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photo-media.hanmail.net/200710/18/mk/20071018073510.898.0.jpg)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WB) 연차총회 참석차 출국하는 권 부총리의 첫 공식 일정이다.
함께 초청받은 사람은 중국 러시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등 7개국 재무장관들로 자국에서 '국부펀드(Sovereign Wealth Funds)'를 운용 중이라는 점이 유일한 공통분모라면 공통분모다.
이들 국가 경제수장이 '국부펀드 운용국'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한자리에 모이기는 이번이 처음이거니와 미국이 재무부 청사 안에 이들을 불러모은 것도 극히 이례적인 일이라는 게 금융계 안팎의 시각이다.
재경부 관계자는 "미국이 자국과 유럽 국가의 '국부펀드 공포증' 때문에 이들을 한자리에 모아 놓고 잔소리를 할 셈인 것 같다"고 전했다.
전체 국부펀드 규모의 절반은 원유 가스 등 원자재 수출국, 3분의 1은 아시아태평양 국가들 차지다. 1990년에만 해도 5000억달러에 불과하던 전 세계 국부펀드 운용자산 규모가 현재 약 2조~3조달러에 이르고 향후 10년 안에 13조달러에 육박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 전 세계 금융자산의 5%에 해당하는 크기다.
덩치가 크다고 문제될 건 없지만 서방 선진국들이 국부펀드를 골칫거리로 꼽는 이유는 이들이 '규제받지 않는 중간투자자'라서 금융공황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과 유럽의 기간산업을 쥐고 흔들까봐 걱정도 크다.
이 때문에 국부펀드 문제는 이번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회의 중요 의제로 논의될 가능성이 커보인다.
사이먼 존슨 IMF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최근 칼럼에서 조만간 국부펀드에 대한 IMF의 '손길'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며 넌지시 운을 뗐다.
그는 "약 3조달러 수준인 국부펀드가 현시점에서는 '깜'이 안 될지 모르지만 10조달러가 넘어가면 얘기가 달라진다"면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헤지펀드(2조달러)도 정밀심사를 받는 게 대세인 마당에 국부펀드는 자산, 부채, 투자전략 등이 베일에 쌓여 있잖냐"고 지적했다.
재경부 관계자는 "선진국들 처지가 이해는 가지만 금융보호주의로 흐르면 곤란하다"면서 "부총리는 만찬에서 이 같은 시각을 피력하면서 우리 국부펀드인 KIC(한국투자공사)는 국정감사와 정보공개 장치 덕분에 투명성 염려가 없다는 점도 홍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마틴 울프 파이낸셜타임스(FT) 칼럼니스트 말대로 우리는 이제 '국가자본주의가 휘젓는 신세계'에 살고 있다.
[경제부 = 김은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프리즘] 부산영화제, 이젠 내실 다져야 (0) | 2008.02.08 |
---|---|
[김기훈] 미온적인 (0) | 2008.02.08 |
[사설]우려되는 중국펀드 ‘묻지마 투자’ 열풍 (0) | 2008.02.08 |
[테마진단] 美금융불안 대책 서둘러야 (0) | 2008.02.08 |
[내생각은…] 메세나 활성화 정부가 거들어야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