

 "일이 재미없다"라고 말하지만 이것은 당연한 거다. 세상에 공부가 재미있다면,

 

 지금 이자리(강연장, 1000명참석) 에 올 사람이 어디 있겠는가? 전부 도서관에서 공부하고

 

 있었을 꺼다. 온라인 게임을 일주일동안 밤샘하는 친구들은 그들이 왜 그렇게 목숨의

 

 위협을 받아가며 게임을 하는가? 재미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세상에서 공부를 그렇게

 하는 사람이 거의 없지 않은가? "세상에서 나만 공부를 싫어하는 것이 아니다."

 

 

==> 맨 처음에서 보셨던 것처럼 사회는 "상대성"이 있기 때문에 똑같이 공부를 싫어하는

 

  사람들이 있는 데 남들보다 좀 더 뛰어난 수완을 발휘하려면 남들보다 열심히 하는

 

 수 밖에 없다. 따라서 ( 내가 공부하기 싫은 것을 ) 남들보다 조금 더 참으면 그것이 바로

 

 "남들과 차별성"을 만든다. 그래서 나는 열심히 노력했고, 과외가 극성이던 시절

 

 부모님으로부터 과외지원을 받지 못해서 더더욱 노력을 해야 했다. 고3때 정말 4 ~5 시간

 

씩 자가며 공부를 열심히 했고, 대학에 합격하게 되었다. 대학에 합격한 후에, 1년동안

 

정말 즐겁게 놀았다. 부모님도 고3때 열심히 한 것을 안기에 뭐라고 하지 않았고, 1년을

 

즐겁게 놀고 1학년 겨울방학때 나는 사법고시를 준비할 생각을 했다. 50권을 사고 나니

 

"이걸 언제 다 읽나"하는 생각이 들었고, "보통 사람은 정말 이 50권을 다 못읽을 꺼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그 때 나는 "왠만한 사람이면 이 분량을 다 못 읽을 테니 내가 노력으로

 

 극복해서 50권을 읽을 수 있다면 충분히 이건 도전해 볼 만한 게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었고, 굳은 결심과 함께 사법고시에 "도전장" 을 내밀게 되었다.

 

 1차 시험까지 남은 시간은 "3개월"이지만,, 객관식 시험이야말로 뻔하지 않은가?

 

 충분히 어느정도 암기가 되면 합격할 수 있는 시험이라고 판단하고 시험을 봤다.

 

 그 후에........  1차 시험에 합격하였고 2차를 준비하게 되었다. 2차는 주관식이기때문에

 

 1차처럼 대충대충해서는 절대 합격할 수 없고, 50권을 전부 꼼꼼히 읽고 알아야 했다.

 

 "그래, 남보다 조금 더 읽고, 생각해서 쓰면 된다"

 

 

 나는 열심히 공부했다. 1년의 시험준비기간(2차)동안 50권의 책을 "7"번 보는 것으로

 

 결정했고, 하루에 17시간씩 공부했다. 밥을 먹으면 소화도 잘 안되고 잠이 많이 온다.

 

 그러기 때문에 일부러 오래 씹어가며 최대한 위에 지장을 덜 주려 노력했고,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밥먹으면서 책을 읽었다........   (2편에 계속...)

 

-------------------------------------------------------------------------

 

 

  고변호사님은 "나와 남은 같다"라고 생각하고 더 잘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제일

 

 중요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그래서 열심히 노력했고, 1차 시험에 3개월만에 합격했으며,,

 

 하루에 17시간 공부하는 엄청난 노력의 소유자였습니다........

 

 여러분들은 한 달이라도 이렇게 노력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혹자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 한 달만 정말 죽어라고 열심히 살아봐라. 그러면 인생이 달라진다. -

 

  참 많은 고민을 낳고, 아니 고민을 만들어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게 요즘

 

  사회의 한 모습일지 모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떤 노력을 하셨습니까?

 

  혹시 세상 불평만을 하고 스스로 노력을 게을리 하지는 않으셨나요?

 

  한 번 쯤 "나와 남은 같다"는 말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을 겁니다.

 

  공감하시면,, -오늘 아침 눈을 뜨시면 즐겁고 기분좋게 열심히 즐거운 일요일 보내세요.

 

  계획도 짜시고, 앞으로 어떻게 열심히 할까? 고민을 한 번 해보세요.

 

  인생이 달라지실 지도 모르는 일입니다.

 

 

 

  - 하루를 열심히 살면 한 주가 달라진다.

 

     한 주를 열심히 살면 한 달이 달라진다.

 

     한 달을 열심히 살면 1년이 달라지고,,

 

     1년을 열심히 살면 인생이 달라진다.   -  

 

Man is master of his fate because he is master of his attitude. No more effort is required to aim high in life, to demand abundance and prosperity, than is required to accept to misery and poverty.

인간이 자기 운명의 주인인 것은 자기의 태도를 관장하기 때문이다. 비참함과 가난을 수긍하기보다는 인생에서 목표를 높게 잡고 풍족과 번영을 갈구하는 편이 더 쉽다.
Two kind of people never get ahead: those who do only what they are told to do and those will not do what they are told. Your employer does not control the quality of service you render. You control that, and it's the thing that makes or breaks you.

절대로 출세하지 못하는 사람들에는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시키는 일만 하는 사람과 시키는 일조차 제대로 하지 않는 사람이다. 고용주는 업무의 질을 관리하지 않는다. 그것을 관리하는 사람은 여러분 자신이며 그것으로 여러분은 성공도 하고 실패도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