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학교 경영전공하고 있는 3학년 학생입니다.

금융권, 정확히 하면 은행권에 취업을 희망하고 있습니다.

다른 준비들도 차근 차근 하면되겠지만 관련 자격증도

아직 시간이 많으니 준비하려 합니다.

 

1 > 금융자격증은 진로를 잡아서 준비하라는 말을 많이 보았는데

은행권에 가기위해서는 은행FP 말고는 어떤걸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뭐 이정도가 보통 금융관련자격증에 기본들이라고

하는데 위 3개 모두 증권쪽에 더욱 관련되어있는데 은행쪽에 지원할때도

있어도 무방할까요? 주변에서는 무조건 따고보란식이라서요..

 

 

2 > CFP ( AFPC ) 같은 경우는 제 생각에는 학생때 딴다면 확실히 메리트도 있긴하겠지만

난이도나 비용면에서 관련직종에 취업 후에 해도 될거같은데..

 

 

3 > 투상, 선거상, FP 같은 자격증 독학으로 해야할듯 한데 물론 저 하기 나름이라지만

시험 공부 기간이나 방법에 대한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1 > 금융자격증은 진로를 잡아서 준비하라는 말을 많이 보았는데

은행권에 가기위해서는 은행FP 말고는 어떤걸 준비하는게 좋을까요?

 

일반은행, 특수은행 등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선택할 특별부서에 맞춰 취업준비를 특화하시는것이 가장 현명한 방법입니다. 예를들자면 은행업무도 개인금융과 기업금융으로 나뉘고, 개인금융은 일반영업, 영업지원, PB 등 지점근무등이 있으며, 기업금융에서는 본사특별업무로서 마케팅, 기업리서치, 파생상품, 외환관리, 기업여신심사, 리스크관리 등 수많은 핵심분야로 나뉩니다.

 일단 본인이 가고자 하는 은행을 선택하시고 특별핵심부서나 직책, 업무에 따른 자격증을 준비하셔야 합니다. 만약 내가 XX은행 본사에서 근무하는 리스크관리부서에 취업을 하고싶다고 한다면 리스크관리 관련자격증인 FRM등을 집중적으로 준비하시거나, 개인금융으로 지점 PB업무에 취업하고자 하신다면 은행FP나 AFPK, CFP등을 준비하시거나 최근 자본시장통합법 추진에 따른 프라이빗뱅커들의 업무범위가 넓어지므로 증권, 보험, 부동산 관련자격증에 시간을 할애하시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이 자격증이 그 부서로서의 취업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고 해당부서에 취업할 수 있는 확률을 높여줄 수 있습니다.

 

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뭐 이정도가 보통 금융관련자격증에 기본들이라고

하는데 위 3개 모두 증권쪽에 더욱 관련되어있는데 은행쪽에 지원할때도

있어도 무방할까요? 주변에서는 무조건 따고보란식이라서요..

 

 있어도 없어도 은행에서는 별반 다를게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위 자격증이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업무가 바로 증권회사의 PB입니다. 하지만 위에서 말씀드린것과 같이 은행의 PB업무관련 준비하신다면 있는것도 괜찮다고 생각하지만 없는 시간 쪼개서 무작정 준비하시는 것도 말리고 싶습니다. 그래서 곰곰히 생각해볼때, 해당 은행의 1차, 2차 통과자들의 후기등을 취업사이트에서 참고하세요. 은행마다 다 다릅니다. O,X는 말 못드리겠습니다.

 

2 > CFP ( AFPC ) 같은 경우는 제 생각에는 학생때 딴다면 확실히 메리트도 있긴하겠지만

난이도나 비용면에서 관련직종에 취업 후에 해도 될거같은데..

 

질문자님 말도 맞는 말씀입니다.

다만 CFP가 없이 대졸입사 충분히 가능한 여건이 되어있는가를 확인하세요. 분명히 취업때문에 고민하고 계신다면 뭔가가 모자르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CFP없이 입사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보세요. 외국어, 각종경험, 공모입상, 학력, 성적 등등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3 > 투상, 선거상, FP 같은 자격증 독학으로 해야할듯 한데 물론 저 하기 나름이라지만

시험 공부 기간이나 방법에 대한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전공자이시니깐 학기중에도 틈틈히 준비하시면 충분히 학기중에도 합격하실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증권투자론, 선물옵션론, 투자론, 재무관리, 금융시장론 등 관련 수업을 꼼꼼히 듣는것도 많은 도움이 되며, 투상 >> 선거사 >> FP 순서로 학습하시면 순차적으로 쉽게 가실 수 있습니다. 맘만 먹고 오기로 하면 1년에 5~7개도 합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학기중에 말입니다. 정확히 몇개월 걸린다, 어떻게 하라는 말은 못드리겠습니다. 답은 열심히 해야 되니깐요.

 정말 취업준비때문에 고민하고 계신다면 질문자님의 이력서를 먼저 한번 써보세요.

무엇이 부족한지 무엇이 내게 가장 필요한지를 알 수도 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