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택 내부의 디자인 다각화 모색(건설업)
아파트 평면이 진화하고 있다. ↑ 저층에 펜트하우스 구조를 도입한 SK건설의 신평면.
그동안 선호도가 떨어졌던 아파트 1ㆍ2층이 꼭대기에 들어서는 펜트하우스 구조를 갖춰 '로열층'으로 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아울러 전용면적 85㎡ 중소형 아파트라고 하면 방 3개인 집을 떠올리기 십상이었지만 이제는 심지어 방 5개까지 갖춘 아파트 평면이 등장하고 있다. 한 채에 세 가구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아파트도 나오고 있다.
SK건설은 지난 22일 아파트 1ㆍ2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새 평면 41가지를 개발해 저작권 등록을 마쳤다.
각 공간은 원룸형, 재택근무형, 2가구 통합형 등으로 쓰임새를 다양화했다. SK건설은 내년 분양 때부터 이 신평면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SK건설 상품개발본부장 신희영 상무는 "소형 주택 수요가 많은 도심지나 대학가 주변 프로젝트에 신평면을 적용하면 새로운 고객 수요를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SK건설은 지난 6월 분양한 '수원 SK 스카이뷰'에서 신평면 '플러스알파존'을 적용한 바 있다. 플러스알파존은 아파트 내부 서비스 면적을 활용해 고객 수요에 따라 맞춤 공간 설계가 가능하도록 했다.
아파트 구석구석에 있던 비효율적이었던 면적을 모아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효율성을 높인 것이다. 현관에서 안방까지 동선 축소 등 기존 평면에서 낭비됐던 공간을 줄이고 복도처럼 활용도가 크지 않아 주목받지 못했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 서비스 면적을 확대했다.
이에 따라 전용면적 85㎡는 보다 많은 방이 필요할 때 플러스알파존을 모두 방으로 설계해 최대 5개까지 방을 마련할 수 있다.
GS건설은 '한 지붕 세 가족' 평면을 선보인 데 이어 최근 소형 주택 평면 5건에 대해 저작권 등록을 마쳤다. 이는 신혼부부, 독신자, 실버가구 등 1~2인 가구를 겨냥한 것이다.
GS건설은 지난 9월 2가구 세입자에게 임대를 줄 수 있는 '더블 임대 수익형 평면'을 개발했다. 3가구가 각각 독립적인 생활이 가능하도록 공간별로 독립적인 욕실ㆍ주방공간을 마련했다.
또 1층 분양성을 개선하기 위해 1층을 복층형으로 설계한 1층 복층형 다락방 설치형 평면도 개발했다.
한편 코오롱건설은 새로운 수납 비법인 '칸칸(KANKAN)'을 개발하고 앞으로 회사가 분양할 아파트에 이를 점진적으로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칸칸은 총 11가지, 59개 아이템으로 구성돼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하이브리드 리빙룸'이 있는데 이는 거실 벽을 움직여 새로운 벽을 만들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거실이 방으로 변신해 공부하는 아이를 방해하지 않고 영화 감상을 하고 싶을 때 유용한 공간이 된다.
자녀 방은 성장기, 성별 등에 따라 자유자재로 구조를 바꿀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침대와 책상, 책장과 옷장 등 가구를 퍼즐 형태로 조합해 필요와 취향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다.
'아이디어 레벨업 > 아이디어발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신을 배려해야 창의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0) | 2010.12.11 |
---|---|
현재의 작업에 만족하고 자기 자신을 놓아보자. (0) | 2010.11.29 |
프리미어리그(EPL)로 보는 창의성 (0) | 2010.11.27 |
창의적인 사람들의 6가지 특성 (0) | 2010.11.25 |
몰입(Flow)의 상태에서 나타나는 아홉 가지 성향 (0) | 2010.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