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은 무한하게, 실현단계에서는 현실적으로

완벽주의에 빠져들면 꿈은 순식간에 공상으로 바뀔 수 있다.


완벽해지려는 노력이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내는 열정으로 나타날 수도 있지만 완벽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창조 열정을 현실화시키는 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자신의 창의력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자기 능력의 한계를 인식한다는 뜻이다그렇게 되면 쉽게 꿈에 몰입할 수 있다우리의 꿈은 벽을 칠하거나 싱크대에 더러움 방지판을 설치하는 것처럼 간단한 일일 수도 있다아니면 역사 소설을 쓰거나 교향곡을 작곡하는 것처럼 복잡한 일일 수도 있다어느 쪽이든 창의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자신의 목표를 현실에 맞추어 설정하는 능력이 필요하다완벽해져야 한다는 강박에 사로잡혀 공상만 키워나가다 보면 무력감에 빠져들어 결국 꿈을 실현하는 현실적 단계를 밟아나갈 수 없게 된다.


결과물에 대해 터무니없이 완벽한 수준을 기대하다 보면 오히려 무력감만 커진다무력감은 몸과 마음을 짓누르며 긴장하게 만든다앞으로 나아가려는 의지를 산산조각 난다때로는 완성된 작품이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킬 만큼 대단하다거나 그 누구도 따라올 수 없을 만큼 실력이 뛰어나기를 기대하기도 한다그런가 하면 창의력을 발휘하는 도중천재의 일화에서나 들을 수 있는 무아지경의 몰입에 빠져들기를 내심 기대하기도 한다.이런 식으로 공상 때문에 창의력이라는 거대한 샘물로부터 점점 멀어져 가게 된다.


현실과 동떨어진 기대를 품고 작품을 할 경우 몸과 마음은 그 무게에 짓눌려 긴장하게 된다사고의 흐름이 막힌 상태에서 자신의 작품을 완벽의 수준과 비교하며 판단하기 때문이다이러한 목표에 너무 집착하다 보면 실제 성과와 자신이 설정한 수준의 차이만 두드러져 보인다그럴수록 창의력은 점점 힘을 잃을 수밖에 없다.이러한 억제 요인의 포로가 되면오랜 시간 작업하더라도 거의 모든 시간을 자책하는 데 허비해버리기 때문에 실제로 작업하는 시간은 얼마 되지 않는다당연히 좀 더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자책하느라 허비하는 시간을 줄이고 작업에 집중하는 시간을 늘려야 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