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학교 경영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생입니다.

금융권, 정확히 하면 은행권에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다른 준비들도 차근 차근 하면되겠지만 관련 자격증도

아직 시간이 많으니 준비하려 합니다.

 

1 > 금융자격증은 진로를 잡아서 준비하라는 말을 많이 보았는데

은행권에 가기위해서는 은행FP 말고는 어떤걸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뭐 이정도가 보통 금융관련자격증에 기본들이라고

하는데 위 3개 모두 증권쪽에 더욱 관련되어있는데 은행쪽에 지원할때도

있어도 무방할까요? 주변에서는 무조건 따고보란식이라서요..

 

 

2 > CFP ( AFPC ) 같은 경우는 제 생각에는 학생때 딴다면 확실히 메리트도 있긴하겠지만

난이도나 비용면에서 관련직종에 취업 후에 해도 될거같은데..

 

 

3 > 투상, 선거상, FP 같은 자격증 독학으로 해야할듯 한데 물론 저 하기 나름이라지만

시험 공부 기간이나 방법에 대한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1 > 금융자격증은 진로를 잡아서 준비하라는 말을 많이 보았는데

은행권에 가기위해서는 은행FP 말고는 어떤걸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일반은행, 특수은행 등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선택할 특별부서에 맞춰 취업준비를 특화하시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예를들자면 은행업무도 개인금융과 기업금융으로 나뉘고, 개인금융은 일반영업, 영업지원, PB 등 지점근무등이 있으며, 기업금융에서는 본사특별업무로서 마케팅, 기업리서치, 파생상품, 외환관리, 기업여신심사, 리스크관리 등 수많은 핵심분야로 나뉩니다.

 일단 본인이 가고자 하는 은행을 선택하시고 특별핵심부서나 직책, 업무에 따른 자격증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만약 내가 XX은행 본사에서 근무하는 리스크관리부서에 취업을 하고싶다고 한다면 리스크관리 관련자격증인 FRM등을 집중적으로 준비하시거나, 개인금융으로 지점 PB업무에 취업하고자 하신다면 은행FP나 AFPK, CFP등을 준비하시거나 최근 자본시장통합법 추진에 따른 프라이빗뱅커들의 업무범위가 넓어지므로 증권, 보험, 부동산 관련자격증에 시간을 할애하시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이 자격증이 그 부서로서의 취업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부서에 취업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뭐 이정도가 보통 금융관련자격증에 기본들이라고

하는데 위 3개 모두 증권쪽에 더욱 관련되어있는데 은행쪽에 지원할때도

있어도 무방할까요? 주변에서는 무조건 따고보란식이라서요..

 

 있어도 없어도 은행에서는 별반 다를게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위 자격증이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업무가 바로 증권회사의 PB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은행의 PB업무관련 준비하신다면 있는것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없는 시간 쪼개서 무작정 준비하시는 것도 말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볼때, 해당 은행의 1차, 2차 통과자들의 후기등을 취업사이트에서 참고하세요. 은행마다 다 다릅니다. O,X는 말 못드리겠습니다.

 

2 > CFP ( AFPC ) 같은 경우는 제 생각에는 학생때 딴다면 확실히 메리트도 있긴하겠지만

난이도나 비용면에서 관련직종에 취업 후에 해도 될거같은데..

 

질문자님 말도 맞는 말씀입니다.

다만 CFP가 없이 대졸입사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되어있는가를 확인하세요. 분명히 취업때문에 고민하고 계신다면 뭔가가 모자르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FP없이 입사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보세요. 외국어, 각종경험, 공모입상, 학력, 성적 등등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3 > 투상, 선거상, FP 같은 자격증 독학으로 해야할듯 한데 물론 저 하기 나름이라지만

시험 공부 기간이나 방법에 대한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전공자이시니깐 학기중에도 틈틈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학기중에도 합격하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증권투자론, 선물옵션론, 투자론, 재무관리, 금융시장론 등 관련 수업을 꼼꼼히 듣는것도 많은 도움이 되며, 투상 >> 선거사 >> FP 순서로 학습하시면 순차적으로 쉽게 가실 수 있습니다. 맘만 먹고 오기로 하면 1년에 5~7개도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학기중에 말입니다. 정확히 몇개월 걸린다, 어떻게 하라는 말은 못드리겠습니다. 답은 열심히 해야 되니깐요.

 정말 취업준비때문에 고민하고 계신다면 질문자님의 이력서를 먼저 한번 써보세요.

무엇이 부족한지 무엇이 내게 가장 필요한지를 알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자격증 종류는 모두 얼마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무수히 많은 자격증....

민간자격증 목록


시행처 : 한국능률협회(인증)




네크워크전문가1급 네트워크전문가2급 웹마스터전문가1급
웹마스터전문가2급 웹페이지전문가1급 웹페이지전문가2급
정보검색사2급 정보검색사3급




시행처 : 한국생산성본부




경영진단사 원가관리사 전자상거래관리사
정보검색사 인증시험(KPC) 채권관리사 ITQ인증시험





시행처 :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시스템관리사전문가 웹콜마케터 2급 인터넷정보검색사 1급
인터넷정보검색사 2급 정보설계사전문가 M-Commerce관리사 2급





시행처 :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네트워크관리사1급 네트워크관리사2급 마이크로로봇2/3급
인터넷보안전문가1급 인터넷보안전문가2급 정보소양1급
정보소양2급 정보소양3급 PC정비사1급
PC정비사2급




시행처 : 교육소프트웨어지흥협회




회계정보사 IPCT 1급 IPCT 2급
SPCT




시행처 : 한국정보기술연구원




웹프로그래머 1급(WPC) 웹프로그래머 2급(WPC) 웹프로그래머 3급(WPC)





시행처 : 한국멀티미디어협회




멀티미디어 기술사 멀티미디어전문가 1급,2급




시행처 : 한국ATC협회




3DStudioMAX기술자격시험 공인강사자격시험 AutoCAD1급기술자격시험
AutoCAD2급기술자격시험




시행처 : 한국정보기술자격인증위원회




웹마케터(WMQ) 웹서버관리사1급(WSMC) 웹서버관리사2급(WSMC)
인터넷사무능력(iBQ)1,2급 인터넷활용능력(IAQ)




시행처 : 한국번역가협회




번역사1급 번역사2급 번역사3급





시행처 : 한국증권업협회




1종 투자상담사 2종 투자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FP)
일반운용전문인력 자산운용전문가 재무위험관리사(FRM)
증권분석사




시행처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사 사이버무역사 외환관리사1종
외환관리사2종




시행처 : 한국노사관계연구협회




사회보험관리사




시행처 : 한국한자교육연합회




한문교육지도사자격검정 한문품과자격검정 한자급수자격검정
한자논술성어자격검정




시행처 : 한국기술사회




건설사업관리전문가(CMP)




시행처 : 한국관광협회




관광숙박업종사원 국내여행안내원




시행처 : 한국여가레크레이션협회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시행처 : 한국메이크업분장예술가협회




메이크업분장가 2급 메이크업분장가 3급




시행처 : 한국아웃소싱기업협회




아웃소싱지도사




시행처 :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경영사




시행처 : TEPS사업본부




TEPS




시행처 : 한국세무사회




전산세무회계사




시행처 : 삼성멀티캠퍼스/중앙일보사




e-Test(Leaders) e-Test(Professionals) e-Test(Students)





시행처 : 정보통신(컴퓨터)자격관리협회




정보보안관리사(ISM) 1급 정보보안관리사(ISM) 2급 Internet 검색사 2급
Network Master PC Master Web DB Master 1, 2, 3급





시행처 : 삼일회계법인.전경련




회계관리1급 회계관리2급 회계관리사





시행처 : 한국농아인협회




수화통역사




시행처 : 한국과외지도사협회




과외학습지도사




시행처 : 한국번역능력평가원(ETAT)




G-ETAT(일반번역시험) pre ETAT S-ETAT(전문번역사시험)






국가자격증목록



시행처 : 한국산업인력공단




기계(111) 금속(46) 섬유(29) 정보처리(8) 농림(41)
통신(26) 항공(15) 위생(7) 산업응용(59) 식음료품(11)
전기(18) 토목(29) 해양(26) 안전관리(18) 광업자원(19)
전자(15) 건축(45) 공예(22) 산업디자인(6) 화공및세라믹(20)




시행처 : 대한상공회의소




무역영어1급,2급,3급 비서2급,3급 세무회계1급,2급,3급
워드프로세서1급 워드프로세서2급 워드프로세서3급
전산회계사2급,3급 전자상거래관리사2급 전자상거래운용사
컴퓨터활용능력 1급 컴퓨터활용능력 2급 컴퓨터활용능력 3급
판매관리사1급,2급,3급 한글속기(컴퓨터)1,2,3급




시행처 : 건설교통부




감정평가사 건축사 공인중개사
도로교통 안전관리자 물류관리사 삭도교통 안전관리자
선박교통 안전관리자 주택관리사보 항공조종사





시행처 : 교통안전공단




사업용 조종사 운송용 조종사 운항관리사
자가용 조종사 항공공장정비사 항공교통관제사
항공기관사 항공사 항공정비사





시행처 : 문화관광부




도자기공예산업기사 무대기계전문인 무대예술전문인
무대음향전문인 무대조명전문인 박물관(미술관)1급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2급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3급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준학예사
청소년 지도사




시행처 :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성동위원소취급(감독) 방사성동위원소취급(일반) 방사성동위원소취급(특수)
원자력조종감독자 면허 원자로조종사 면허 핵물질취급 면허





시행처 : 특허청




변리사




시행처 : 한국관광공사




관광통역안내원 호텔지배인1,2급 호텔총지배인





시행처 : 금융감독원




공인회계사 보험계리인 보험중개인
손해사정인




시행처 : 노동부




공인노무사 국제회의기획전문가1급,2급 국제회의기획전문가3급





시행처 : 한국해양수산부




기관사 소형선박조종사 운항사
통신사 항해사




시행처 : 보건복지부




간호 조무사




시행처 : 관세청




관세사




시행처 : 국세청




세무사 주조사




시행처 : 경찰청




기계경비지도사 일반경비지도사




시행처 :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경영지도사 기술지도사




시행처 : 한국가스안전공사




가스시설 시공관리자 온수보일러 시공자




시행처 : 행정자치부




행정사




시행처 : 국립보건원




안경사 임상병리사









국제자격증목록




MCDBA MCP MCP + Site Building
MCP+Internet MCSA MCSD
MCSE MCSE_Internet MCT





시행처 : SUN(썬마이크로시스템즈)




CSA NCIP SCAJ
SCJD SCJP SCNA





시행처 : COMPAQ(컴팩코리아)




Alpha Tru64 UNIX V5.0 ASE Pro Intranet/Internet ASE Pro Oracle
ASE Pro SQL Server Compaq/Alpha Linux ASE Compaq/Intel Linux ASE
Netware ASE StorageWorks ASE Windows 2000 NT ASE





시행처 : HP(휴렛팩커드)




NT/응용프로그램관리자 OpenView네트웍관리자 UNIX/응용프로그램관리자
UNIX/NT통합관리자 UNIX시스템관리자




시행처 : ADOBE(어도비)




ACE ACS ACTP





시행처 : Macromedia(매크로미디어)




MQFU MSC




시행처 : NOVELL(노벨)




CIP CNA CNE
CNI MCNE




시행처 : IBM(아이비엠)




AIX-RS/6000 자격인증 AS/400e 자격인증 프로그램 DB2 자격인증 프로그램
Netfinity Tivoli




시행처 : CISCO(시스코)




CCDA 인증 CCDP 인증 CCDP WAN 스위칭 인증
CCIE 인증 CCNA 인증 CCNA WAN 스위칭 인증
CCNP 인증 CCNP WAN 스위칭 인증




시행처 : ORACLE(오라클)




Application Apps Dev R1 Apps Dev R2
Consultant OCP인증시험 OCP-DBA 8.0
Oracle Database Operator




시행처 : YBM(시사영어사)




EEPA JPT SEPT
TOEIC TOEIC Bridge TWT





시행처 : LINUX(리눅스)




LPIC RHCE




시행처 : 한국 3COM(쓰리콤)




3WIZARD MNS




시행처 : CFP BOARD




CFP(국제 재무설계사)




시행처 : 로터스 코리아




CLP




시행처 : 한국감사협의회




CIA(국제공인내부감사사)




시행처 : ALMR(미 투자경영분석협회)




CFA(국제재무분석사)




시행처 : FRM 코리아




FRM




시행처 : IMA(미 공인관리회계사협회)




CMA(공인관리회계사)




시행처 : 한국 정보시스템 감사통제협회




CISA




시행처 : AICPA




AICPA(미국공인회계사)




시행처 : 한국선물협회




AP(선물중개인)




시행처 : APICS




CIRM(통합자원관리사) CPIM(생산재고관리사)




시행처 : ETS




TOEFL




시행처 : COMPTIA




A+ I-NET+ NETWORK+





시행처 : 한미교육위원단




GMAT




시행처 : G-TELP 한국위원회




G-TELP




시행처 : INFORMIX




4GL Developer Database Specialist System Administrator





시행처 : (재)일본국제교육협회




JLPT




시행처 : SAP 코리아




R/3 컨설턴트




시행처 : HSK 실시위원회 한국사무국




고등HSK 기초HSK 초중등HSK





시행처 : 한국증권분석사회




CIIA(국제공인투자분석사)




시행처 : LTI




LTI




시행처 : (사)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




PMP






자세한건 http://www.hak1.net/LIcense/ 여기로 한번 가보세요

자격증 정보나 지원자격등 세부사항등을 볼수 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이상 물이랑이였습니다..^^ 행복하세욥~~!!

비즈공예 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은데요.

일반 비즈공방에서 자격증을 취득하게 도와준다고 하던데..

정확한 자료도 없고 해서..

 

비즈공예 자격증의 정확한 자격명이 무엇이며.

주체가 어딘가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비즈공예 자격증 관련 정보 싸이트  

 

* 한국 구슬공예협회 - http://www.koreabeads.co.kr/default.asp

 

 * 한국 핸드메이드협회 - http://www.koreadiy.net/00index.html

 

* 한국능률협회 사회교육원 -  http://kmase.com

 

 

비즈공예 자격증 자격명? 비즈 아티스트 ,비즈스페셜리스트자격증

 

주체?

비즈공예쪽은 국가공인 자격증이 없습니다.

각 사단법인에서 각자가 인증하는 자격증밖에 없습니다.

 

2005.8.20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 따르면 민간자격증은 지난해 기준으로 550여개.
지난 98년 이후 매년 적게는 8개에서 많게는 93개에 이르기까지 각종 민간자격증이 새롭게 태어났다.

이마저 자발적인 신고를 통해 파악한 수치로 정확하진 않다.

발빠른 기술변화를 따라가기 위해 지난 1998년 도입된 `자격 기본법`에서 허가나 신고 절차가 없어도 누구나 민간자격증을 만들 수 있도록 허용했기 때문이다.

현재 국가가 공인한 민간자격증은 45개에 불과하다.

참고로 자격증은 크게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으로 나뉜다.

국가자격증(637개, 2004년 12월 말 기준)은 다시 국가기술자격증과 기타 개별 법령에 의한 자격증(115개)으로 구분된다.
 
국가기술자격증은 현재 산업인력관리공단(616개)과 대한상공회의소(21개)가 나눠 관리 중이다.

문제는 민간자격증의 실태 파악이 전혀 안 되고 있다는 것.
누가 어디서 어떤 자격증을 발급하고 있는지 정보가 거의 없다.
최악의 경우 시험이 취소돼 응시료만 날리거나 합격한 응시자의 기록이 사라질 수도 있다.
응시자가 거의 없는 일부 자격증 시험은 `취업 100% 보장`이란 광고를 쏟아내고 있어 가뜩이나 취업난에 시달리는 응시자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헤럴드경제 2005. 1. 27
 
국가공인민간자격은 자격기본법에 따라 국가자격증과 동일한 효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국가자격증
한국산업인력공단

정보처리 전기 전자 공예 교통
국토개발 산업디자인 조선 통신 화공/세라믹
환경 건축 광업자원 금속 기계
농림 산업응용 섬유 안전관리 에너지
위생 식음료품 토목 항공 해양
전문사무 기초사무 신설

건설교통부

건축사 감정평가사
주택관리사(보)

건설교통부(한국물류협회)

물류관리사

건설교통부[주관:한국산업인력공단]

공인중개사

경찰청

기능검정원/강사[운전면허. 학과/기능]

경찰청[운전면허시험관리단]

자동차운전면허 원동기운전면허(원동기장치자전거, 오토바이)


관세청

관세사

교육인적자원부

사서교사
실기교사
양호교사
전문상담교사
유치원정교사
초등학교정교사
중등학교정교사
특수학교정교사


교통안전공단

[항공종사자]운송용조종사 [항공종사자]사업용조종사
[항공종사자]자가용조종사 [항공종사자]항공기관사
[항공종사자]항공교통관제사 [항공종사자]항공정비사
[항공종사자]항공공장정비사 [항공종사자]운항관리사
도로교통 안전관리자 삭도교통 안전관리자
선박교통 안전관리자 철도교통 안전관리자
항공교통 안전관리자 항만하역교통 안전관리자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수의사

국민체육진흥공단 체육과학연구원

1급 경기지도자 2급 경기지도자
1급 생활체육지도자 2급 생활체육지도자
3급 생활체육지도자

국세청

세무사 주조사


금융감독원

공인회계사

농림부

가축인공수정사 농업사
어업사 임업사
전통식품명인

농수산물유통공사

경매사

대한상공회의소

판매관리사 전자상거래관리사 1급
전자상거래관리사 2급 한글속기
비서 1급

문화관광부

박물관(미술관) 1급 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 2급 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 3급 정학예사 박물관(미술관) 준학예사


문화관광부[무대예술전문인 자격검정위원회]

무대기계전문인[무대예술전문인] 무대조명전문인[무대예술전문인]
무대음향전문인[무대예술전문인]

문화관광부[주관:한국청소년상담원]

청소년상담사 3급 청소년상담사 2급
청소년상담사 1급

문화관광부[한국도서관협회]

사서

문화재청

문화재수리기술자 문화재수리기능자


법무부

변호사

법원행정처[대법원]

법무사

보건복지부

안마사 장애인복지지도원


보건복지부[주관:한국사회복지사협회]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사 1급[국가시험]


보건복지부[주관:한국임상심리학회]

정신보건임상심리사

산림청

영림기술자 산림토목기술자


산업자원부[한국인정원]

ISO9000인증심사원 ISO14000인증심사원


전국 광역자치단체

간호조무사
수렵면허


정보통신부[무선관리단]

아마추어무선기사 항공무선통신사
해상무선통신사 육상무선통신사
제한무선통신사

주관처 : 금융감독원 / 시행처 : 보험개발원

보험계리인 손해사정인
보험중개인

중앙소방학교

소방시설관리사 화재조사자격시험(화재조사관 전문자격)


특허청

변리사

한국경영기술컨설턴트협회

기술지도사 경영지도사


한국관광공사

관광통역안내원 호텔 총지배인
호텔 1급 지배인 호텔 2급 지배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안경사 의무기록사
간호사 조산사
의사 치과의사
한의사 약사
한약사 영양사
위생사 응급구조사(1급·2급)
의지보조기기사 방사선사
위생시험사 임상병리사
치과위생사 치과기공사
작업치료사 한약조제사


한국산업인력공단

일반경비지도사 기계경비지도사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원자력면허시험]핵물질취급 면허[취급자] [원자력면허시험]핵물질취급 면허[감독자]
[원자력면허시험]방사성동위원소취급(RI) 면허[일반] [원자력면허시험]방사성동위원소취급(RI) 면허[감독]
[원자력면허시험]방사성동위원소취급(RI) 면허[특수] [원자력면허시험]원자로조종 조종사[RO]
[원자력면허시험]원자로조종 조종 감독자[SRO] 원자력면허시험(일반정보)


한국청소년개발원

청소년지도사

해양경찰청

동력수상레저기구 조종면허[일반, 요트]

해양수산부

감정사 검량사
검수사 도선사
위험화물적재선박승무원 구명정수


해양수산부(한국해양수산연수원)

기관사[해기사] 소형선박조종사[해기사]
운항사[해기사] 통신사[해기사]
항해사[해기사] 의료관리자[해기사]


행정자치부

행정사

CFTC

AP[미국공인 선물중개인]



(사)정보통신(컴퓨터)자격관리협회
PC Master Internet 검색사
NetWork Master 정보보안관리사(ISM) 2급
정보보안관리사(ISM) 1급

(사)한국선물협회
선물거래상담사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국가공인]점역, 교정사

(사)한국아웃소싱기업협회

아웃소싱지도자 2급 (아웃소싱 전문실무자) 아웃소싱지도자 3급 (아웃소싱 초급실무자)
아웃소싱지도자1급(아웃소싱컨설턴트)

각 대학별[평생교육원]

평생교육사[1급, 2급, 3급]

관할관청(각 시.도 택시운송사업조합)

택시운전자격시험

교육소프트웨어진흥센터

IPCT 2급 회계정보사 1급
회계정보사 2급 회계정보처리사 1급
회계정보처리사 2급 IPCT 1급
SPCT

교통안전공단(민간)

교통사고분석사

국제교류진흥회

SEPT twt
EEPA

국제영어능력자격검정원

초등영어교사 TOED(영어논술자격검정)
S-TOED(시니어 영어논술자격검정)
J-TOED (쥬니어 영어논술자격검정)
Y-TOED (어린이 영어논술자격검정)
PC-TOED(초등어린이 영어논술자격검정)
영어논술교사[CEDT]
유아영어교사(교육사)[KET]
보육영어교사(교육사)[CNET]
영어발음 자격검정[EPQT]
초등영어회화 자격검정[YC-TOEP] 1~6 급
영어회화 자격검정[EC-TOEP(TOQ)]
ABA방송아나운서 자격검정 국어(한국어)논술 자격검정[TOKD]
영어어휘 자격검정[EVQT] 실용영어회화 자격검정[JC-TOEP]


대한글씨검정교육회

[국가공인]펜글씨검정

대한민국한자급수자격검정회

한자급수자격 시험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국가공인]병원행정사

대한상공회의소(민간)

[국가공인]무역영어
[국가공인]산업기계정비사
[국가공인]사출금형제작사 [국가공인]프레스금형제작사
[국가공인]전기계측제어사 [국가공인]기계전자제어사
[국가공인]치공구제작사 [국가공인]CNC기계절삭가공사
[국가공인]기계설계제도사 [국가공인]기계및시스템 제어사
[국가공인]공작기계절삭가공사 [국가공인]자동화설비제어사
[국가공인]산업전자기기제작사 [국가공인]컴퓨터운용사
[국가공인]가구설계제도사

삼일회계법인, 전경련

재경관리사 회계관리 1급
회계관리 2급

생명보험 언더라이팅회[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 언더라이터

생명보험협회

변액보험 판매관리사[변액보험 판매자격시험] 생명보험모집인


생명보험협회. 대한손해보험협회

종합자산관리사[FP, Financial Planner, 보험]

언어문화연구원

국어능력인증시험(KET)

주관:(사)한국어문회 시행:韓國漢字能力檢定會)

[국가공인]한자능력급수(한자능력검정)

투자신탁협회(KITCA)

일반운용전문인력(Registered Fund Manager)

한국 ATC협회

AutoCAD 2급 기술자격시험 AutoCAD 1급 기술자격시험
3D Studio Max 기술자격시험

한국과외학습지도사협회

과외학습지도사

한국관광협회

국내여행안내원 관광종사원


한국광고사업협회

[국가공인]옥외광고사

한국구매자재관리협회

[국가공인]구매자재관리사[KPM]

한국금융연수원

[국가공인]신용분석사 CRA (신용위험분석사)
[국가공인]여신심사역(대출심사역) [국가공인]국제금융역
자산관리사[FP]

한국금융채권협회

금융채권관리사

한국노사관계연구협회

사회보험관리사 1급 사회보험관리사 2급
사회보험관리사 3급

한국마사회

조교사

한국멀티미디어협회

멀티미디어 전문가 멀티미디어 기술사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사 외환관리사(2차)
외환관리사(1차) 사이버무역사


한국미술치료학회

임상미술전문가[미술치료사(KATR), 미술치료전문가(PATR)]

한국발명진흥회

특허관리사

한국번역가협회 (KST)

번역사 1급 (직업번역능력인정시험) 번역사 2급 (전문번역능력인정시험)
번역사 3급 (일반번역능력인증시험)

한국번역능력평가원, 매경지식정보화센터

G-ETAT S-ETAT 1급 (Specialized ETAT)
S-ETAT 2급 (Specialized ETAT)

한국분재조합

[국가공인]분재관리사

한국생산성본부

경영진단사 원가관리사
채권관리사

한국생산성본부(ITQ검정사업센터)

[국가공인]정보기술자격(ITQ)시험

한국세무사회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1급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2급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3급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4급
세무회계 1급 세무회계 2급
세무회계 3급

한국수목보호연구회

[국가공인]수목보호기술자격

한국아로마테라피인증학회

아로마테라피스트[1급, 2급, 강사급]

한국외국어대학교, 매일경제신문사

매경 FLEX (외국어활용능력검정시험)

한국외국어평가원

[국가공인]
실용영어
실용한자
초등영어
실용영작
초등영작

한국인테리어코디네이션학회
인테리어코디네이터(ICA)

한국전산원

[국가공인]정보시스템감리사

한국정보관리협회

[국가공인]문서실무사 4급 [국가공인]문서실무사 2급
[국가공인]문서실무사 3급 [국가공인]문서실무사 1급


한국정보기술연구원

웹프로그래머 1급(WPC) 웹프로그래머 2급(WPC)
웹프로그래머 3급(WPC)

한국정보기술자격인증위원회(KITLCC)

웹서버관리사(WSMC) 2급 웹서버관리사(WSMC) 1급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공무원NIT 평가본부

[국가공인]공무원정보이용능력평가(NIT : National Information Competence Test)

한국정보보호진흥원/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정보보호전문가 1급[SIS,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정보보호전문가 2급[SIS, Specialist for Information Security]


한국정보산업연합회 PCT본부

[국가공인]PC활용능력평가시험(PCT)

한국정보통신교육원

[국가공인]DIAT(다이어트 : 디지털정보활용능력)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부설 한국정보통신인력개발센터

정보설계사 시스템관리사
[국가공인]인터넷정보검색사-전문가
[국가공인]인터넷정보검색사 2급
[국가공인]인터넷정보검색사 1급
웹콜마케터 2급
M-Commerce관리사 2급
리눅스마스터 2급
리눅스마스터 1급

한국정보통신자격협회

PC정비사 1급
PC정비사 2급
네트워크관리사 1급
[국가공인]네트워크관리사 2급
인터넷보안전문가 1급 정보소양


한국정책능력진흥원

[국가공인]정책분석평가사

한국제약협회 MR 교육부

MR(의약정보담당자)

한국증권업협회

증권분석사 1종 투자상담사
2종 투자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FP)
재무위험관리사(FRM)

한국직업연구진흥원

S.M.P(Sport Marketing planner)

한국한자교육연합회

한문교육지도사자격검정
한문품과자격검정
한자논술성어자격검정
한자급수자격검정


한국FP협회

AFPK(Associate Financial Planner Korea) CFP(CERTIFIED FINANCIAL PLANNER)


홍보관리사인증위원회

홍보관리사[PiM]

C.M.P인증본부

C.M.P(캐릭터마케팅기획자)

e-Test 인증위원회

[국가공인] E-Test (e-Professionals)
E-Test (e-Leaders)
E-Test (e-Students)

ICPI인증본부

ICPI (전문강사자격)

Jtra 시험관리위원회

JTRA

TEPS관리위원회

[국가공인]TEPS[영어능력검정]

TIQ 인증본부 사무국

TIQ (Test of Internet & computer Qualification)



(재)일본국제교육협회

일본어 능력시험(JLPT)

국제교류진흥회

JPT

러시아교육부 - [국내대행]계명대학교 국제센터

토르플(TORFL)

매크로미디어 국제공인자격협의회

Certified Macromedia Flash Developer

미국구매관리협회(NAPM)

CPM (미국공인 물류 및 구매관리자 자격증)

미국용접협회 - [국내대행]한국용접공업협동조합

CWI(용접검사원)

시스코시스템즈(Cisco Systems)

CCIE (Cisco Certification Internetworking Engineering) CCNP (Cisco Certification Network Professional)
CCNA (Cisco Certification Network Associate) CCDA (Cisco Certification Design Associate)
CCDP (Cisco Certification Design Professional)

한국 HSK 실시위원회

기초 HSK(한어수평고시)
초중등 HSK(한어수평고시)
고등 HSK(한어수평고시)

한국감사협의회

CIA(국제공인내부감사사)

한국어도비시스템즈(Adobe)

ACE(Adobe Certified Expert)

한국프로젝트관리기술회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휴렛팩커드

HP-UXP (HP-UNIX 시스템관리자)
HP OVP-NWM (HP OpenView 네트워크 관리자)
HP OVP-UAM (HP OpenView UNIX app. 관리자)
HP OVP-NAM (HP OpenView NT app. 관리자)
HP UX/NTP (UNIX/NT 통합시스템 관리자)

ACFE[한국CFE협회]

CFE(Certified Fraud Examiner)

ACIIA(국내주관: 한국증권분석사회)

국제공인증권분석사(Certified International Investment Analysts:CIIA)

AICPA

AICPA (미국공인회계사)

AICPCU

CPCU(Chartered Property Casualty Underwriter)

AIMR

국제재무분석사(CFA)

APICS[국내주관: 한국조직자원관리협회(KPICS)]

CPIM(생산재고관리사) CIRM (통합자원관리사)


asq

GSEC(GIAC Security Essentials Certified) CSQE(Certified Software Quality Engineer)


CCIM Institute

CCIM[상업(수익)용 부동산 투자분석사)

CII(주관: 한국보험교육위원회)

CIP(Certificate of Insurance Practice)

CIW

CIW Associate(Foundation) CIW Professionals
Master CIW

COMPAQ

Windows NT ASE Netware ASE
StorageWorks ASE Tru64/UNIX ASE V4.0
Windows 2000 NT ASE Compaq / Intel Linux ASE
Compaq / Alpha Linux ASE Alpha Tru64 UNIX V5.0
ASE Pro Oracle ASE Pro SQL Server
ASE Pro Intranet/Internet ASE Pro High availability and Clustering


compTIA

Network+ Certification

DRI International

CDRP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s)

TOEIC

ETS(Educational Testing Services)-한미교육위원단

TOEFL GRE (Graduate Record Examination)


GARP

FRM(국제금융위험관리전문가)

G-TELP 한국위원회

G-TELP JR G-TELP


IBM

IBM-DB2 IBM-Cerified Special
IBM-Cerified Expert

IMA(미국공인관리회계사협회)

CMA(공인관리회계사)

INFOMIX

INFOMIX DBA

ISACA(정보시스템감사통제협회)

CISA(국제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

ISC2

CISSP

Lotus

CLP-Administrator CLP-Developer
CLP-Pricipal Developer CLP-Pricipal Admin
CLI-Developer CLI-Administrator


LPI

LPIC(Linux Professional Institute Certificataion)

Macromedia Korea

MQFU

Microsoft

MCSA MCSE
MCSE+Internet MCDBA
MCT(Microsoft Certified Trainer) MCSD (Microsoft Certified Solution Developer)
MCP + Site Building MCP(Microsoft Certified Professional)


Microsoft

MCAD

Microsoft (MOUS)

MOUS(Microsoft Office User Specialist)

Novell

CIP(Certified Internet Professional ) NCIP(Novell Certified Interner Professional)
CNI (Certified Novell Instructor) CNE(Certified Novell Engineer)
CNA(Certified Novell Administrator)

Oracle

OCP(Oracle Certified Professional)

REDHAT

RHCE(Red Hat Certified Engineer : 레드햇 인증 엔지니어)

SAP KOREA

SAP R3 (컨설턴트 인증시험)

SHRM

PHR SPHR


SIEBEL

SIEBEL-(SCC/SCCC/SCI/SCBA)

Society of Actuaries

ASA(미국 보험계리사)

Sun

CSA(Certified Solaris Administrator) SCNA(Sun Certified Network Administrator)
SCJD (Sun Certified Java Developer) SCAJ (Sun Certified Architect for Java Technology)
SCJP(Sun Certified Java Programmer) SCCD(Sun Certifie d Web Component Developer for J2EE)


Sybase

Sybase DBA Sybase PTS
SCP-Associate SCP-Professional



이상,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원하시는 정보를 찾아내시기를 바랍니다.
우선 저는 3월에 복학을 앞두고있는 복학생입니다.

과는 경영학관데.. 1학년 마치고 바로 군대를 다녀와서 기억나는건 거의 없습니다..

그래도 공부하려는 의지는 불타올라서-_- 제가 가고싶은 진로쪽을 알아보다가

우선 각종 자격증을 취득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금융권쪽으로 가고싶은데요 우선 투자상담사 시험을 보려고합니다.

제 기초지식은 별로 없다고 보는데요 시스컴출판사에서 나온 증권투자 상담사 4주완성(이론서)

이라는 책을 샀습니다.

내용을 대충 훑어봤는데 역시 처음보는 낯선것들이더군요..

서두가 길었는데 본격적인 질문들어가겠습니다.

첫번째, 앞에서도 말했듯이 제가 기본지식이 별로 없는상태인데, 이 이론서 책한권으로 공부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더 필요한게 있다면 조언부탁드립니다.

두번째, 시험일정을 보니까 올해 3월하고 10월경에 두번있더군요.

지금부터 도서관에서 살 작정인데 3월달에 시험봐도 무리가 없겠는지요.. 그리고
3월달에떨어져도 10월에 또 볼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세번째, 증권투자상담사 1종과 2종이 있는데 제가 오늘 산책은 그냥 증권투자상담사 4주완성 이라고만 나와있거든요.. 이게 1,2종 다 합쳐나와있는건지..
어떻게된건지 궁금합니다.

네번째, 1종과 2종은 시험을 따로 보는겁니까? 그렇다면 어느걸 먼저 봐야하는지요.. 1종을따야 2종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생긴다던지..하는 걸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아시는 분은 꼭 답변해주세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개인적인 경험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 위주로..^^)

 

 

첫번째, 앞에서도 말했듯이 제가 기본지식이 별로 없는상태인데, 이 이론서 책한권으로 공부해도 괜찮은지 궁금합니다. 더 필요한게 있다면 조언부탁드립니다.

 

==> 금융지식은 하루 이틀 안에 쌓이는 것이 아닙니다.

        혹자들은 투상같은 경우 한달이면 된다, 2주면 된다고 하는 분들이 많은 데

       그렇게 공부해서 합격은 하더라도 다 까먹습니다.

       진정한 금융지식이 내공으로 쌓여질려면 하나 하나 천천히 이해하며 학습해야

       한다고 봅니다. 보통 바이블이 증권업 협회에서 나오는 증권투자상담사 4권짜리

      이구요 1권짜리는 아마 요약집 일 것 입니다.



두번째, 시험일정을 보니까 올해 3월하고 10월경에 두번있더군요.

지금부터 도서관에서 살 작정인데 3월달에 시험봐도 무리가 없겠는지요.. 그리고
3월달에떨어져도 10월에 또 볼수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3월에 떨어지셔도 10월에 시험 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준비하시면 충분합니다.

 


세번째, 증권투자상담사 1종과 2종이 있는데 제가 오늘 산책은 그냥 증권투자상담사

4주완성 이라고만 나와있거든요.. 이게 1,2종 다 합쳐나와있는건지..
어떻게된건지 궁금합니다.

==> 투자상담사 2종 시험이 증권투자상담사로,

        투자상담사 1종 시험이 선물거래상담사로 시험 명칭이 변경되었습니다.

        증권투자상담사라 함은 투자상담사 2종에 관련된 것이므로

        선물거래상담사(투자상담사 1종)에 대한 내용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네번째, 1종과 2종은 시험을 따로 보는겁니까? 그렇다면 어느걸 먼저 봐야하는지요.. 1종을따야 2종을 볼 수 있는 자격이 생긴다던지..하는 걸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증권투자상담사(구 2종 투상)와 선물거래상담사(구 1종) 투상은 별개의 시험입니다.

   예전에는 2종을 취득해야 1종을 취득할 수 있었지만 지금은 2가지 자격증 아무거나

  먼저 준비하시면 됩니다.

 

 

  금융공부는 절대로 녹록하지는 않습니다.

  군대에서 느끼셨던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가지시고 정말 군대보다 열심히 하셔야 합니다.

  저는 금융자격증 까페에서도 오랜기간 운영자를 하고 있고,

  지금은 금융교육기관인 WOWPASS금융전문학원에서 자격증 컨설팅 및 상품개발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자격 과정에 대해 다른 궁금점이 있으시면 나중에 E-mail 또는 한번 방문해주시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E-mail은 wowpasscenter@wowpass.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아시는 분은 꼭 답변해주세요..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드립니다.

금융쪽에 관심이 있어서(물론 취직..)

알아보니 fp자격증이라는게 있던데

어떤건지 자세히 알려주세요...

시험 과목이랑 공부방법...평균적으로 걸리는기간(경영전공 안했구요..)..

 

학원도 있나요??

여기 부산인데 온라인으로도 수강하는 곳이 있는지...

그리고 은행 fp랑 증권 fp가 있다던데 두개가 다른 자격증인가요??

 

마지막으로 그외 금융계통으로 가기 위해 필요한 자격증 알려주세요

토익은 빼구..^^;;(이제 상식이니...;;;)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증권FP 와 은행 FP 는 별개입니다.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 FP, 국내FRM 등의 증권관련 자격증이 있구요..

 

검색하면 자격증을 위해 인터넷으로 강의를 들을 수 있는 사이트가 여러개 나옵니다.

 

http://www.epasskorea.com  이 사이트에 가시면 각 과목별로 소개도 나와있고 님이 보시기에 적당한 듯 하네요..

 

물론 다른 사이트도 있으니 증권투자상담사로 검색하셔서 들어가보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금융권 취업을 준비 중이시군요.

 

각설하고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국내 FP자격에는 증권FP(자산설계전문인력), 은행FP(자산관리사), 보험FP(IFP), AFPK(한국FP협회 주관), CFP(한국 FP협회 주관)의 5개의 FP가 있습니다.

 

증권FP  :  증권연수원(증권업협회 산하)이 주관하는 시험으로서 증권회사에서 위탁매매, 자산관리, 랩어카운트 등 종합적인 자산관리를 하기위한 자격증입니다. 국가인증 자격은 아니지만, 증권회사에서 PB업무나, FP( Financial Planer)로 활동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자격증입니다.(4지선다형, 과목별 과락 40점 미만, 합격 총점(평균) 70점이상)

 

은행FP  :  한국금융연수원에서 시행하는 국가인증자격입니다. 주로 은행상품과 은행에서 PB나 FP로 활동하기 위해서 취득하는 자격시험이지만, 국가인증 자격에 비해 CFP의 그늘에 가려져 선호도가 낮은 편입니다. (5지선다형, 과목별 과락 50점미만, 합격 총점(평균)60점)

 

IFP  :  보험연수원에서 시행중인 자격증으로 FP중에서 비교적 쉬운 난이도와 IFP 합격시 변액보험판매사라는 자격을 추가 부여하여 보험업계 취업시 유리한 자격증입니다. 단 증권, 은행 취업시는 별 도움을 받지 못한다고 합니다. (4지선대, 과락 40점, 합격 60점)

 

AFPK, CFP  :   한국FP협회에서 시행중인 AFPK와 CFP는 현재 금융관련 취업생 및 금융기관에서도 많은 선호도를 가진 자격시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절대적인 사항은 아닙니다. 그 이유는 AFPK와 CFP모두 한국FP협회 지정 교육기관에서 교육이수를 하여야만 시험응시 자격이 있고, CFP자격을 위해서는 AFPK의 교육 및 합격, CFP의 교육과 CFP시험 합격이라는 비교적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야 하는 자격시험입니다. 비교적 은행, 보험계 입사시 CFP의 난이도로 대우를 받는 현실입니다. (CFP의 교육이수를 받으려면 교육비만 100만원 이상(교육기관 별로 상이함) 지출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자격시험에 준비하시려면 우선 자신이 입사하고자 하는 금융기관의 분류를 정확히 파악하시고, 그에 대한 자격시험 및 공부를 하시는 것이 바람직 하리라고 생각합니다.

금융기관의 입사경쟁은 아시겠지만, 매우 치열합니다. 지방은행 경쟁률만 접해보아도 취업준비생의 입장으로서는 숨이 막힐 지경입니다. 그래서 제가 이렇게 강력하게 언급하는 이유도 증권이면 증권관련 자격시험, 은행이면 은행관련, 보험이면 보험관련 등 분야에 특화된 취업준비를 하는 것이 취업에 대한 지름길이자 쉬운 방법이라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우선 질문하신 내용에서 증권 FP혹은 은행FP 자격시험의 준비기간과 공부 방법을 물으셨는데, 저의 주관적인 입장으로는 비전공자의 경우 학교공부와 겸하신다면 3개월은 준비하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무조건 3개월 이상을 해야하는것은 아니고, 엄연한 합격선을 넘기위해 안정적인 준비 기간이죠. 이 역시도 비전공자임을 감안하여 학원강의(온, 오프라인)을 겸하였을때 말입니다.

자격시험 준비하시는 분마다 시간상의 차이와 이해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명확한 답은 내리지는 못하지만, 공부에 진실되게 투자한 시간과는 비례한다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FP시험에는 이론적으로 단순 암기가 요구되는 과목들도 있지만, 이해를 요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이해를 요하는 부분에는 주식과 채권 및 파생상품에 기초지식이 없다면, 학원강의를 꼭 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주식의 기술적지표들, 채권상품의 구조, 선물옵션의 구조와 헤지,차익,투기 등등은 선물거래상담사의 수준 이상으로 출제되지는 않지만, 상품구조를 이해하여야 쉽게 다가갈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3개월동안 학원강의로 FP자격시험을 본다고 가정할때의 공부방법은...

이 또한 개인차가 존재하지만, 은행 및 증권 FP 교재들을 보면 두꺼운 책으로 이루어져 6~7권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그래서 각 권별 또는 파트별로 이론공부와 문제집을 통한 부분 로테이션 공부를 권해드립니다. 한번에 처음부터 끝까지 한번만 학습하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왔을때의 머릿속에 있는 학습잔량은 암기력이 보통이상수준이 아닌한 많이 남아있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각 부분별 이론학습과 문제집을 통한 유형파악을 통해 반복학습을 하는 것이 합격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저의 주관적인 의도는 공부하시는 분들께서 공부하면서 수정해 나가면 더 좋은 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한 기출문제 등도 인터넷 금융자격증 카페등을 통해 습득하여 시험보기 전에 보고 가시는 것도 많이 도움 되실 것입니다.

 

금융계통에 필요한 자격증을 열거 해보겠습니다.<단순참고용>

(현직에 종사하시는분들에게는 약간 다를 수 있지만, 대분류로 나누어 보았습니다. )

 

(은행)

은행텔러

은행FP

AFPK

CFP

외환관리사

국제금융역 등 이외 다수

 

(보험)

보험설계사

변액보험판매사

보험FP

보험계리사

손해사정인

보험대리점 등 이외 다수

 

(증권 및 선물, 투신)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재무위험관리사

증권분석사

일반운용전문인력

국제공인분석사(CIIA)

CFA(국제 재무분석사) 등 이외 다수

 

(간접투자상품판매) 펀드를 팔수 있는 자격

간접투자상품판매인력

 

(부동산투자회사)

공인중개사

부동산운용전문인력 등

 

(공통사항 및 고급자격)

CRA

CFA(위에서 언급)

국제 FRM

AICPA

KICPA

세무사

감정평가사

변리사 등등 이외 다수(변호사등도 금융기관 취업유리)

 

열심히 준비하시고 합격의 길은 노력여하에 달렸다고 생각합니다.

건투를 빕니다.

 

저는 여러가지 자격증을 알고싶어요^^

몇가지 알고 있긴한데 이세상에 자격증이 얼마나 있는지 알고싶어서요^^

되면 어떻게 해야 딸수있는지도~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자격증의 종류는 생각보다도 너무나 많습니다.
아마 전부 나열할수있는사람은..없을듯..^^;;

그럼 몇가지만 알려드릴께요..

[민간자격증]

사출금형 제작사
프레스금형제작사
CNC기계절삭가공사
공작기계절삭가공사
기계 및 시스템 제어사
기계설계제도사
기계전자 제어사
자동화설비 제어사
치공구제작사
산업기계정비사
산업전자기기제작사
가구설계제도사
무역영어1급 2급
전기계측제어사
컴퓨터 운용사
전자상거래관리사
국제금융역 대출심사역
신용분석사
한자검증능력시험 E-Professionals
E-leaders e-students 정보시스템 감리사
PC활용능력 평가시험(PCT)
회계정보사(1급, 2급)
회계정보처리사 1급
회계정보처리사 2급
문서실무 1급, 2급
문서실무 3급
문서실무 4급
펜글씨 검정
구매자재 관리사
인터넷 전문검색사
인터넷 정보검색사 1급
인터넷정보검색사 2급
정보기술자격 (ITQ)
전산세무회계 1급
전산세무회계2급
전산세무회계3급
전산세무회계4급

[비공인 민간자격증]

JTRA
SOFTBANK
CERTner TIQ(Test of Information Qualification)
평생교육사 1급, 2급, 3급
수렵면허시험
택시운전자격시험
소프트웨어운용능력평가시험 (SPCT)
인터넷실용능력자격인증시험 (IPCT)
회계정보사
경호원 1급
결혼상담사(AMC)
결혼정보관리사(CMIM)
국어(한국어)논술
자격검정 (TOKD)
전문도우미 CNM(나레이션모델) 1급
영어발음자격검정 (EPQT)
ABA방송아나운서 자격검정
영어어휘자격검정 (EVQT)
보육영어교사 (CNET)
유아영어교사 (KET)
초등영어교사 J-TOED (주니어영어논술자격검정)
PC-TOED (초등어린이영어논술자격검정)
S-TOED (시니어영어논술자격검정)
TOED (영어논술자격검정)
Y-TOED (어린이영어논술자격검정)
영어논술교사(CEDT)
실용영어회화자격검정 (JC-TOEP) 1급
어린이영어회화자격검정 (YC-TEOP)6급
영어회화자격검정 (EC-TOP)
영어회화자격검정 [EC-TOP(TOQ)]4급
펜글씨검정
한국교육지도사자격검정
한자급수자격검정
한자논술성어자격검정
한문품과자격검정
선물거래상담사
TEPS 스포츠 마사지사
스포츠 마사지지도 강사
스포츠 마사지 1급
JPT 과학실험지도사
CATC 컴퓨터기능인증시험 G-ETAT
S-ETAT 3D Studio Max AutoCAD 1급
AutoCAD 2급
기술자격시험 AutoCAD
공인강사 AFPK(Associate Financial Planner Korea)
민간조사원 (Private Investigator)
관광숙박업종사원
국내여행안내원
구매자재관리사
사회보험관리사 1급
수화통역사
네트워크전문가2급
웹마스터 전문가 1급
웹 페이지 전문가 1급
정보검색사 1급
기수 조교사
멀티미디어 기술사
멀티미디어 전문가
국제 무역사
사이버 무역사 1종
외환 관리사 특허 관리사
번역사(직업번역능력인정시험) 1급
사회 복지사 변액보험 판매사
경영 진단사 원가 관리사 채권 관리사
정보검색사 인증시험(SPC)
정보기술자격 (ITQ) 세무회계 1급
전산세무회계 1급
세무 관리사
소비자 상담사
소비자재무 설계사
심리 치료사
아웃소싱 지도사 2급
청각 치료사 언어 치료사
레크레이션 지도자 2급
영상번역능력인증시험 (3급)
용접 검사원 카레이서
정보시스템 감리사
전산회계(CA) 1급
컴퓨터활용능력(CAA) 1급
문서실무 1급
사무자동화 1급
한글전자문서및영문 Business Letter Style 1급
웹 프로그래머 1급 PC정비사 1급
네트워크 관리사 1급
인터넷보안전문가 1급
정보소양 1급
리눅스마스터 2급
인터넷시스템관리사
인터넷전문검색사
증권분석사
인터넷정보검색사 1급
인터넷정보설계사(웹마스터)
행동치료사 1급
증권투자상담사 1종
투자상담사
금융자산관리사(FP)
포크댄스지도사 1급(상급)
한문교육지도사자격검정
한자급수자격검정
한자 논술성어 자격 검정
한문품과자격검정
선물포장기능사
선물포장지도사
플라워디자인기능사 1급
플라워디자인지도사 1급
자동차관리사
부동산 경매사
자동차 사정사 1급
자동차사정장 MQFU 전문강사자격 (ICPI)
사설정보 관리사 (PIA)
발마사지 1급 발마사지 강사
High Availability and Clustering Specialist Windows 2000 NT ASE DB2
LOTUS

[외국자격증]

JLPT 3-WIZARD MNS
CIIA(국제공인투자분석사) ACE ACS
ACTP AICPA CFA(국제재무분석사)
CIRM CPIM CFP(국제 재무설계사)
ASE Pro Internet-Intranet ASE Pro Oracle ASE Pro SQL Server
Compaq-Intel Linux ASE Compaq/Alpha Linux ASE A+
I-NET+ NETWORK+ GRE
TOEFL TOEIC G-telp
FRM HP공인UNIX & NT통합관리전문가
HP 공인 OpenView NT네트웍관리 전문가
HP 공인 OpenView Unix 네트웍관리 전문가
HP 공인 UNIX 시스템관리 전문가
HP공인 NT서버&응용프로그램 관리 전문가
HP공인UNIX서버 & 응용프로그램관리 전문가 HSK AS-400
Netfinity RS-6000 Tivoli
CMA 4GL Developer Database Specialist
System Administrator LPIC RHCE
CLP Learning tree internarional MCDBA
MCP MCP-site building MCP_Internet
MCSD MCSE MCSE_Internet
MCT CIP CNA
CNE CNI MCNE
NCIP Application Apps Dev Rl
Apps Dev R2 Consultant OCP
OCP-DBA 8.0 Oracle Database Operator CIWA
CIWD CIWEP CIWNP
CIWSP CSA SCAJ
SCJD SCJP SCNA
JPT MOUS MDD
MFD 선물중개인(AP) CISA(국제공인정보시스템감사사)
CCDA CCDP CCIE
CCNA CCNP CIA(국제공인내부감사사)
PMP(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문화관광부]국가자격증

사서

사회가 급변할수록 수없이 많은 정보가 다양한 매체를 통해 쏟아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보매체를 필요로 하는 사롤들의 이용을 돕기 위하여 각종 정보자료를 수집, 정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공인된 자격제도 도입을 통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전달하고자 함.


청소년 지도사

사회윤리 및 도덕적 가치관이 무너져가는 현대사회에서 청소년을 탈선으로부터 보호하고 올바른 가치관을 함양하는 전문 지도자를 키우기위해 도입한 자격시험.


무대예술전문인

무대장치를 포함한 무대기계에 대한 전문 지식을 보유한 자로서 공연진행의 안전을 위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도입 시행.


문화재 수리 기능자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유지 관리, 보수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도입 시행된 자격 시험.


문화재 수리 기술자

문화재수리 인력의 질적인 적정수준을 확보하여 문화재의 원형보존을 위하여 도입.



[건설교통부]

건축사

건축공사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건축사의 인력부족 해소 및 건축설계와 시공을 전담할 전문적인 지식과 풍부한 실무경험 및 기술을 갖춘 우수한 건축사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시행.


감정평가사

감정평가란 부동산, 동산을 포함하여 토지, 건물 기계기구, 항공기, 선박 유가 증권, 영업권과 같은 유무형의 재산에 대한 경제적 가치를 판정하여 그 결과를 가액으로 표시하는 것을 뜻함.


물류관리사

물류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제고와 함께 물류체 계 개선을 위한 다각적인 대책이 강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국가물류비절감을 위해 H/W 측면의 물류시설 확충과 함께 이를 합리적으로 운영 · 관리할 물류 전문인력의 체계적 양성이 요구됨에 따라 물류전문 인력의 양성을 위하여 95년말 화물유통촉진법을 개정하여 물류관리사자격제도를 도입 실시함.


주택관리사보

공동주택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공동 주택의 입주자의권익을 보호하기 위하여 공동주택의 관리주체는 주택관리사 또는 주택관리사보를 관리책임자로 두도록 되어 있음. 주택관리사보 자격증을 취득하고 일정한 경력요건이 충족되면 주택관리사가 됨.


도로교통안전관리자/철도교통 안전관리자/항공교통 안전관리자

산업발달에 크게 이바지해 온 차량, 항공기, 선박 등의 운송수단에 의한 인명피해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짐에 따라 정부에서는 늘어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85년에 교통안전관리자 자격제도를 도입하였음.


[경찰청]

기능 검정원 및 강사

자동차 운전 교육과정 중 피교육자에게 올바른 운전자세와 도로교통 질서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 실시.


원동기운전면허 '

도로상에서 원동기를 운전하는 운전자의 자질을 심사하고 도로주행능력을 검증하여 교통질서와 공공 안전을 위해 실시


자동차운전면허

종별에 따른 자동차 운전자의 운전능력과 교통 법규 및 질서의식 준수준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하는 자격시험.


기계경비지도사

갈수록 흉악해지는 범죄에 대처하기 위해 무인 경비 장치를 이용한 범죄 예방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이를 관리하고 전문인력을 교육학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해짐에 따라 도입 시행.


일반경비지도사

경찰력만으로 책임질수 없는 인물 국가중요시설 물건에 대한 위험방지업무, 신변보호업무를 담당하는 경비요원, 호송경비요원, 경호원들을 조직적으로 관리, 감독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용역 경비업법으로 자격제도 제정.

[관세청]

관세사

무역 및 통관관련분야에 전문지식을 가진 자로서 국가가 시험을 거쳐 관세사자격을 부여, 화주로부터 위탁을 받아 수출입업체를 대리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시행.


보세사

보세사란 지정보세구역의 관리인이나 특허보세구역의 설영인이 자기 보세구역이 자율 관리보세구역으로 지정 받기 위해서 반드시 채용하여야 하는 전문 화물관리인을 뜻함.


[교육인적자원부]

사서교사

학생 및 교사들의 학습, 조사, 연구 등을 위한 학 교도서관의 관리운영에 전문성을 기하고 교사로서 자질을 갖춘 인력으로 하여금 학생들의 독서 및 자료이용을 지도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실기교사

실업계 학교에서는 이론적 지식의 교육뿐만 아니라 기술중심의 교육 역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각 실기학과에 대한 전문지식과 실무기술을 갖춘 교사로 하여금 실기교육을 담당하고 각종 기능지도에 필요한 자료 및 도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하기 위해 자격 제도 제정.


양호교사

학교 환경위생을 청결하게 유지관리하고 학생의 건강관찰 및 보건교육을 담당하는 것은 학습능률을 향상시키고 청소년의 건강을 위해 중요한 일이다. 이에 따라 간호학에 대한 이론적 지식을 겸비한 전문 인력을 배출하여 학생들의 양호업무를 담당하도록 함.


전문상담교사

청소년기는 급격한 신체적 변화와 함께 사춘기를 겪으면서 정신적으로도 성숙해지는 시기로 이들이 학교내외 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문제들에 대한 상담은 건전한 성장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소정의 전문상담과정을 이수한 교사로 하여금 학생 상담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하는데 자격의 목적이 있 다.


사회교육전문요원

사회가 급변하면서 정규학교교육 이외의 사회교 육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과 요구가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교육을 전문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개인의 자아실현과 사회참여욕구를 충족시켜주고자 자격제도 마련.


유치원정교사

유아기의 경험은 가치관과 세계관을 형성하고 앞으로 사회생활을 해나가는데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들 유아기의 아동을 교육하고 이들에게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돕기 위해 자질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중등학교정교사

자격제도 도입을 통해 해당 교과에 대한 전문적 인 지식, 그리고 바른 교육관을 소지하고 적절한 교수방법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음.


초등학교정교사

6세에서 12세까지 어린이들의 성격형성과 태도함양, 그리고 공동체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자질을 갖추는데 초등학교 교육은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교육자로서의 자질과 학습안내자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으로 하여금 초등학교 교육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특수학교정교사

신체 또는 장신적인 장애가 있는 특수교육대상자들은 통상의 일반교육으로는 기대하는 교육효과를 낼수 없기 때문에 장애학생들만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육방법 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특수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또한 실제 실습과정을 거친 전문 인력을 통해 특수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자격제도의 목적이 있음.


[교통안전공단 ]

운항관리사

항공산업의 안전을 책임지고 관련 제반 사항을 관리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대한 전문인력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항공기 관리업무에 종사하도록 하기 위해 자격 제도 도입.


항공공장정비사

항공기 사고에 의한 엄청난 재난을 미연에 방지 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과 많은 경험과 기술, 일정한 자격을 겸비한 항공정비 전문가를 양성하고 그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


항공정비사

항공기 안전상태를 점검하고 문제 발생시 신속하 고 정확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자격시험 제도 도입


사업용 조종사

보수를 받고 무상 운항을 하는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사


운송용 조종사

항공운송사업의 목적을 위하여 사용하는 항공기를 조종할 수 있는 조종사


자가용 조종사

자가용 비행기를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는 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시행.


[국세청]

세무사

급격한 경제발전 속에서 세무사의 수요는 크게 늘었으나, 전문 세무 인력의 수가 이에 미치지 못하자, 2000년부터 정부는 그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시험 제도를 크게 개선 시행하기로함.


주조사

주류 제조관리와 품질의 향상을 목적으로 도입된 자격증


보험계리인

보험은 대수의 법칙과 수지상등의 원칙등 보험수리적 원리에 기초하여 성립된 제도로서, 이러한 보험 수리와 관련된 제반업무를 수행하는 자가 보험계리인.



보험중개인

독립된 사무실을 차려놓고 모든 보험사의 상품을 고객에 소개하고, 고객을 대신하여 여러 보험사와 가격협상을 벌여 가장 값싸고 유리한 보험상품을 골라 계약을 체결한 뒤 해당 보험사로부터 수수료를 받는 전문직.


손해사정인 1종

보험제도가 발달하고 관련업무도 복잡하게 발달해 나감에 따라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액의 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력의 수요가 급증. 1종 손해사정 인은 화재보험, 특종보험 손해사정을 담담.


손해사정인 2종

보험제도가 발달하고 관련업무도 복잡하게 발달해 나감에 따라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액의 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력의 수요가 급증. 2종 손해사정인은 해상보험 손해사정을 담당.


손해사정인 3종 대물

보험제도가 발달하고 관련업무도 복잡하게 발달해 나감에 따라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액의 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력의 수요가 급증. 3종 대물 손해 사정인은 자동차 사고로 인한 차량 및 기타 재산상의 손해액 사정을 담당.


손해사정인 3종 대인

보험제도가 발달하고 관련업무도 복잡하게 발달해 나감에 따라 보험사고 발생시 보험금액의 산정업무를 전문적으로 하는 인력의 수요가 급증. 3종대인 손해 사정인은 자동차사고로 인한 사람의 신체와 관련된 손해액 사정을 담당.


공인회계사

타인의 위촉에 의하여 회계에 관한 감사·감정 · 증명 ·계산·정리 ·입안 또는 법인설립에 관한 회계 와 세무대리를 수행하는 자로서, 회계감사. 세무조정 계산서 작성, 국세심판 청구대리, 경영진단 및 경영제도의 개선과 원가계산 등을 주요업무로 하는 전문인


[농림부]


가축인공수정사

가축의 품질 개량과 가축의 생식기 관련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시행하는 자격시험.


농업사

농림부장관은 농업인등의 자긍심과 의욕을 고취하고, 농림어업의 기술향상을 촉진하기 위하여 전문 농림어업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추고 지역의 농림어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농업인을 농업사로 선정하고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한다.


수의사

가축 또한 인간과 거의 같은 해부학적, 생리적인 구조를 갖고 있어 질병에 걸리기도 하고 질병을 전염시키기도 하는데, 가축을 진료하고 치료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자는 부족한 상태, 따라서 자격을 갖춘 전문가가 필요하게 됨에 따라 도입 시행.


어업사

농림부장관은 어업인의 자긍심과 의욕을 고취하고, 어업의 기술향상을 촉진하기 위하여 전문 어업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추고 지역의 어업.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어업인을 어업사로 선정하고 어업사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임업사

농림부장관은 임업인등의 자긍심과 의욕을 고취 하고, 농림어업의 기술향상을 촉진하기 위하여 전문 임업기술과 경영능력을 갖추고 지역의 임업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인정하는 임업인을 임업사로 선정하고 임업사에 대하여 필요한 지원을 하여야 한다.


전통식품명인

전통식품의 계승·발전과 가공기능인의 명예보호를 위하여 조상전래의 조리 ·가공기법을 원형대로 보존하여 전통식품의 맛. 향을 실현할 수 있는 자에게 전통식품명인으로 지정하는 제도를 실시.


[농수산물 유통공사 ]

경매사

생산의 예측이 가능하고 대량생산도 가능한 공산품과는 달리 농수산물은 변칙적인 기상 등의 이유로 생산이 불규칙하고 수요가 갑자기 늘었을 때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농수산물에 있어서 경매를 제도화함으로써 농수산물의 유통구조를 안정시키고 합리적인 가격형성을 꾀하며 경매를 행하는 담당자의 자격요건을 강화하여 자질을 향상시키고, 신뢰도 제고 및 공정거래질서 확립을 위하여 자격제도 제정



[대한상공회의소 ]

비서1급/2급/3급

경영진의 업무를 보조하고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의 수요에 대응하고 그 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상공회의소가 도입 시행하는 자격시험.


무역영어 1급/2급/3급

무역 서신(계약서, 상업서류, 기타)을 다루는데 있어 그 능력을 검증하고 무역영어 및 관련 용어의 이해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대한 상공회의소가 도입 시행.


워드프로세서 1급/2급/3급

워드프로세서에 관한 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와 관련된 업무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검증하기 위해서 대한상공회의소가 시행.


전자상거래 괸리사 1급/2급

시간이 지날수록 급증하는 전자상거래 매출에 비교하여 전자상거래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감안해 전자상거래와 관련된 기획 및 관리업무를 총괄하는 인터넷 비즈니스 전문가. 인터넷 이용이 급증하면서 이를 이용한 전자상거래업이 급속히 늘어나자 국가기술자격으로 추진되었음


컴퓨터활용능력 1급

누구나 컴퓨터를 사용할 줄 알고 접하는 정보화 시대에 개개인의 컴퓨터 활용능력을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도입.


컴퓨터활용능력 2급

2급은 컴퓨터에 관한 중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와 관련된 업무를 신속,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평가.


컴퓨터활용능력 3급

3급은 컴퓨터에 관한 초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이와 관련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지의 능력을 평가.


판매관리사 1급/2급/3급

유통시장이 개방됨에 따라 외국 유통회사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마련한 국가공인제도로서 유통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그 능력을 객관화 하는데 목적이 있음.


사무회계 1급/2급/3급

국제화, 정보화 시대에 경쟁력 있는 회계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과 다양한 회계정보 수요와 급격한 정보통신기술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세무회계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시행.


전산회계운용사 1급

전산회계 분야 최초의 국가공인기술자격으로서 전산회계분야 전문기능의 실력을 검증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 시행. 1급 시험은 대학 상급수준의 회계원리, 원가회계 및 세무회계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대기업의 회계 책임자로서 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계 전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검증 .


전산회계운용사 2급

2급 시험은 고등학교 졸업 또는 대학의 중급 수준의 회계원리와 원가회계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대기업의 회계실무자 또는 중소기업의 회계책임자로서 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계전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검증.


전산회자운용사 3급

3급 시험은 고등학교 졸업 정도의 상업부기와 원가회계와 회계처리에 관한 지식을 갖추고 중소기업의 회계실무자로서 회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회계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의 유무를 검증


[법원행정처 ]

법무사

법률이 우리 생활에 더욱 밀접해지고 갈수록 법 률적용 영역이 늘어남에 따라 법률 민원인도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에게 법률서비스를 제공하고 조언을 제공하는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도입 시행.


법원서기보

사법부인 법원에서 재판업무가 아닌 일반 보조업무를 담당하는 법원 공무원으로 법원 행정처장이 필요할 때 시험을 실시. 근무예정 지역별로 합격자를 결정하기 때문께 응시원서는 반드시 한 지역에서만 제출하여야 함.

[보건복지부 ]

간호조무사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떤서 각 의료시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가 증가하고, 진료업무가 가중됨 에 따라 의사, 간호사의 치료 및 의료업무를 보조하는 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도입 시행.


장애인복지지도원

장애인의 복지증진을 위한 상담 및 지도업무를 담당하게 하기 위하여 구(서울특별시 및 직할시에 한한다.)와 시, 군에 장애인복지지도원을 두도록 장애인 복지법 개정. 장애인복지지도원은 위탁을 받은 직무를 행함에 있어 개인의 인격을 존중하고, 직무상 개인의 신상에 관한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됨. 장애인복지지도원의 임용,직무, 보수 기타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결정.


안마사

시각장애자들에게 고용의 기회를 부여하고 건전한 서비스 문화를 형성할 목적으로 의료법 제 61조에 규정됨.


정신보건임싱심리사 1급/2급

정신질환자의 격리 · 수용보다는 사회복귀와 예방, 그리고 인권 보호에 초점을 맞춘 정신보건법이 제정됨에 따라 정신과 병원 및 지역사회에서 정신보건에 관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전문인력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정신질환의 예방과 정신질환자의 의료 및 사회복귀 등의 업무를 수행할 전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자격제도 제정.


[산림청]

산림토목기술사/영림기술자

산림은 우리에게 목재를 제공해 줄 뿐만 아니라 저수능력에 의한 수원함량, 토사유출 및 붕괴방지에 의한 국토보존, 산업화 및 공업화로 야기되는 대기오염을 정화시켜 주며 사람에게 필요한 공기를 제공함 으로써 산림육성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 에 따라 일정한 자격자로 하여금 임야를 관리하게 함으로써 영림계획에 의한 조림 ·육림 ·벌채 및 산림소득사업의 종합적인 개발을 도모하고 산림토목 (임도, 사방, 훼손지 복구, 휴양림 조성 등)에 대한 전문가 양성.

[산업자원부]

ISO9000 인증심사원

국제적으로 공인된 품질경영체제(ISO 9000시리즈) 의 도입을 촉진하는 제도를 마련함으로써 공산품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 공산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실시하던 품질검사제도를 안전위주의 검사로 전환하여 소비자의 안전과 이익보호를 도모하려는 것임


ISO14000 인증심사원

국제환경규제 강화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우리 산업의 지속적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환경 친화적인 산업구조를 조기에 구축하고, 1992년 리우에서의 국제연합환경개발회의에서 채택된 산업계의 역할을 실천하기 위한 청정생산기술개발등 환경친화적 산업활동을 지원하며,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추진중인 환경경영규격제정에 대비하기 위한 국내기반구성등 우리 산업계에서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과제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기업의 환경경영시스템을 민간스스로가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심사평가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자격제도가 제정됨.

[정보통신부]

아마츄어무선기사/특수무선기사/특수급무선통신사

정보화시대에 있어서 통신기술의 발달은 사회, 문화, 정치, 경제 등 모든 면에 있어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첨단과학장비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첨단무선 통신장비는 복잡하고 전문적인 지식 및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합리적인 관리와 통신기술의 전문화를 위하여 전파법으로 무선종사자 자격을 규정

[중소기업청]

품질경영진단사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수한 기술을 바탕으로 한 품질경쟁에서 앞서야 한다는 인식 아래 효율적인 품질관리와 인증제도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품질경영에 관한 진단과 자문을 해줄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기업간 환경변화에 대응하고자 함.



[체육과학연구원]

경기지도자 1급/2급

국민의 체력을 증진시키고 그에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과 지식을 갖춘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마련된 자격제도


생활체육지도자 1급/2급/3급

생활체육은 일반인들이 학교체육을 마치고 평생 동안 접하게 되는 신체를 통한 사회교육을 의미한다. 정부에서는 엘리트체육 중심정책에서 벗어나 생활체육을 적극 권장하고 있고 이에 따라 일반인들이 기초적인 체력을 기르고 자신의 신체적 특성에 맞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전문인력이 필요하게 되었음.

[특허청]

변리사

우리나라 공업소유권 제도의 창설과 함께 제정 유지되어 온 제도로서, 새로이 개발되는 신기술에 대해서 발명자와 출원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업무가 늘어나고 있고 사회의 다양화에 따른 권리분쟁이 확대되고 있어 이를 전문적으로 담당할 전문인력의 필요성이 대두됨

[한국관광공사]

호텔 지배인 1급/2급/3급

관광산업의 중요성이 날로 증대 됨에 따라 호텔 및 숙박업소 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할 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자격시험 도입.


관광통역안내원

관광도 하나의 산업으로서 국가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판단되어 문화관광부에서 실시하는 통역분야의 유일한 국가공인자격증으로서 국내 외국인 여행객들을 안내하며 한국의 문화를 소개.

[한국교원단체 총연합회]

유치원 교사

유치원 또는 유아원에서 취학 전 아동들의 지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 주기 위해 제반 교육활동을 수행함.


[한국기술컨설턴트협회(한국경영기술지도사회)]

경영지도사

경영지도사는 중소기업의 의뢰에 따라 중소기업 의 인사. 재무, 생산, 판매, 수출입등 경영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찾아내어 이에 대한 해결책을 지도함으로써 합리적인 경영을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업무 수행하며, 경영에 관한 지식과 정보전달도 담당 함


기술지도사

기술지도사는 전문기술을 가지고 기술개발과 기술습득이 어려운 중소기업체를 대상으로 생산현장에서 제품생산에 관계되는 기술의 전반에 걸쳐 문제점을 찾아내고 이에 대한 해결책과 개발에 관한 지도 업무를 수행하며 중소기업에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정보나 자료를 제공해 주고 새로운 기술을 교육 시키는 일도 포함됨.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간호사

각종 질병과 사고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에게 전문적인 의학 지식을 갖춘 간호요원의 필요성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문간호사의 자질을 국가에서 관리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면허제도제정.


물리치료사

신체장애를 가진 자와 물리치료가 필요한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사의 보조로 출발하였지만 의료서비스의 세분화 및 다양화와 전문성의 필요로 인하여 물리치료 의료업무를 전문적으로 담당해야 할 인력이 요구됨에 따라 시행


방사선사

방사선 기기를 의료활동에 활용함에 있어 전문적으로 이를 다룰 수 있는 인력이 필요하게 됨에 따라 시행하는 자격시험.


안경사

전국민의 40%에 이르는 안경착용자의 시력 건강을 증진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안경사 전문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


영양사

산업사회가 발달하고 식생활이 변화함에 따라 병원은 물론 학교, 사업체 등에서의 단체급식과 일반가정에서의 영양공급에 이르기까지 식품학, 영양학 등의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인력이 요구되면서 영양사 자격제도가 시행됨.



위생사

위생업무에 종사하는 사람의 자격과 업무의 범위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은 물론 위생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할 목적으 로 제정됨.


응급구조사

최근 많은 대형사건의 발생으로 인하여 사상자가 속출하였으나 환자의 안전한 구조 및 현장에서의 적절한 응급처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부상이 악화되거나 사망하는 사례가 속출하였다. 이에 따라 사고현장에 출동하여 신속한 구조와 적절한 응급처치를 시행하고 안전하게 의료기관으로 이송함으로써 인간의 생명을 보호하고자 응급구조사 자격제도 제정.


의무기록사

의무기록은 환자에게 일관성있는 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자료이자, 환자치료를 담당한 여러 치료자들 사이의 의사전달의 유일한 방법이며 환자에게 제공 된 의료의 질을 검토하고 평가하는 기본 자료로서 매우 중요하다. 이와같은 의무기록의 중요성에 따라 의무기록 업무를 수행하는 전문인의 양성이 필요함에 따라 자격시험을 시행.


의사

의학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일정 자격을 갖춘 전문인으로 하여금 의료업무를 수행하게 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하도록 함.


의지보조기기사

의지보조기의 제조, 개조 수리 또는 신체에의 장착을 업으로 하는 사람을 의지보조기기사라고 함.(장애인복지법 제 60조 1항). 의지보조기기사는 장애인들의 기능향상과 독립적인 일상생활동작을 돕기위해서 재활의 다른 분야와 함께 장애인의 재활을 위해 필요함


임상병리사

질병의 원인을 혈액검사. 체액검사 세포검사등으로 파악해 그 치유 방법을 밝혀내는 전문인력의 소양을 검증하기 위해 시행.


작업치료사

사회가 산업화되어가면서 산업재해가 날로 증가 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신체적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재활에 종사할 전문인력의 수요도 증가함에 따라 이들을 재활을 이끌 전문인력의 확보가 시급해짐에 따라 도입 시행.


약사

약은 인간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해 주는 중요한 물질이다. 그러나 약을 오용하면 인명의 손실을 야기하거나 질병치료에 악영향을 미칠수 있기 때문에 의약품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겸비한 일정 자격을 갖춘 전문인으로 하여금 약의 처방 및 조제를 담당케 할 필요성 대두.


조산사

임신기간 동안 산모의 심리적, 신체적 관리가 태어날 아기의 인격형성과 신체발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의사의 업무를 보조해 주는 전문인으로 하여금 의사의 업무를 돕고 산모 태아 및 신생아의 건강에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의료활동이 필요하게 됨.


치과기공사

국민의 치아에대한 관심이 늘어남에 따라 치과의료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전문적인 지식과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업무를 수행케 할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도입 시행.


치과위생사

치아는 매우 복잡하고 예민한 구조를 이루고 있 어 치료를 보조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춘 전문가가 요구됨에 따라 자격제도 제정.


치과의사

치아는 음식섭취에 없어서는 안될 존재이며, 치아가 나빠 잘 씹지 못하는 경우에 위장장애를 비롯한 각종 질병이 유발될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에 하나인 이의 건강을 돌보고 이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치과분야에 필요한 학술적 이론과 응용방법을 겸비한 일정한 자격을 갖춘 전문 의료인이 필요하여 자격제도 제정.



한약사

한약사 제도는 한방의약분업을 목적으로하여 설립된 자격시험으로서 무질서한 한약시장의 질서를 확립하고 한약의 오·남용 방지와 한방서비스의 질적 양적 팽창을 도모함에 그 목적이 있음.


한약조제사

한의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닌 약사면허가 있는 사람에 한하여 한약을 조제할 수 있는 자에게 자격을 부여하기 위하여 시행


한의사

한의학을 비롯한 모든 의학은 인간의 건강과 질 병의 치료를 목적으로 하는 까닭에 전문적인 의학지식과 기술이 없이 의료행위를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국민보건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한의학을 전공하고 일정한 자격을 갖춘 전문 의료인으로 하여금 의료업무를 수행토록 자격제도 제정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지도사

행정규제 완화방침에 따라 사업장 내의 자율안전 관리가 취약해질 우려가 있고 생산설비의 노후화 등으로 대형 산업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사업장 내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산업안전 ·위생지도사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음.


산업위생지도사

93년 정부의 행정규제완화방침에 따라 사업장내의 자율안전관리가 취약해질 우려가 있고, 생산설비의 노후화 등으로 대형산업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 지고 있으나. 사업장내의 위험성을 평가하고 대처할 수 있는 전문인력이 거의 없기 때문에 산업안전 · 위생지도사 제도를 도입하게 되었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연구원]

방사선취급감독자 면허

한국완자력안전기술원에서는 원자력시설 운영의 안전성확보를 위해 이용자 및 종사자에 대한 자격면허시험을 관리하고 있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이 관리하는 면허시험에는 원자로의 조종을 위한 원자로 조종사면허 및 조종감독자면허, 핵연료물질취급을 위한 핵연료물질취급자면허 및 취급감독자면허와 방사성동위원소취급자를 위한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일반면허, 방사성동위원소 취급자 특수면허, 방사선 취급 감독자 면허 등 3개 분야의 7종 19개 면허시험이 필요에 따라 필기시험, 실기시험으로 구분되어 실시 됨.


[해양수산부]

구명정수

많은 사람이 승선하는 여객선과 다수의 승무원이 탑승한 대형선박에서 비상시 구명 활동을 전문인력이 전담할 수 있도륵 자격제도 도입


기관사

기관사는 선박의 기관실에 근무하면서 배의 각종 동력이나 기관을 운전하거나 관리 또는 수리하는 업무를 담당함.


소형선박조종사

산업의 발달에 따라 해상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대외교역상품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해운산업이 발달 하였음. 이에 따라 선박의 항해에 관한 전문지식과 일정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선박운항을 하도록 함으로써 해상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선원법으로 해기사 자격을 제정하였음.


운항사

자동화 선박에서 항해, 기관 및 전자장비 전문분야로 구분하여 운항 관련 업무를 수행함.


위생관리자

선박운항 중 선원의 건강관리, 보건지도 선내위생 및 식품관리를 전문인력이 담당하도록 함으로써 운항 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의료사고를 미연에 예방하고 사고발생시 적절히 대처하여 선원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격제도 도입


위험화물적재선박승무원

해상을 통한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석유, 액화가스, 화학물 등 위험물을 적재한 선박의 운항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이에 위험물 적재선박의 안전한 운항을 위하여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 하여금 선내의 위험물 관리와 운항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자격 제도 도입


통신사

자동화 선박에서 항해, 기관 및 전자장비 전문분야로 구분하여 운항 관련 업무를 수행 함.


항해사

산업의 발달에 따라 해상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대외교역상품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해운산업이 발달하였다. 이에 따라 선박의 항해에 관한 전문지식과 일정 자격을 갖춘 사람이 선박운항을 하도록 함으로써 해상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위하여 선원법으로 항해사 자격을 제정하였음.


감정사

감정사란 선적화물 및 선박에 관련된 증명.조사 및 감정을 직업으로서 종사하는 자를 말함. 검량,감정, 검수업무는 국제무역에 있어 화물의 수량 및 품질 등을 당사자가 직접 확인하기가 곤란함에 따라 제 3자가 이를 입증함으로써 국제무역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분쟁 발생시 입증자료로도 활용되고 있음.


감정원

산업발달과 더불어 수상교통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화물의 종류, 양 등이 다양해지면서 항만운송에 관한 질서를 확립하고 항만운송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여 공공의 복리를 증진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음.


검량사

검량사란 선박에 화물을 실거나 내릴경우에 그 화물의 용적 또는 중량의 계산 또는 증명을 직업으로서 종사하는 자를 말함. 검량, 감정, 검수없무는 국제무역에 있어 화물의 수량 및 품질 등을 당사자가 직접 확인하기가 곤란함에 따라 제3자가 이를 입증함으로써 국제무역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분쟁발생시 입증자료로도 활용되고 있음.


검량원

산업발달과 더불어 수상교통을 이용하여 운송하 는 화물의 종류, 양 등이 다양해지면서 항만운송에 관한 질서를 확립하고 항만운송사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여 공공의 복리를 증진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음.


검수사

검수사는선박에 화물을 싣거나 내릴경우에 그 화물의 개수의 계산 또는 인도인수의 명을 하는 것을 말함. 검량 .감정. 검수업무는 국제무역에 있어 화물의 수량 및 질 등을 당사자가 직접 확인하기가 곤란함에따라 제3자가 이를 입증함으로써 국제무역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분쟁발생시 입증자료로도 활용되고 있음.


도선사

산업발달에 따른 수출입 교역량의 증대는 해운운송사업의 발달을 가져오고, 이는 해상교통량의 증가를 유발시켰음. 따라서 복잡해져 가는 해상교통의 안전운행과 새로운 항로 개척 등 전문적인 해상교통업무를 담당할 수 있는 전문적인 지식과 오랜 경륜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하 였음.


해무사

1980년대 초에 들어서면서 국내 해운업체의 경기가 침체된 것은 해운정보의 미흡과 해운경영의 합리화를 도모할 고급인력 부족이 그 하나의 원인이기 때문에 이에 해운경영의 전문인력을 확보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였음.


[행정자치부]

변호사

사회가 복잡다기화됨에 따라 법영역이 확대되면서 법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다. 하지만 법 자체가 어렵고 절차가 복잡해서 이런 업무를 일반인들이 독지적으로 처리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이에 따라 소송사건, 조정사건, 비송사건, 행정소송사건 등의 대리인 역할과 법정에서의 변론 및 기타 일반법률사무를 지원함으로써 법집행 대상자들의 정당한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법률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이 필요하게 됨.


행정사

타인의 위탁에 의하여 행정기관에 제출하는 허가 인가, 면허, 승인, 등록, 신고, 확인신청이나 이의신청 또는 진정, 건의, 질의, 기타 행정기관의 특정행위를 구하는 의사표시 등에 관한 서류를 작성하는 업무를 수행함. 타인의 위촉을 받아 호적과 관련되는 서류, 임대차계약 및 보증서 등 권리의무에 관련되는 서류와 이력서를 작성 · 제출하는 업무를 담당함.


[한국산업인력공단]

가구도장기능사
가구제작기능사
가스기능사
가스용접기능사
객화차정비기능사
거푸집기능사
건설기계기관정비기능사
건설기계차체정비기능사
건설재료시험기능사
건축도장기능사
건축목공기능사
건축배관기능사
건축제도기능사
계량기계기능사
계량물리기능사
계량전기기능사
고분자제품제조기능사
공기압축기운전기능사
공업계측제어기능사
공유압기능사
공조냉동기계기능사
과수재배기능사
광고도장기능사
광산보안기능사(기계분야)
광산보안기능사(전기분야)
광산보안기능사(채광분야)
광산보안기능사(화약분야)
광산차량기계운전기능사
광산환경기능사
광학기능사
굴삭기운전기능사
궤도장비정비기능사
귀금속가공기능사
금속공예기능사
금속도장기능사
금속재료시험기능사
금속재창호기능사
기계정비기능사
기계제도기능사
기계조립기능사
기중기운전기능사
냉간압연기능사
농기계운전기능사
농기계정비기능사
농산식품가공기능사
누설비파괴검사기능사
단조기능사
도배기능사
도자기공예기능사
도화기능사
동력기계정비기능사
로더운전기능사
롤러운전기능사
메카트로닉스기능사
모터그레이더운전기능사
목공예기능사
목재가공기능사
목재창호기능사
목질재료기능사
무선설비기능사
미장기능사
밀링기능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능사
방송통신기능사
방수기능사
방적기능사
버섯종균기능사
보석가공기능사
보선기능사
보일러시공기능사
보일러취급기능사
복어조리기능사
불도저운전기능사
비계기능사
사진기능사
사진제판기능사
사출금형기능사
산림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
석공기능사
석공예기능사
선반기능사
선체건조기능사
선체의장기능사
섬유제도디자인기능사
세라믹기능사
세탁기능사
수산식품가공기능사
수산양식기능사
수치제어밀링기능사
수치제어선반기능사
스크린인쇄기능사
승강기기능사
시계수리기능사
시설원예기능사
시추기능사
식물보호기능사
식육처리기능사
신발류제조기능사
실내건축기능사
아스팔트믹싱플랜트운전기능사
아스팔트피니셔운전기능사
양복기능사(봉재)
양복기능사(패턴)
양식조리기능사
양장기능사(봉재)
양장기능사(패턴)
양화장치운전기능사
어로기능사
연삭기능사
열간압연기능사
열차조작기능사
열처리기능사
염색기능사(날염)
염색기능사(침염)
영사기능사
온수온돌기능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능사
원형기능사
웹디자인기능사
위험물관리기능사(1류)
위험물관리기능사(2류)
위험물관리기능사(3류)
위험물관리기능사(4류)
위험물관리기능사(5류)
위험물관리기능사(6류)
유리시공기능사
인발기능사
인장공예기능사
일반판금기능사
일식조리기능사
임업종묘기능사
자기비파괴검사기능사
자동차검사기능사
자동차정비기능사
자동차차체수리기능사
자수기능사(기계자수)
자수기능사(수자수)
잠수기능사
전기공사기능사
전기기기기능사
전기도금기능사
전기용접기능사
전기철도기능사
전산응용건축제도기능사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전산응용조선제도기능사
전산응용토목제도기능사
전자계산기기능사
전자기기기능사
전자조판기능사
전자출판기능사
전자캐드기능사
전파전자기능사
전파통신기능사
정밀측정기능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제강기능사(연속주조작업)
제강기능사(전기로작업)
제강기능사(전로작업)
제과기능사
제관기능사
제빵기능사
제선기능사
제품응용모델링기능사
조경기능사
조적기능사
조주기능사
조화공예기능사
종자기능사
주조기능사
준설선운전기능사
중식조리기능사
지게차운전기능사
지도제작기능사
지적기능사
직기조정기능사
직물가공기능사
채소재배기능사
천장크레인운전기능사
철골구조물기능사
철근기능사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철도동력차전기정비기능사
철도신호기능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능사
축로기능사
축산기능사
축산식품가공기능사
축소사진기능사
측량기능사
칠기기능사
침투비파괴검사기능사
카일렉트로닉스기능사
컴퓨터그래픽스운용기능사
콘크리트기능사
타일기능사
타출판금기능사
토목제도기능사
통신기기기능사
통신선로기능사
특수도금기능사
특수용접기능사
패세공기능사
펄프제지기능사
편물기능사(기계편물)
편물기능사(수편물)
평판인쇄기능사
포장기능사
표구기능사
프레스금형기능사
플라스틱성형가공기능사(사출성형작업)
플라스틱성형가공기능사(압출성형작업)
플라스틱창호기능사
플랜트배관기능사
피아노조율기능사
한복기능사
한식조리기능사
항공기관정비기능사
항공기체정비기능사
항공사진기능사
항공장비정비기능사
항공전자정비기능사
항로표지기능사
화약취급기능사
화학분석기능사
화훼장식기능사
화훼재배기능사
환경기능사

가스산업기사
객화차정비산업기사
건설기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건축목공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계량기계산업기사
계량물리산업기사
계량전기산업기사
고분자제품제조산업기사
공업계측제어산업기사
공업화학산업기사
공정관리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교통산업기사
굴착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귀금속가공산업기사
금속재료산업기사
금속제련산업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산업기사
농업기계산업기사
누설비파괴검사산업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
도자기공예산업기사
디지털제어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목공예산업기사
목재창호산업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방사산업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방직산업기사
배관설비산업기사
보일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
산림경영산업기사
산림공학산업기사
산림산업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생산기계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섬유가공산업기사
섬유기계산업기사
섬유디자인산업기사
세라믹산업기사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소음진동산업기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수산제조산업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승강기산업기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시설원예산업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식품산업기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양복산업기사
어로산업기사
열관리산업기사
열차조작산업기사
영사산업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산업기사
용접산업기사
위험물관리산업기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윤활관리산업기사
인쇄산업기사
임산가공산업기사
임업종묘산업기사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자동차검사산업기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수산업기사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잠수산업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기기산업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전산응용가공산업기사
전자계산기산업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전자산업기사
전자회로설계산업기사
전파전자산업기사
전파통신산업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정보기술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제관산업기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조경산업기사
조리산업기사(복어조리)
조리산업기사(양식)
조리산업기사(일식)
조리산업기사(중식)
조리산업기사(한식)
조선산업기사
조적산업기사
종자산업기사
주조산업기사
지적기능산업기사
지적산업기사
지하수산업기사
철도동력차기관정비산업기사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철도보선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축산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치공구설계산업기사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콘크리트산업기사
토목산업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판금산업기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편물산업기사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포장산업기사
표면처리산업기사
품질관리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한복산업기사
항공산업기사
항로표지산업기사
해양조사산업기사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화약류제조산업기사

가스기사
가스산업기사
객화차정비산업기사
건설기계기사
건설기계산업기사
건설기계정비기사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설안전산업기사
건설재료시험기사
건설재료시험산업기사
건축기사
건축목공산업기사
건축산업기사
건축설비기사
건축설비산업기사
건축일반시공산업기사
계량기계산업기사
계량물리산업기사
계량전기산업기사
고분자제품제조산업기사
공업계측제어기사
공업계측제어산업기사
공업화학기사
공업화학산업기사
공정관리기사
공정관리산업기사
공조냉동기계기사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광학기사
교통기사
교통산업기사
굴착산업기사
궤도장비정비기사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귀금속가공산업기사
금속기사(가공분야)
금속기사(재료분야)
금속기사(제련분야)
금속재료산업기사
금속제련산업기사
기계공정설계기사
기계설계산업기사
기계정비산업기사
기계조립산업기사
기상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기사
농림토양평가관리산업기사
농업기계기사
농업기계산업기사
농화학기사
누설비파괴검사기사
누설비파괴검사산업기사
대기환경기사
대기환경산업기사
도시계획기사
도자기공예산업기사
디지털제어산업기사
메카트로닉스기사
메카트로닉스산업기사
목공예산업기사
목재창호산업기사
무선설비기사
무선설비산업기사
반도체설계기사
방사기사
방사산업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기사
방사선비파괴검사산업기사
방송통신기사
방송통신산업기사
방직기사
방직산업기사
배관설비산업기사
보일러산업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사출금형산업기사
사출금형설계기사
산림경영기사
산림경영산업기사
산림공학기사
산림공학산업기사
산림산업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산업위생관리산업기사
생물공학기사
생물분류기사
생산기계산업기사
생산자동화산업기사
섬유가공산업기사
섬유기계산업기사
섬유디자인산업기사
세라믹기사
세라믹산업기사
소방설비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기사(전기분야)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분야)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분야)
소음진동기사
소음진동산업기사
수산양식기사
수산양식산업기사
수산제조기사
수산제조산업기사
수질환경기사
수질환경산업기사
승강기기사
승강기산업기사
시각디자인기사
시각디자인산업기사
시설원예기사
시설원예산업기사
식물보호기사
식물보호산업기사
식품기사
식품산업기사
실내건축기사
실내건축산업기사
양복산업기사
어로기사
어로산업기사
어병기사
열관리기사
열관리산업기사
열차조작산업기사
염색가공기사
영사산업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기사
와전류비파괴검사산업기사
용접기사
용접산업기사
원자력기사
위험물관리산업기사
유기농업기사
유기농업산업기사
윤활관리산업기사
응용지질기사
의류기사
인쇄기사
인쇄산업기사
일반기계기사
임산가공기사
임산가공산업기사
임업종묘기사
임업종묘산업기사
자기비파괴검사기사
자기비파괴검사산업기사
자동차검사기사
자동차검사산업기사
자동차정비기사
자동차정비산업기사
자수산업기사
자연생태복원기사
자연생태복원산업기사
잠수산업기사
전기공사기사
전기공사산업기사
전기기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전기산업기사
전기철도기사
전기철도산업기사
전산응용가공산업기사
전자계산기기사
전자계산기산업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전자기사
전자산업기사
전자회로설계산업기사
전파전자기사
전파전자산업기사
전파통신기사
전파통신산업기사
정밀측정기사
정밀측정산업기사
정보기술산업기사
정보처리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통신기사
정보통신산업기사
제관산업기사
제판기사
제품디자인기사
제품디자인산업기사
조경기사
조경산업기사
조리산업기사(복어조리)
조리산업기사(양식)
조리산업기사(일식)
조리산업기사(중식)
조리산업기사(한식)
조선기사
조선산업기사
조적산업기사
종자기사
종자산업기사
주조산업기사
지적기능산업기사
지적기사
지적산업기사
지하수기사
지하수산업기사
철도동력차기관정비산업기사
철도동력차전기정비산업기사
철도보선기사
철도보선산업기사
철도신호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기사
초음파비파괴검사산업기사
축산기사
축산산업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기사
측량및지형공간정보산업기사
치공구설계기사
치공구설계산업기사
침투비파괴검사기사
침투비파괴검사산업기사
컬러리스트기사
컬러리스트산업기사
콘크리트기사
콘크리트산업기사
토목기사
토목산업기사
토양환경기사
통신선로산업기사
판금산업기사
패션디자인산업기사
패션머천다이징산업기사
편물산업기사
폐기물처리기사
폐기물처리산업기사
포장기사
포장산업기사
표면처리산업기사
품질관리기사
품질관리산업기사
프레스금형산업기사
프레스금형설계기사
피아노조율산업기사
한복산업기사
항공기사
항공산업기사
항로표지기사
항로표지산업기사
해양공학기사
해양생산관리기사
해양자원개발기사
해양조사산업기사
해양환경기사
화공기사
화약류관리기사
화약류관리산업기사
화약류제조기사
화약류제조산업기사

물론 이것보다 훨신많겠죠??? ^^;;
특별 조건이 있어야 취득할수있는 자격이 주어지는자격증도있지만..
시간이 지나고 누구나 노력하면 자격증은 딸수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좀 풀리셨는지..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세계적 그래픽소프트웨어 회사인 Adobe사에서는 Adobe자격증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그래픽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경쟁력있는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Adobe자격증 시험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ACS 시험안내
   
1. 개요
  * 시행처
1) 주최 : 韓國어도비시스템즈㈜
2) 운영 : 중앙 컴퓨터 응용 기술자격(Choongang Computer Application Technology Certification)평가원
3) 후원 : 중앙일보, 스포츠 조선

컴퓨터그래픽 분야는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며,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해내는 21세기 유망 사업분야의 하나이다. 그러나 국내에는 아직까지도 컴퓨터그래픽 구사능력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을 수 있는 자격증 제도가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각 기업체 또는 공공기관들의 사원채용 시는 물론 컴퓨터그래픽을 공부하는 학생들조차도 각자의 능력을 객관적으로 평가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없었다.

더욱이, 정부의 교육개혁에 의한 대학입시제도 변화의 특징이, 특별전형의 대폭적 확대로서, 컴퓨터관련 자격증이 중요한 전형요소로 대두됨에 따라 학교는 물론 학부모들로부터, 많은 관심과 요구가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세계적 그래픽소프트웨어 회사인 Adobe사에서는 Adobe자격증을 통해, 전세계적으로 표준화되고 있는 그래픽소프트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경쟁력있는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Adobe자격증 시험제도를 시행하게 되었다.

   

2. 응시 자격
  1) 응시 자격
- 학력, 연령 등의 제한은 없음
2) 응시 대상
- 컴퓨터 디자인 분야에서 취업을 희망하는 분
- 관련 실무능력을 객관적으로 인정 받고 싶어하는 학생, 직장인
- 실무능력을 대내·외적으로 평가 받고 싶어하는 회사 및 단체
- 기타 이와 동등한 실력을 가진 분으로 전문적인 평가를 받고자 하는 분

3. 검정방법 및 시험과목
 

1) 검정 방법
- 시험종목은 공히 본인이 원하는 종목만 응시
- 필기 / 실기 분리 시행
-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해 실기시험 응시자격이 주어짐.
- 필기시험은 객관식 4지 택일형(50문항)
- 실기시험은 실제 컴퓨터를 사용하여 문제에 답하는 작업형
- 실기답안은 문제 요구사항대로 시스템 상에서 작업하여 하드디스크의 지정된 폴더 안에 자신의 수험번호로 파일이름을 주어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파일의 저장상태를 확인한 후 퇴실한다.
- 필기시험 합격자는 3번의 실기시험 기회가 주어짐.
(단,버전업이 되었을 경우는 필기 시험을 재응시 해야 함)

2) 시험 과목
- BASIC 자격시험


종목
시험과목 문항 시간 출제형태 응시료 버전업에 따른응시료
Adobe Photoshop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20,000 15,000
실기 1과목 1 180분 작업형 30,000
Adobe Illustrator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20,000 15,000
실기 1과목 1 180분 작업형 30,000
Adobe Pagemaker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20,000 15,000
실기 1과목 1 180분 작업형 30,000
Adobe Premiere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30,000 10,000
Adobe Acrobat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30,000 10,000
Adobe
After Effect
필기 1과목 50 60분 4지 택일형 30,000 10,000

- BASIC 자격시험

종목 시험과목
DTP 필기 1과목
실기 1과목
Web Design 필기 1과목
실기 1과목
Multimedia 필기 1과목
실기 1과목


4. 자격취득방법(합격기준)
  - 필기는 50문항 중 60점(30문항)이상을 획득해야만 합격할 수있다. 그리고 실기는 작업형 시험이며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합니다.
- 필기합격 후 실기시험 접수 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과 접수증을 필히 지참 하셔야 합니다.
- 최종합격자 등록기간 중 ACS인증서는 필히 본인이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과 접수증을 지참하고 찾아가야 합니다.
또는 ACS인증서를 우편으로 받고자 하시는 분은 접수하신 시험센터에 등기우표, 수험표, 주민등록등본, 연락처 등을 우편으로 보내주십시오.
(등기우편료 합격자 부담)

·
5. 취득후 진출분야 및 혜택
  - Basic과정을 합격한 사람들은 동호회 활동, 전시회, 공모전 등의 다양한 기회를 부여해서 여러 가지 특전을 드릴 계획입니다.

 

추가 정보

증권 쪽으로 관심을 돌려볼까합니다 제가알고있는건

투자상담사 1종 과 2종알고있구요 명칭이 선물거래상담사랑 증권분석사인가

자세한건 모르구요 또 금융관리자산자 말고는 모르거던요 증권회사에

나중에 취직하려고할때 필요한 자격증 증권쪽 관련 자격증 전부다 알려주시면 ㄳ

하겠습니다 증권자격증이있으면 나중에 제가 주식이나 멀할때도 조금은 유리하지안을

까요그냥 궁금하내여 이건
추가된 질문
2004.02.05 18:27 추가
국가공인인가 아니면 민간인가도 알려주십시오 투자상담사나 금융자산관리사가 민간인지 공인인지도 그리고 학력과도 관련있는가 만 20세 돼는자만 볼수있는건가 아니면 대학나와와야 볼수있나 이런것들도 적어주셧으면 ㄳ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증권업계에서 인정되는 자격종류는 생각보다 꽤 많습니다.
엄밀히 말하면 민간자격증이지만, 업계공인 정도로 보시면 될 겁니다.
대부분 나이나 학력과 관계없이 볼 수 있지만,
업계안이 아니라면 쓸모가 없죠. 반대로 증권업계에서 종사할 계획이라면
미리 따두는 것이 좋겠죠. 들어와서 따도 되는 것들도 많구요.


1. 증권투자상담사(증권업협회주관)
예전의 2종투자상담사 자격과 같습니다.
주식 및 채권거래에 관한 매매권유,투자상담을 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증권회사에 근무하고 있어야만 효력이 있습니다.
민간인으로 딸 수는 있지만, 증권회사에 입사하기 전에는 쓸모가 없죠.

2. 선물거래상담사(증권업협회,한국선물협회 공동주관)
거래소 선물옵션이 선물거래소로 이관되면서,
종전 증권업협회의 1종투자상담사자격증이 선물거래상담사 자격증으로
통합된 것입니다.
선물옵션 등 파생상품거래에 관한 매매권유,투자상담을 할 수 있는 자격증.
역시나 증권회사 직원이 되어야먄 효력이 발생합니다.

3. 금융자산관리사(FP, 증권업협회주관)
종합적인 자산운용전략을 수립하고 상담에 응하고, 랩어카운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증입니다.
자산설계운용전문인력자격증과 동일한 자격입니다.

4. 재무위험관리사(FRM, 증권업협회주관)
증권관련 상품의 운용과 관련된 재무위험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자격증입니다.
시험이 비교적 어려워 증권회사도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진 않습니다.
증권회사가 장외파생상품업무를 하려면 반드시 이 자격증을 보유한 직원을
채용하여야 합니다.

5. 증권분석사(CIA,증권업협회주관)
증권투자와 관련된 정보 및 기업가치분석 등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자격증입니다.
증권분석사 자격증은 미국 것도 있고 하지만,
우리나라는 협회주관의 증권분석사가 공인된 것입니다.

6. 일반운용전문인력(RFM,투자신탁협회주관)
펀드매니져가 되려면 반드시 이 시험에 합격하여야 합니다.
이 시험에 합격하면 FP 자격이 동시에 주어집니다.
사전에 투자신탁협회나 증권업협회가 주관하는 운용전문인력양성과정이라는
연수프로그램을 수료하여야만 응시자격이 주어집니다.

이밖에..

미국 재무분석사(CFA) 등도 업계에서 인정을 받고 있는데
이것은 학사이상의 학력과 업계 종사경력이 필요하므로 당장은 어렵구요.
CFA 를 땄다고 하면 꽤 인정을 받는 분위기입니다.

추가로 최근 보험상품 판매등 업계의 장벽이 허물어지면서..

인보험대리점자격시험(생명보험판매자격),
손해보험대리점자격시험(손해보험판매자격) 등도 필요해 지고 있습니다.

증권회사에 취직하기 위해 이 모든 자격증을 미리 다 딸 필요는 없습니다.

증권투자상담사와 선물거래상담사, 자산관리사 3개정도면
무난한 수준인데,
기본자격증으로 인식되고 있어서 특별히 혜택이 있거나 하진 않습니다.


...도움이 되길...

제가 증권투자상담사 자격증을 공부하려고 하는데요

 

증권투자상담사가 1,2종 투자 상담사랑 같은 거라고 들었는데요

 

1,2종은 말하자면 1급, 2급 분류하는 것과 같이 난이도에 따라 구분한 건가요?

 

그래서 2종 시험을 준비해야 하는데 책을 찾아보니 증권업협회에서 나온 책 중에

 

2종만 있는 책과 1,2종을 합쳐놓은 책이 있더라구요

 

이 둘 중에서 어떤 책으로 공부하는 것이 더 나을까요?

 

마지막으로 제가 이제 고1되는 학생인데 제 나이로도 딸 수 있죠?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조금은 잘못된 정보를 알고 있군요..

 

1종 2종은 예전에 사용하던 용어입니다..

 

지금은 1종 투자상담사가.. 선물거래상담사로

 

2종은 증권투자 상담사로 완전히 분리 되었습니다.

 

예전에는 2종을 보고 합격한 자만이 1종 시험에 응시할 자격을 얻을 수 있었지만.

 

지금은 두 자격증이 분리 되었습니다.

 

증권투자 상담사의 경우에는 주식상담에 관한 자격은 선물거래 상담사는 파생상품에 대한 상담을 할 수 있는 자격을 주는 시험입니다.

 

 

나이가 문제 되지는 않구요...

 

1,2종을 합쳐놓은 책이라고 하는데.. 그게 무슨책인지는 모르겠지만.

 

비추천합니다.

 

시험주관기관은 증권업협회에서 발간하는 교재가 있습니다.

 

양이 많기는 하지만.

 

아직 어린 학생이라면... 처음부터 정석으로 천천히 준비하신느 것이 좋을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에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마무리 하겠습니다.

 

 

우선 요약집은 절대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증권법은 그동안 자주 바뀌었고. 특히 통합거래소 출범으로 많은 부분이 바뀌었습니다.

2004년 판이면.. 그리 추천하고 싶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험을 보시면 알게되겠지만. 객관식이라는 문제의 특성상..

 

교재의 이곳 저곳에서.. 관련 내용들이 나옵니다.. 요약집으로 본다면. 많이 헷갈립니다..

 

반드시 증권업협회에서 출간한 정식 교재로 공부를 하셔야..  쉽게 합격하실 수 있습니다.

 

양이 많기는 하지만. 아래서 설명할.. 온라인 교육을 통한다면.. 불필요한 부분을 최대화 시켜서

 

보다 합리적으로 공부하실 수 있습니다. 독학 보다는 온라인 교육을 받는 것이 3배이상 효율적입니다. 혼자 공부하신다면.. 2달로는 부족합니다.

 

그리고 교재는 향후에도 관련 업무나.. 주식을 하면서도.. 충분히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평생 볼 수 있습니다.. 법률이 바뀌는 것은 별 수 없지만. 나머지들은 참으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습니다.. 투자하세요....

 

비 상경계열이나 다른 업종에 계신 분이라면..   2달에서 3달 정도라고 보시면 됩니다.

 

하루에 3~5시간 정도 공부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그정도.. 일것 입니다.

 

상경계열의 경우.. 주식이나 재무에 대한 지식이 어느정도 있다면.. 1달에서 2달 정도입니다..

 

이 기간은 개인적인 차이가 있습니다.. 여러군데서 하는 이야기나.. 제가 주위에서 본 경험.. 제가 공부하면서. 느낀 정도를 감안해서 이야기 드리는 것입니다.

 

실제로 제 주변에는 경영학을 전공하는 학생이였는데.. 일주만 보고 합격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 시험이 사실.. 백점 만점을 받는 시험이 아니라. 평균 60점을 맞는 시험이라서.. 가능한거기는 하지요..

 

 

다시 돌아오면..  혼자서 독학을 하기보다는 와우패스나 공평학원과 같은 온라인 금융 교육 회사들을 활용할 것을 추천합니다..

 

비용이 아깝기는 하지만.. 다양한 할인 혜택을 받는 다면..

 

무엇보다도. 쉽게 공부를 하실 수 있습니다.

 

교재를 사서 보시면 알겠지만.. 보통 4권 정도의 책으로 그 양은 매우 방대합니다..

 

다 외우시려면. 많이 힘들죠.. 이들 교육회사를 이용하면..

 

핵심적인 내용을 체계적으로 알려줍니다.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을 줄여주죠..

 

한달은 강의 듣고. 한달은 외우고 마무리 한다고 하면..

 

두달 정도면.. 충분 할 꺼라고 생각됩니다......

 

 

열공해서.. 꼭 합격하세요..

이번에 정시 지원했는데요

셋다 큰 이변이 없으면 붙을 것 같습니다..(다 하향지원)

집은 서울이지만 조만간 부산으로 갈 확률이 많구요

원래 꿈은 일반사회전공으로 고등학교 선생님이었는데

집에서 남자가 사범대 가는거 싫어해서;; 좀 그렇네요

원래 꿈은 당연히 강원대로 가는건데..

부산대 경영이 누리사업도 하고 지방국립대중엔 최고로 좋다고 해서

많이 끌립니다..ㅠ.ㅠ

경영도 싫어하는건 아니지만 나중에 교사 안한걸 조금 후회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홍대 교육학과는 복수전공도 해야하고 그냥...사범대지만 좀 안끌리구요;;

강원대나 부산대중에 선택해야 하는데 학과도 너무 틀리고..

다들 부산대를 추천하네요..

사회교사 얼마 뽑지도 않는다고 하고..휴..

근데 일반사회교육 정말 배우고 싶은 학과였는데... 그게 많이 아쉽네요..

경영이 아예 흥미가 없으면 안가겠는데..그래도 그렇게 싫은과도 아니어서..휴

일반사회교육가 훨씬 좋지만요..

교사 하는거 힘들겠죠?

휴... 대략적인 조언이라도 부탁드려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저 부산사는데요 부산대 경영 좋을껀�ㅋㅋㅋㅋㅋㅋ부산에서 부산대 가기 완전 어렵거든요.

강원대도 좋은데 일반사회쪽도요 님께서 복수로 지리나 역사.... 아님 공통사회라고 해서 부전공인가 복수전공이런게 있떼요 임용칠때 공통사회는 가산점을 받긴하죠.ㅎ

근데 저희사촌언니는 부대 지리교육학과였는데 사회쪽이니까 임용어렵고해서 다시 수능�거든요.ㅎ

할튼 저는 부산대 강추해요

부산갈 확률이 많다고 싶으심.ㅋㅋㅋㅋ부산대 가서도 딴거 또 복수전공이나 부전공의 길은 많으니까요.ㅎ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부산대는 공인회계사 전국 6,7위를 하는 좋은 대학입니다. 부산대 경영은 지방에서 최고라고 보시면 됩니다. 역대 공인회계사 배출에서 최근 14년간 전국 7위의 성적을 내고 있습니다. 2005년의 경우 45명을 합격시켜 전국 6위를 차지했죠.

 

부산대 경영학부에 가도 교사가 될 수 있습니다. 입학정원의 10%를 교직이수(교과과목:상업정보)할 수 있습니다.

 

비사범계 학과  교직이수는 대개 신입생 모집정원의 10%입니다. 교직과정 개설되지 않은 학과도 있구요. 부산대 중문학과, 노어노문학과, 철학과, 건축학부, 토목공학과 등등의 경우 입학정원의 30%까지 교직이수 됩니다.  부산대 비사범계 교직이수학과를 알려면 http://onestop.pusan.ac.kr/new_pass/passindex.asp(엑셀 깔아야 보임)를 방문하여 학사관리--->수업--->교과과정이수안내--->비사범계 설치학과,선발인원을 보시기 바랍니다.


지난해 선정된 부산대 <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 사업>은 경영학부, 경제학과, 수학과가 해당되며 부산대가 주관대학, 동의대가 참여대학입니다.  부산대 상과대학의 경영학과와 경제과의 경우 전체 약 250명정도의 신입생 성적에서 50명 이내에만 들면 4년 장학금(등록금 포함)을 지급하는 등 총 150명에게 누리장학금을 지급합니다. 누리장학금 외에 각종 교내외 장학금도 같이 받을 수 있습니다. 

 

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장학제도

 

 

 

 

(1) 우수 신입생 유치 장학금
      (가) 선발 대상 및 방법 : 경영학부 및 경제학과 지원자 중 수능 1개 영역 이상의 성적이 1등급인 지원자중에서 입학성적 석차 상위인 학생
      (나) 선발인원 : 150명 이내
      (다) 지원금액 : 2006학년도 신입생 등록금 전액과 학비보조금(2006년도 1학기 수업료와 기성회비 등을 합한 금액)을 합한 금액
      (라) 입학성적 석차 상위 50명 이내에 대해서는 2007년 1학기부터 2009년 1학기까지 등록금 전액을 지원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단, 부산대학교 장학금 지급 기준에 부합하고, 교육인적자원 부 지방대학혁신역량강화(NURI)사업 중 부산대학교 금융ㆍ선물ㆍ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이 2009년 1학기까지 지원되는
      경우에 한함.
    (2) 재학생 장학금
      (가) 선발대상 : 부산대학교 경영학부, 경제학과, 수학통계학부 수학전공 재학생 및 대학원생(사업 참여 신청서 및 경제활동 정보제공 동의서를 제출한 학생)
      (나) 선발방법
        1) 사업 참여 우수학생 : 영어성적, 자격증 취득사항, 전문교육 참여도 및 사업단 자체평가 성적 , 학과 성적 등을 종합하여 평가
        2) 해외자격증 취득자
          - 대상 해외자격증 : 국제금융위험관리사(FRM), 국제재무분석사(CFA), 미국보험계리사(SOA) 등
          - 장학지원 규모 : 합격자에게는 한 학기 등록금 전액에 해당하는 장학 지원
        3) 대학원생: 학과성적 및 연구실적 등을 종합하여 평가
      (다) 지원금액
        1) 학부생: 170명*120만원 = 20,400만원
        2) 대학원생: 30명*150만원 = 4,500만원
    (3) 각종 시상금
      (가) 학술대회 시상금 : 대학(원)생 학술대회 개최 지원, 총 상금 700만원
      (나) 모의 프로젝트 경진대회 시상금 : 사업 참여 우수학생을 대상으로 경진대회 개최, 총 상금 1,200만원
      (다) 인턴쉽 및 현장실습 우수자 지원 : 인턴쉽 및 현장실습에서 해당 기관으로부터 우수평가를받은 자를  대상으로 총 200만원의 격려금 지급
    (4) 단기 어학연수 기회부여
      (가) 선발방법
        1) 사업참여 우수학생
        2) 대학원생: 학과성적 및 연구 실적 등을 종합하여 평가
      (나) 지원내용 : 년간 15명을 선발하여 2개월 단기어학연수 비용 500만원 내외 지원
    (5) 해외선물시장 체험단 파견기회 부여
      (가) 선발방법 : 모의 프로젝트 경진대회와 자체평가를 통해 우수인원 20명 선발
      (나) 지원내용: 제경비 일체 지원
   

※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업단 홈페이지(http://www.pnunuri.org)를 이용 금융ㆍ선물ㆍ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전화 : 051-510-3582 팩스: 051-513-2748

 

전국에서 유일하게 금융선물부분에 선정된 누리사업에 금융선물부문이 성공적인 평가를 받아 최근 열린「제2회 대학혁신포럼」에서 성공사례 로 발표되기도 했는데 기사로 나온 것 중 부산대 부분만 발췌해 올립니다.

<<국립대인 부산대는 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 사업을 실시해 누리NURI 사업 우수사례로 꼽히는 대학이다. 부산대는 사이버 거래소, 이러닝 강의실 조성, 동영상 콘텐츠 개발하는 한편 산학연계 교과과정을 개편하는 등 전문교육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했다. 이를 토대로 선물옵션 전문가, 금융전문인력, 증권보험전문인력을 양성해 내고 있다.>>

<<부산대는 지난해 NURI(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 사업의 일환으로 한국증권선물거래소 등 지역산업과 연계하여 산학협력에 의한 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을 특성화 분야로 추진했다. 부산대는 관련 전문자격증 취득 지원, 유관협회와 맞춤형 위탁교육실시, 모의거래솔루션 개발·운용 등을 통해 국내외 선물시장·금융·증권보험 전문인력 양성에 나섰다. 외국어·컴퓨터 활용능력, 인성교육, 전문교육 등 취업률 제고를 위한 지원, CEO 초청특강, 취업지원센터 운영, 현장실습체험, 우수신입생 유치 지원 사업도 병행했다. 이 같은 노력은 203건의 전문자격증 취득, 지난해 대비 취업률 10.3% 포인트 상승이라는 성과로 이어졌다.>>

 

경북대 경영은 지방에서 부산대 경영에 이어 두번째라고 보시면 됩니다. 역대 공인회계사 배출에서 최근 14년간 전국 12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05년도의 경우 경북대는 8명이 합격해 전국 14위였죠.


테크노CEO 전성시대 예고
신규 대기업 승진임원 부산대 출신 약진
연세대 제치고 서울-고려에 이어 3위 
[매일경제신문 2006-01-09 07:20] 
 
이공계 출신 경영자(테크노경영자)들이 대기업을 이끄는 기술경영시대가 열리고 있다.
올해 승진한 임원 10명 중 6명이 이공계 출신으로 나타났다. 또 실력 위주 발탁인사가 두드러져 명문대 출신보다는 지방대 출신 임원이 약진하고 있다.

 

매일경제가 작년 말과 올해 초 임원 인사를 실시한 현대ㆍ기아차, LG, GS,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두산 등 9개 그룹 승진 임원 612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승진 임원 중 이공계 출신은 58.5%(358명)로 집계됐다. 상경계는 26.5%(162명)였고, 인문계열(법정계열 포함)은 15.0%(92명)로 나타났다. 매일경제가 지난해 초 15대 그룹 임원 승진 인사를 분석했을 때는 이공계 출신이 53.0%였다. 작년 상장회사협 의회가 655개 상장사 기존 임원(1만1119명)을 조사했을 때 이공계 출신은 39.8%에 그쳤다.

 

 

명문대보다 능력 위주의 인사는 올해도 계속됐다.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스카이'(SKY) 대학 출신 비중은 30.9%에 그쳤다. 상장사협의회에서 조사한 기존 임원 중 SKY대 출신은 40%였다. 대신 지방대 약진이 눈에 띈다.

 

9개 그룹 임원 승진 인사에서 부산대 출신이 44명을 기록해 연세대보다 1명이 많아 3위를 차지했고, 영남대는 30명(8위)의 새 임원을 배출했으며 경북대(26명), 전남대(20명) 등 지방대학에서 많은 임원을 배출했다.

 

올해 주요 그룹 인사에서 실력은 출신에 앞선다는 인사원칙은 계속됐다. '스카이'( SKY, 서울대ㆍ연대ㆍ고대)출신 임원의 비중은 줄어든 반면 부산대, 영남대 등 지방 대학 출신 임원의 부상이 눈에 띄었다.

서울대 출신은 새 임원 중 14.9%로 가장 많았지만 상장사협의회가 조사한 기존 임원 중 서울대 출신(21.7%)보다는 크게 줄었다.

 

또 새 임원 중 고려대 출신은 9.0%, 연세대 출신은 7.0%에 그쳤다. 기존 임원 중 고려대(9.7%), 연세대(8.6%) 출신이 차지하는 비율과 격차가 있다.

 

부산대 출신(44명ㆍ7.2%) 임원이 9개 그룹에서 연세대 출신 임원보다 많아 눈길을 끌었고 영남대(30명), 경북대(26명), 전남대(20명), 동아대(12명), 전북대(11명) 등 지방대 출신이 많이 발탁됐다.

 

외국에서 학부를 나온 사람은 9명에 불과해 아직까지 국내 대학 출신들이 재계 수뇌부의 절대 다수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BA 등 석사 이상을 외국에서 마친 사람은 49명으로 집계됐다.

 

이공계 출신 임원 비율이 해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올해 인사에서는 60%에 육박하는 이공계 출신 임원이 탄생했다. 또 첨단기술 분야는 40대 엔지니어가, 중후장대형 산업분야에는 50대 엔지니어가 임원으로 발탁돼 눈길을 끌었다.

 

과거 영업과 기술통에 밀렸던 관리ㆍ기획 임원 승진도 크게 늘었다. 작년 내실을 다진 성과주의 인사와 올해 미래 성장동력을 찾으려는 기업경영 의도가 엿보인다.

 

첨단기술 분야에서는 임원 승진 나이대가 40대로 굳어지고 있다. LG그룹은 사장단을 제외한 승진 임원 82명 중 50대 임원 승진자가 6명에 불과했다. 30대 2명을 제외하면 40대가 74명으로 90%가 넘는다. 새로 선임된 임원의 평균 연령은 45세다.

 

반면 대표적인 중후장대형 사업은 50대 임원 전성시대가 계속되고 있다. 조선업의 현대중공업그룹(삼호중공업, 미포조선)은 63명의 임원 승진자 중 50대 임원이 57명(90%), 40대는 6명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자동차업인 현대ㆍ기아차 그룹은 40대와 50대 임원이 혼재돼 새 임원 평균 연령이 현대차는 49.1세, 계열사는 50.2세다.

 

재계 관계자는 "첨단기술은 젊은 인재로 세대교체가 빨리빨리 이뤄지고 대형설비의 장치산업은 나이가 높은 업종 특성을 그대로 보여준 인사"라고 말했다.

 

LG그룹은 이공계 승진 임원이 63%로 60%를 넘었다. 이 중 연구개발(R&D) 담당임원 비율은 새 임원 82명 가운데 25%를 차지했다. 현대차는 68명의 승진 임원 중 이공계가 37명으로 절반을 넘었으며 계열사는 46명 승진 임원 중 22명이 이공계로 반수를 차지했다.

 

이공계 출신 임원이 많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기술경영이 정착돼 가고 있으며 테크노 임원들이 명실상부한 기업의 중심축으로 올라섰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병득 기자 / 박용범 기자]


 

2005년 공인회계사(CPA) 대학별 합격자 수

1. 연세대 175
2. 고려대 155
3. 서울대 137
4. 성균관대 72
5. 서강대 68
6. 부산대 45
7. 이화여대 42
8. 중앙대 40
9. 한양대 35
10. 서울시립대 28
11. 외국어대 22
12. 경희대 21
13. 아주대 16
14. 숙명여대 15
15. 숭실대 12
15. 홍익대 12
15. 경북대 12
18. 충남대 11
19. 동국대 7
20. 기타 79
total 1004


2004년 공인회계사(CPA) 대학별 합격자 수

1.서울대 159명
2.연세대 156명
3.고려대 148명
4.서강대 75명
5.성균관대 72명
6.한양대 52명
7.이화여대 41명
8.서울시립대 36명
9.부산대 31명
10.중앙대 28명
11.아주대 21명
12..경희대 20명
13.인하대 18명
14.국민대 14명
15.경북대 13명
16.홍익대 12명
17.동국대,건국대 11명
18.제주대 9명
19.영남대 7명
20.한국외대 6명
21.숭실대 5명

 

1991~2005년 공인회계사(CPA) 대학별 합격자 누계

학교별,연도별 합격인원 통계

구분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연세대 31 50 57 64 60 72 74 95 103 108 152 156 149 156 175 1509
서울대 20 31 40 48 48 65 77 83 106 134 177 154 148 159 137 1436
고려대 34 27 28 25 37 42 74 73 80 89 137 138 144 148 155 1231
성균관대 27 21 20 20 30 20 28 40 27 40 68 62 64 72 72 611
서강대 13 14 18 22 15 16 27 21 35 31 68 66 73 75 68 562
한양대 5 9 9 12 11 9 26 25 6 9 35 50 25 52 35 321
부산대 19 15 14 10 7 14 12 21 16 12 30 30 28 31 45 304
경희대 14 12 13 11 7 17 14 24 16 14 38 30 34 20 21 285
중앙대 10 8 4 8 9 8 16 9 10 12 26 37 45 28 40 270
이화여대 1 - 1 5 5 4 8 12 7 11 32 27 41 41 42 237
서울시립대 2 3 7 9 11 10 13 6 5 10 25 19 27 28 28 203
경북대 5 9 10 6 5 15 9 10 4 17 30 18 13 13 12 176
동국대 4 3 9 5 1 10 10 8 8 4 16 15 22 11 7 133
전남대 5 5 2 3 2 3 2 10 6 4 18 25 11 10 5 110
한국외대 1 3 2 3 3 4 2 1 3 5 13 12 21 6 22 101
건국대 6 8 4 1 6 - 7 5 2 4 9 7 11 11 3 84
홍익대 - - - - - 1 3 7 5 3 10 13 13 12 12 79
인하대 - - - - 3 1 7 8 5 4 11 8 7 18 7 79

 

저는 부산에 모대학 경영학과다니는 학생입니다..

현재 저는 금융권 취업을 목표로 삼고있는데요..

여러방면으로 어떻게 준비를 해야할지 감이 서질않아서 이렇게 질문드립니다.

필요한 자격증은먼지 영어성적은 어떻게 해야할지 증권업계쪽에서 취업을할때 요구하는 조건이 무엇인지도 궁금하구요 금융권취업은 과연 지방대생이라도 합격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심각하게 질문드립니다 성심성의껏 답변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미래 코리아 금융맨을 꿈꾸시는 부산의 패기 넘치는 젊은이시군요.

 

증권업계로 진출을 원하신다구요?

 

그럼 제가 친절하게 답변해드리겠습니다.

 

대X증권에 합격한 분의 수기에 좋은 부분이 있어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은 살아있는 생명체와 같았고, 나는 그것을 평생 느끼고 싶었다.

1. 주식에 입문하다.
 

 제가 주식을 처음 접한 것은 대학 2학년 어느 친구의 주식투자 성공기를 알게 되면서부터였습니다. 당시 저의 친구는 '다음'이란 주식을 매수를 해서 10배의 수익을 벌었습니다. 저는 '다음'이 단순히 메일만 전송해주고 광고수익으로 이익을 내는 그런 회사로 알고 있었으며, 친구의 주식 10배의 수익이 신기하게만 느껴졌습니다.
 그렇게 한해가 지나고 2000년 1월부터 시작한 아르바이트로 300만원을 벌게 되었는데,
그 300만원이 저의 최초의 주식투자였습니다.

 

2. 주식투자의 무서움을 몸소 체험하다.
 

 그 300만원을 데이트레이딩을 통해 몇십만원을 남겨둔체 다 날려먹게 된 것이 주식투자를 시작한지 약 3개월이 지났을 시점이었습니다.  이것을 계기로 '주식이 결코 만만한게 아니구나'라는 것을 느끼고, 그 남은 몇십만원중에 10만원으로 주식관련 책을 사서 2번이상 읽고, 도서관에서주식관련 책을 계속 팠습니다. 그러나 보니 군입대 시점이 되었습니다.
군 전역 후에도 주식을 계속 투자했었고, 투자경력으로는 약5년정도 입니다.

 

3. 본격적인 증권맨을 꿈을 꾸다.(자격증편)

 

 군대에서 책 100권을 읽고 (소설책포함), 사병중에 유일하게 간부 허락하에 매일경제 신문을 구독하면서 자산관리사 책을 구입해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전역 후 부터는 내가 인생을 걸고 해볼만한 것으로 주식이라는 것을 깨닫고, 2003년 9월 2종투자상담사를 시작으로 2004년 6월 일반운용전문인력시험에 이르기 까지 다섯개의 금융자격시험을 취득하였습니다.

 

 당시 자격증을 공부할 때 학교수업도 빠져가면서 자격증에 몰두했었고, 하루에 12시간 동영상 강의를보기위해 점심을 햄버거 하나와 콜라를 놓고 컴퓨터와 싸움을 하기도 했었고, 또한 맹장수술을 받고 1주일뒤 몸도 성치 않은데도 불구하고 꼭 금융자격증을 따야겠다는 생각으로 서울행기차를 타기도 하였습니다.

 게다가 일반운용전문인력 연수를 받으러 여의도로 갈때는 서울 고모댁에서 지하철로 왕복4시간에 수업 4시간을 더하면 하루 8시간이 걸리는 것도 마다하지 않고 출석했습니다.

 

4. 꿈을 이루기 위해 도약하다.(인맥과 실무준비편)

 저는 군입대 후 함께 주식에 인생을 걸고 살아가는 사람 한사람만이라도 알았으면 좋겠다고 늘 생각했었습니다. 우연히 학내에서 fp중고책을 판다는 사람과 인연이 되어서 함께 주식에 인생을 걸고 가는 친구를 얻었습니다. 당시 그 친구가 증권에 대한 막강한 지식을 자랑한터라 그 친구를 선생님이라 생각하고, 함께 주식에 대해서 공부해 갔습니다.
 

 처음엔 처음엔 저의 주식 선생님이던 그 친구만이 유일한 주식지기였으나, 다음카페를 통해서 하나 둘, 같은 하늘을 향해 달려가는 사람들을 만날 수 있었습니다. 시간이 흘러 다음 카페 증권맨준비위원회(회원수3900명이상)의 운영자가 되었고, 운용인력 71기라는 카페를 만들어 현직맨과 여러학생들과 교류를 통해, 제가 아는 사람은 한명에서 친분관계가 있는 사람만 수십명으로, 게다가 사이버 공간상에서 정보를 주고 받는 사람들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수백명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03년도에 써니 와이엔케이를 시작으로 cj엔터테인, 엔씨소프트 등 주로 엔터테인먼트 관련기업들을 조사하고 엑셀로 재무분석도 돌려보고, 은행업종과 음식료업종에 대해서도 엑셀로 자료도 만들고, 국순당기업은 스스로 보고서도 만들었는데, 회사에서 신제품을 백세주정도로 키우기 위해 런칭한 삼메일에 대해서 조사하기 위해서 설문지 200장을 돌리고, 직접 강남에 있는 음식점 수십곳에 방문해서 소비자들의 반응과 음식점 사장님들과도 이야기를 통해 실제 호응이 기대한 것보다 못미쳤다는 것도 알았습니다.
 

 그리고 , 배당이 높으면서도 성장하는 기업을 찾기위해서 주식시장에 상장된 전 종목을 대상으로 엑셀로 자료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것은 거의 공사판에서 노가다하는 기분으로 하루5시간씩 해서 10가량 걸렸었습니다. 배당관련 기업을 찾다보니 신형 우선주가 매우 매력적이라는 것을 알고 국내 신형우선주를 발행한 기업들을 모두 찾아서 보통주로 전환될 시기와 전환비율을 알기위해 그 기업들의 주식담당자들과 통화도 하고, 그렇게 찾은 종목중들을 보통주와 신형우선주의 주가괴리를 연복리로 만들고, 거기에 전년도 시가배당율을 현재가로 바꾸었을 때의 배당 수익율을 더해서 데이터로 만들었습니다.

 

2004년 여름방학직전에 취업정보실을 10번이상을 오가며 증권사 인턴자리를 나온것을 알아보고 결국 여름방학 때 LG투자증권에서 5주간 인턴사원으로 근무하기도 하였습니다.

 

  게다가 공학도임에도 불구하고 경영학과, 회계학과 과사무실에 찾아가 증권업계에 취업한 선배님들 연락처를 얻어서 삼성증권춘천지점에 계신 선배님과 만나 조언을 얻기도 했습니다.

 

어때요.  이미 증권맨이 되신 선배님의 합격수기를 보니

 

자격증 목록을 나열하는 것보다 조금 현실적이죠?

 

그래도 일반적으로 이런건 꼭 필요하다 하는 자격증을 말씀드릴께요.

 

 

1. 기본적으로 입사지원자들이 가지고 있는 자격증 3가지.

 증권투자상담사,선물 투자상담사, 증권 fp이지요..

2. 그리고 개인의 경쟁력이 높아지고 최고가산점이 있는 것은  CFA입니다. 하지만 조금 어려운 편이구요. 일반운용이나 FRM 도 경쟁력이 있습니다.

 

솔직히, 제가 보여드린 합격수기의 내용에서 가장 중요한 건 토익이나, 학점같은 일반적인 스펙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죠. 제일 중요한 건 투자경험이라고 할 수 있겠죠?

 

 지금 질문자께서 자신의 약점과 강점을 잘 분석하셔서, 지방대출신이라고 생각하시나 본데 그건 약점이 절대 될 수 없구요. 단, 강점이 아닐 뿐이죠. 그런 경우 강조하지 않으면 될 뿐입니다.

 

중요한건 지금 현재 키워나갈 수 있는 강점을 길러나가면 충분히 승산이 있다는 겁니다.

토익 850점이다, 학점 3.5 이상이다.  이런 것은 어떤 측면에서는 아무런 의미없는 수치가

될 수도 있다는 거죠.

왜냐하면 누구나 쉽게 가지고 있기 때문이죠.

 

우선 강점을 키우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