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사회생활 첫걸음마를 띤 신입생입니다.

 

제가 이번달부터 월급을 모을려구하는데요

 

일반 은행의 저축보다는 조금 수익률이 좋은 펀드쪽에 저축을 하고싶은데요

 

달달이 저축식으로 들어가는것도 있다그러던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는건가요?

 

그리고 수익률같은건 가입할때 정해놓은 기간만큼(1년,2년,3년)이런식으로요

 

그 기간이 만기가 되어야만 원금과 수익률을 모두 받는건가요?

 

그리고 원금을 손해볼수도 있다던데 어느정도인가요?

 

그리고 조금 안전하면서도 수익률 좋은 그런쪽과

 

가입할려면 어디로 찾아야 하는지도좀 부탁드립니다..

 

아직은 펀드에 펀짜도 잘 모르는 초짜라서 퍼센트같은건 잘 이해가 ㅠㅠ

 

고수님들 알아듣기 쉬운말로 잘좀 부탁드릴께요 (__)꾸벅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펀드는 펀드를 운용하는 펀드운용사와 판매하는 은행 증권사등 펀드 판매사가 있습니다.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시려면 일단 주민등록증과 거래인감을 갖고 증권사 또는 은행에 가셔서 충분히 상담하신 후 신중하게 펀드를 선택하셔서 가입하시고, 그 과정에서 매달 일정액을 정해 자동이체 등을 시키시면 편할 것입니다.

 

 

우선 증권사 은행등에 가시기 전에 펀드에 관한 정보를 얻으시려면 이곳 네이버-은행-펀드, 또는 다음-금융-펀드/예적금 사이트에 접속하셔도 충분할 것입니다.

그리고 시판되는 펀드들의 운영성과등을 보시려면 한국펀드평가 또는 제로인 사이트등을 노크하시면 좋은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펀드 상품에 관해

펀드는 주식을 편입해 운용하기에 주가가 폭락하면 대체로 수익이 적어지거나 원금손실까지도 입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지난해 가을에 가입한 펀드중 일부는 이미 원금손실. 물론 어떤 펀드는 위험관리 능력이 뛰어나 원금에 약간의 수익이 난 것도 있지만 베타(β)가 높은 공격위주의 펀드는 원금손실을 부정할 수 없는 것도 엄연한 현실. 6개월 운용실적이 무려 -14%를 기록하는 펀드도 있습니다. 대충잡아 원금의 14%이상을 손실입은 셈.

 

 

하여 펀드는 위험관리 능력이 뛰어나면서도 많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펀드에 가입하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추천펀드는 삼성투신운용의 삼성우량주장기-CLASS A’ .  KTB자산운용의 ‘KTB글로벌스타주식형펀드 & ‘KTB마켓스타주식-A . , 한국투신운용의 한국삼성그룹적립식주식1Class . , 대한투신운용의 대한FirstClass에이스주식 등

물론 현재 이 펀드들이 앞으로도 계속 최고의 펀드라는 약속은 없겠지만 그래도 대체로 무난한 펀드라고 손꼽힙니다.

 

 

그리고 펀드는 대체로 가입기간을 2-3년 정도 잡으시는 것이 무난할 듯

그러나 주가 폭락등 최악의 경우에는 만기를 1-3년까지 연장할 각오를 하셔야 할 것입니다. 물론 만기 때 주식시장이 활황여서 가입한 펀드가 많은 수익을 올려주었다면 환매하여 수익을 챙기시면 좋을 듯. 반면 주가 폭락으로 수익이 신통치 않으면 주가가 호황일 때까지 만기를 연기해 고수익을 올리는 것이 펀드의 핵심.

 

 

궁금해 하시는 만기때 환매

 원금과 수익이 발생하면, 전부 고스란히 돌려줍니다.

 

그러나 만기전에 환매하시면 환매전 90일 전에 넣은 납입액에서 발생한 수익금의 70%를 떼고 주지 않습니다. 90일 분에서 발생한 수익금의 70%를 주지 않는다는 것.(전체 수익금이 아님). 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대체로 해당없음.

 

 

그러나 만기가 되었는데 수익이 마음에 들지않으면 가입한 곳에 연장신청을 하시는 것이 좋을 듯. (몇 번이고 할 수 있음. 단 펀드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전체 납입기간은 5년. 그 이후에는 납입은 못해도 거치식 형태로 변해 펀드는 운용됩니다)

 

요약하면 펀드는 펀드 선택, 가입기간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더 더욱 휠씬 중요한 것은 좋은 환매시점을 찾아 고수익을 올리는 것.!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