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현 고등학교 3학년 학생입니다.

 

수시2학기에 부산대 경영학부/ 경북대 경영학부/ 충남대 법정계열(행정학과)

를 썼습니다. (충남대는 10월17일부터 원서접수, 지원예정!)

 

제가 지금 대전에 살고 있거든요.

부산대나 경북대, 충남대 1차는 당연히 통과할 것으로 보고있는데,

 

지난 추석때에 친척분들이 저한테 하시는 말씀이,

 

지방으로 가느니 서울 중하위권 학교를 가라고 하시더라구요.

 

개인적으로 경북대나 부산대는 서울 중위권정도라고 생각하고있었는데

어른분들은 그렇지가 않은가봐요. 그래서 조금 혼란스러운데~

그리고 누나도 지방사립대에 다녀서 서울갈 거 아니면 대전에서 충남대 다니라고

하셔요. (어머니가 현재 서울에서 살고계셔서 서울로 가면 편할 듯 합니다.)

 

부산이나 경북으로가면, 돈도 많이들테고, 서울로 가자니 중하위권 대학교 갈 것 같고,

충남대에 있자니, (행정학과 졸업해서 공무원시험 준비하려합니다.)....

 

너무 혼란스러운데, 부산대나 경북대! 제가 대전을 떠나면서도 그리고 금전적인 부담이 약간 있더라도 갈 가치가 있는건가요? 답변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부산대경영/충남대 행정/경북대경영

 

위 셋 중에서는 당연히 부산대 경영 가야죠.

 

부산대 경영은 서울권에서

서울대,연고대,서강대,성균,한양대 다음으로 이대,경희와 비슷한 등급입니다.

 

충남대 행정은 나름 충남권에서는 좋지만 비추입니다.

 

솔직히, 지방에서는 일반 지방대는 별로이구,

 

그나마 부산대 경북대가 지방에서 제 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그나마 서울권에서 중상위 대학(이대,경희,중앙)과 비슷한 급을 이루죠.

 

경영대

 

1.서울대

2.연세대

3.고려대

4.서강대

5.성균관대

6.한양대

7.부산대

8.이화여대

9.경희대

10.중앙대


 

 

최근 매일경제신문이 현대ㆍ기아차, LG, GS,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두산 등 9개 그룹의 2006년도 승진 임원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 최근 매일경제신문이 현대ㆍ기아차, LG, GS,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두산 등 9개 그룹의 2006년도 승진 임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부산대는 서울대, 고려대에 이어 3위로 나타났다."


이 분석에 따르면 부산대 출신은 전체 612명 중 44명으로, 전체 승진자의 7.2%에 해당된다. 이처럼 부산대학교 동문들이 재계에서 두드러진 활약상을 보이는 것은 주요 그룹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실력을 인정받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편, 부산대는 지난 2004년 1월 한국경제신문이 분석한 삼성·LG·현대차그룹 등 6개 주요그룹의 신규임원 승진에서도 37명을 배출하여 전체 승진자(384명)의 9.6%를 차지하며 서울대에 이어 2위를 기록했었다.
(2006.1.9.)

 

2005년 공인회계사(CPA) 대학별 합격자 수

1. 연세대 175
2. 고려대 155
3. 서울대 137
4. 성균관대 72
5. 서강대 68
6. 부산대 45
7. 이화여대 42
8. 중앙대 40
9. 한양대 35
10. 서울시립대 28
11. 외국어대 22
12. 경희대 21
13. 아주대 16
14. 숙명여대 15
15. 숭실대 12
15. 홍익대 12
15. 경북대 12
18. 충남대 11
19. 동국대 7
20. 기타 79
total 1004

 

1991~2005년 공인회계사(CPA) 대학별 합격자 누계

학교별,연도별 합격인원 통계


구분            '91 '92 '93 '94 '95 '96 '97 '98 '99 '00 '01 '02 '03 '04 '05 계
연세대        31 50 57 64 60 72 74 95 103 108 152 156 149 156 175 1509
서울대       20 31 40 48 48 65 77 83 106 134 177 154 148 159 137 1436
고려대       34 27 28 25 37 42 74 73 80 89 137 138 144 148 155 1231
성균관대  27 21 20 20 30 20 28 40 27 40 68 62 64 72 72 611
서강대      13 14 18 22 15 16 27 21 35 31 68 66 73 75 68 562
한양대       5 9 9 12 11 9 26 25 6 9 35 50 25 52 35 321
부산대      19 15 14 10 7 14 12 21 16 12 30 30 28 31 45 304
경희대      14 12 13 11 7 17 14 24 16 14 38 30 34 20 21 285
중앙대      10 8 4 8 9 8 16 9 10 12 26 37 45 28 40 270
이화여대 1 - 1 5 5 4 8 12 7 11 32 27 41 41 42 237
서울시립대 2 3 7 9 11 10 13 6 5 10 25 19 27 28 28 203
경북대 5 9 10 6 5 15 9 10 4 17 30 18 13 13 12 176
동국대 4 3 9 5 1 10 10 8 8 4 16 15 22 11 7 133
전남대 5 5 2 3 2 3 2 10 6 4 18 25 11 10 5 110
한국외대 1 3 2 3 3 4 2 1 3 5 13 12 21 6 22 101
건국대 6 8 4 1 6 - 7 5 2 4 9 7 11 11 3 84
홍익대 - - - - - 1 3 7 5 3 10 13 13 12 12 79
인하대 - - - - 3 1 7 8 5 4 11 8 7 18 7 79

 

2004년도에는 누리사업에서 금융선물보험분야가 선정됐습니다. 경제, 경영이 누리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구요. 누리사업을 따내기 위해서 참가한 국내의 유수의 명문대학들을 다 제치고 부산대가 이 부분에선 유일하게 지원받는 대학교입니다.

이와함께 2005년 2월달에 증권선물거래소(일명,KRS) 본사가 부산에 설립돼 부산이 금융도시로 도약하고 있구요.

증권선물거래소와 부산대 누리사업단, 누리사업의 성과 등은 아래에 관련 기사들을 모았으니 참고하시구요.

 

작년 하반기 부산대의 리크루팅을 알아보면 <<국립 부산대에선 하루에 최고 12차례의 기업취업설명회가 열리지만 사립대인 ㄷ대는 올들어 아직 단 한차례도 취업설명회를 열지 못했다. 추천서 역시 공식적으로는 단 한장도 들어오지 않았다.>> 한겨레신문 2004.10.8 보도). 이렇게 지방 최고대학 부산대의 현실입니다.

참고로 <<동아일보 보도 대기업 입사 보도>>를 보면 부산대의 기업평가도 알 수 있습니다. 한번 복사해서 주소창에 올려 놓고 살펴보세요.
http://www.donga.com/docs/news/img/200310/300283_31b.jpg

 

"CF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 취득"
[부산일보 2005-06-15 12:12]

부산대와 동의대가 중심이 된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 단'이 지방대학육성(누리사업) 사업의 우수 사업단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두 대학은 지난 10~11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 누리사업 성과발표 및 연차평가 대비 워크숍'에서 누리사업 1차년 도의 추진내용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두 대학은 누리 1차년도 성과발표에서 전문교육과 관련,미국재무 위험관리사(FRM) 미국공인재무분석사(CFA) 미국보험계리사(SO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을 취득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양 대학은 또 국내 재무위험관리사,금융자산관리사,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공인회계사 등 국내전문자격증 170건을 획득했으며 학생들의 전문자격증 취득을 위해 무료강좌개설 및 교재제공, 응시료 지원,자격증 취득 후 한학기 전액 장학금 지원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정현기자 jhnoh@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이전..부산대.동의대 등 금융인력 양성에 일조
[연합인포맥스 2005-06-17 08:27]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이전이 지방대학 금융 인력 양성에도 도움이 되는 등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따른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지방 대학 육성 정책과 시너지 효과를 거두면서 향후 공공기관 이 전의 모범케이스가 될 전망이다.

17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거래소는 현재 부산대, 동의대가 공동추진하고 있는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단'에 거래솔루션, 주식가격분석모형 등에 대 한 자문을 해주고 있다.

또 거래소는 지난 누리사업 1차년도에 5천만원을 사업단에 지원하고 앞으로 필 요시 강사지원을 할 계획이다.

한편 거래소가 자문을 맡고 있는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단'은 지난 5 월 27일 '누리사업'의 가장 우수한 사업단으로 선정, 금융전문인력 양성의 모범 사 례가 되고 있다.

누리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이란 교육인적자원부가 주관 하는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으로 2004년부터 112개 사업단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양성사업단에서는 학생들의 전문자격증취득을 위해 학과수업 외 야간에 무료강 좌 개설, 교재 무상제공, 응시료지원, 자격증 취득 후 한 학기 전액 장학금 지원 등 의 혜택을 주고 있다.

그 결과 부산대와 동의대의 참여학생들은 미국재무위험관리사(FRM), 미국공인재 무분석사(CFA), 미국보험계리사(SO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을 취득했고 재무관리 위험사, FP 등 국내전문자격증 170건을 취득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사업단은 또 이영탁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김지완 현대증권 사장, 신헌철 SK 사장 등을 초청해 학생들의 리더십을 함양하도록 노력했으며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은행, 현대증권 등의 기관에 50명의 인턴사원을 파견하며 현장감각을 익히도록 했다.

양성사업단에서는 부산대의 경우 경영학부, 경제학과 우수신입생중 150명에 대 해 1년 전액, 50명은 4년 전액 장학혜택과 전문자격증 교육 무료이수, 해외파견 등 추가적인 혜택을 주고 있다.

사업단은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10~11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된 누리 전국협의회 워크샵에서 1차년도 추진내용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김태혁 NURI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단장(부산대 경영학과 교수)은 " 앞으로 제조업 등 여러산업의 중심이 중국으로 넘어갈 것이며 (국내에서는) 금융업 이 중심산업이 될 것" 이라며 "금융강국이 되기 위해서 금융전문인력 양성이 가장 필수조건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젊은 금융인력을 양성해 그들이 전국 각지, 더 나아가 월가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준화 기자

 

"knnt9979"님의 쓰신 글을 발췌했습니다.

====================================================================

누리 사업이란 긍융,보험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선정한 대학에 5년간 집중 투자하여 전문화된 인력을 대거 양성하기위한

국가사업 입니다. 5년동안 투입되는 예산만도 1조4200억원 입니다. 그리고

사업성과가 우수할경우 또다시 5년간 혜택을 받게 됩니다. 전국적으로 사

업이 시작된지 1년이 지났는데 부산대 누리사업은 전국에서 100개가 넘는

사업단 중에서 최우수 사업단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아마도 다음 5년간의

혜택도 계속될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업단에서 요구하는 수능성적이면 4년전액 장학금 까지 지급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그런 학생중에서 입학후 성적이 우수하고 금융자격증을 딴다면

해외어학연수까지 보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 1~2달만 공부하면 쉽게 따는 간단한 자격증 따기만 하면 130만원을 바로

통장에 입금시킵니다. 그리고 토익점수가 100점이상 상승하거나 900점을 넘

으면 130만원 줍니다. 물론 토익학원 수강료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업

교재 시험접수비까지 모두 무료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공부만 해서 1학기에

300만원넘게 받는 사람도 봤습니다. 또 증권선물거래소 같은 곳에서는

누리사업 우수자를 우선해서 선발합니다..

일반기업에 취업할때도 서울소재 중상위권 대학에 못지않게 취업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지방대가 취업하기 힘들다고 해서 군대 갔다와서 걱정마니 했는데

선배들 보니깐 취업이 문제가 아니라 가고싶은 회사에 가느냐 못가느냐가

문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하계방학동안 삼성 계열사에서 인턴사원을

뽑았는데 제가 아는 사람만해도 10명넘게 갔습니다. 아마 더있겠죠. 참고

로 제친구가 한국외대 다니는데 총10명도 못갔다고 하더군요. 물론 저희는 취

업하면 주로 부산,경남지사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학교 학생들이

서울에 연고가 없어서 대부분 부산근처로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회사

에서도 저희 연고가 부산쪽이니 그렇게 배치시킬려고 한다더군요.

====================================================================


경영학과라면 경북대보다 부산대에 가는것이 좋을 것 같네요.

대전을 떠나 갈만한 실익이 있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고3학생입니다...

 

부산에서 학교 다니고 있어요...

 

지금 수능 최고로 올리면 겨우 건국대 경영학에 갈 수 있을 정도입니다...

 

지금 대학에 재학중이신 선배님들은

 

만약 부산대 경영학과에 합격했다면....

 

그냥 부산대 가시겠어요? 아님 재수해서 인서울 대학 가시겠어요?

 

 

선택한 이유도 구체적으로 알려주세요...

 

인생 선배로서...

 

부탁드릴께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저도 고3이라, 인생 선배는 아니지만

 

답변 하고 싶어서 합니다 괜찮죠?//

 

저같으면 부산대 가겠습니다.

 

솔직히 고3의 꿈 인서울 이긴 하지만

 

부산대, 절대 어디가서 '부산대 다녀요' 라고 했을 시, 무시받는 대학 아닙니다.

 

거기다 국립대지요.

 

엄청난 지원자가 몰릴껍니다-_-

 

IMF이후 국립대의 위상은 전~부 한단계 이상씩 올라갔으니까요//

 

주변에 보면 부산대에 대해 잘 모르는 얘들이 많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너는 잘 아냐, 라면 할 말은 없지만

 

그래도 한남대와 부산대 비교는 안합니다-_-(혹 한남대를 아시나요/)

 

뭐.. 그렇다는 거고.

 

부산대가 정말 의외로 정~~~~~~~~말 의외로 생각보다 지명도가 그다지 높지 않지만

 

(저는 대전 사는데 아마 충남대의 영향이 아닐까 해요, 얘들이 고3되면 다들 충대 충대~ 노래를 부르고 다니니, 부산쪽을 찾아볼 여력이 없지 않을까..ㅋㅋㅋ 충대 수리가 보기 때문에 대전지역이 이과 수리나 비율도 타 지역에 비해 많이 낮다고 하네요, 충대의 영향은 꽤 커요ㅋㅋㅋ)

 

부산대가 안좋다는건 부산대 모르는 얘들의 생각일 뿐, 아는 사람은 다 알고 가고들 싶어 하는 대학입니다.

 

고로, 건국대에 전혀 꿀릴게 없다는 거죠!!!

 

물론, 건국대 �니다.

 

하지만 여긴 사립이잖아요.

 

국립이면 한번 굽히고 들어가주는 현 시점에서, 님은 재수 하실 필요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왜 많이 듣는 말 있잖아요.

 

'니네는 재수 하면 절대 안된다'

 

왜냐, 우리 다음부터는 내신의 비중이 참으로 많이... 높아지기 때문이죠-_-

 

님이 내신이 참 좋으시다면 상관이 없지만, 그렇지 않다면(여기서 내신은 평어 아닙니다. 이 아이들은 석차 따져서 등급 매깁니다// 수라고 해도 100등 이러면 전혀 소용 없는거죠//) 재수는 힘드실껍니다.

 

뭐.. 삼수는 내신 안본다고 그러던데..=ㅁ=;;;;;

 

그리고 이 고생을 어떻게 1년 더 합니까ㅋㅋㅋ

 

부모님께 효도하자는 마음 20%, 거기도 좋은 대학이다 70%, 난 재수없다 10% 합쳐서

 

100% 부산대 입니다///

 

 

 

 

 

 

 

 

 

 

건국대 가지 말라는 말이 아닙니다;;;;

 

열심히 하셔서 성적 더 올리셔서 건국대 가세요//

 

그냥 굳이 건국대(인서울) 하기 위해 재수하실 필요 없다는 말이에요//

 

성적 올리신다면 가고 싶은 곳으로 골라 가셔야죠ㅋㅋㅋ

 

우리 모두 힘냅시다♥

저는 지금 대학교 1학년을 마치고 지금은 군대에 입대했습니다..

 

군생활을 하다가 보니 전역 후가 걱정이되서요..

 

저는 전기과를 다니고 있고요..

 

사무직쪽이 아닌 배전직..그런쪽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하나...토익 점수의 수준..

 

둘...무슨 자격증이 필요한지..그리고 그 자격증의 가산점 여부도 좀 가르쳐 주세요..

 

셋...위에 토익과 자격증 말고 ..따로 준비 해야될것이 무엇이 있는지 좀 가르쳐 주세요...

 

자세히 좀 가르쳐 주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2007년 신입사원 모집요강 입니다.  http://ibsa.kepco.co.kr/

님의 의문점이 다 있읍니다.

 

 

채용 > 신입사원 공개채용 > 모집요강

구 분 사 무 분 야 기 술 분 야
법정 상경 배전 송변전 통신
일반공채 20 31 53 53 12 169
사회형평적 채용 4 6 10 10 - 30
24 37 63 63 12 199
※ 일반공채와 사회형평적 채용은 동시에 전형을 추진하되 분리모집

구 분 주 요 내 용
학 력 ○ 사무분야 : 학력 및 전공제한 없음
○ 기술분야 : 모집분야별 관련학과 전공자 또는 해당분야 기사이상 국가기술자격증 보유자
                   (실제 학력과 무관)
연 령 ○ 제한 없음
병 역 ○ 군필 또는 면제자 ('07. 11. 22 이전 전역예정자 포함)
외국어
성적
○ 외국어는 필수조건이며 유효성적 미보유자는 지원할 수 없습니다.
○ 대상외국어 : 영어 등 8개 외국어
   - 영어(TOEIC, TEPS), 일본어(JPT), 중국어(HSK, BCT),
     독일어(ZD, ZMP, KDS, GDS), 프랑스어(DELF, DALF),
     러시아어(FLEX듣기/읽기), 스페인어(FLEX듣기/읽기), 아랍어(FLEX듣기/읽기)
○ 자격기준
   - 일반공채 : 사무분야 750점 이상, 기술분야 600점 이상
   - 사회형평적 채용 : 유효성적 소지자(성적제한은 없음)
※ 유효성적 : 지원서 접수마감일 기준 2년 이내 국내 정기시험 성적 한정
   - '05. 9. 20 이후 응시하고  '07. 9. 20 까지 발표한 국내 정기시험 성적에 한함
   - 국외응시, 조회불가 성적, 특별시험 성적 등은 불인정
※ 외국어별 성적 적용기준 : 어학성적환산표 적용
기 타 ○ 사회형평적 채용은 기초생활수급자 또는 차상위계층 가구 구성원만 응시 가능
○ 우리 회사 인사관리규정 제12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우리 회사 6직급 재직직원은 응시 불가
○ '07. 11. 22 이후 즉시 근무가 가능한 자
 ※ 지정 기일까지 입사하지 않을 경우 입사포기로 간주하며, 학교 재학중 합격자라도
     졸업후 입사 등의 조치는 불가하므로 지원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모집분야 지 원 가 능 관 련 학 과
사   무 제한 없음
배   전
송변전
전기공학, 전자공학, 전기·전자제어공학 및 관련학과
통   신 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컴퓨터공학 및 관련학과


분야 지원가능 자격증
배   전
송변전
[기술사]발송배전, 전기안전, 전기응용, 건축전기설비
[기   사]전기, 전기공사
통 신 [기술사]정보통신, 전자응용, 전자계산기, 전자계산조직응용, 정보관리, 산업계측제어
[기   사]정보통신, 무선설비, 전파통신, 전자, 전파전자, 방송통신, 정보처리, 전자계산기, 전자계산기조직응용
[기   타]무선통신사, 정보시스템감리사, 정보보호전문가(SIS)1급, 네트워크관리사 1급

전형 구 분 배점 시 험 과 목 선발예정인원
서류 서류전형 130 ○ 외국어(100점)
  - 점수상한제 : 사무 900점, 기술
    800점 이상시 만점 적용
  - 대상 : 영어, 일본어, 중국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스페인어, 아랍어 중 상위 1개
○ 외국어 및 가점합계의 총점서열순
○ 선발예정인원 대비
  - 사무 : 각 60배수
  - 기술 : 각 20배수
○ 자격·면허증 가점(30점)
  - 상위 3개만 적용
1차 필기시험 100 ○ 전공필기시험(100점)
  - 상식 : 객관식 20문항(20점)
  - 전공 : 객관식 80문항(80점)
○ 전공필기시험 및 가점합계의
    총점서열순
○ 채용예정인원의 2배수
2차 논     술 100 ○ 자료제시형 1문제 ○ 논술, 면접, 적성검사 및
    가점 합계의 총점서열순
○ 채용예정인원의 1배수
○ 인·적성검사 적격자에 한하여
    합격
면     접 150 ○ 개별면접(100점)
○ 집단토론면접(50점)
적성검사 50 ○ 50점 및 적·부 판정(외부기관 의뢰)
인성검사   ○ 적·부 판정(외부기관 의뢰)
최종 신체검사   ○ 적·부 판정(전문병원 의뢰) ○ 적격자 전원 최종합격
신원조회   ○ 적·부 판정(외부기관 의뢰)
※ 소숫점 점수 처리 : 소숫점 둘째자리에서 사사오입
※ 합격선 동점자 처리
  ○ 서류전형 : 외국어 성적순 순위 결정
  ○ 1차전형  : 전원 합격처리
  ○ 2차전형  : 면접, 논술, 적성검사 성적순 순위 결정
자격·면허증 소지 가점표(서류전형) 바로가기

전형 내용 일 자 비 고
지원서접수
(인터넷 접수)
'07. 9. 18(화)
~ 9. 20(목)
○ 채용 홈페이지(http://ibsa.kepco.co.kr)에서 인터넷으로만 접수
   - 접수시작 : 9. 18(화) 10:00
   - 접수마감 : 9. 20(목) 17:00
사회형평적 채용 응시자는 주민등록등본 및 저소득층
   입증서류를 스캔화일로 첨부(각각 최대용량 300KB 미만)

※ 접수마감 시간에는 동시접속에 의한 시스템장애가 우려되니
    시간여유를 두고 신청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07. 10. 2(화) ○ 채용 홈페이지 합격자 발표 메뉴에서 개별 확인
   - 개인별로 주민등록번호, 비밀번호입력으로 확인
사진화상 및
자기소개서 입력
'07. 10. 2(화)
~ 10. 5(금)
○ 사전에 칼라사진(5X7Cm)의 화상파일(*.JPG) 준비
   - 사진파일규격 : 300X420픽셀, 해상도150~200 DPI (최대용량
     200KB 미만, 화일종류는 JPG만 가능하며 별도로 가공하지 않은
     원형사진 입력)
○ 자기소개서 작성 :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 메뉴에서 합격 여부를
    확인한 후 바로 자기소개서 작성
※ 입력마감일 : 10. 5(금) 17:00
※ 마감시간까지 사진 화상 및 자기소개서를 입력하지 않을
    경우에는 시험 포기자로 간주
1차 필기시험 '07. 10. 13(토) 시간과 장소등은 서류전형 합격자 발표시 별도 공지
1차합격자 발표 '07. 10. 17(수) ○ 채용 홈페이지 합격자 발표 메뉴에서 개별 확인
1차합격자
증빙서류 제출
'07. 10. 23(화) ○ 제출방법 : 2차전형(논술)시 지참, 제출
○ 제출서류 : 채용홈페이지 FAQ 참조
2차 전형 '07. 10. 23(화) ○ 논술시험, 인성검사, 적성검사
  ※ 시간과 장소 등은 채용홈페이지에 별도 공지
'07. 10. 30(화)
~ 11. 2(금)
○ 면접
  ※ 시간과 장소 등은 채용홈페이지에 별도 공지
2차합격자 발표 '07. 11. 7(수) ○ 채용 홈페이지 합격자 발표 메뉴에서 개별 확인
신체검사 '07. 11. 7(수)
~ 11. 9(금)
○ 시간과 장소 등은 채용홈페이지에 별도 공지
최종합격자 발표 '07. 11. 22(목) ○ 최종합격자 발표 메뉴에서 확인
※ 상기 일정은 회사 사정에 의해 일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1) 일반공채
▣ 고급자격·면허증소지자 우대
  가. 우대대상
     ○ 변호사, 변리사, 감정평가사, 공인노무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박사, 기술사, 건축사,
         동시통역사, 행정고시 합격자, AICPA, 국제FRM, CFA
  나. 우대내용 : 서류전형 면제 및 1차 필기시험 총점의 5% 가점
     ○ 자격·면허증 해당분야 지원시에만 우대함
     ○ 기준 외국어 성적(사무 750점, 기술 600점) 보유자만 지원자격 부여
▣ 전기공학 전공 운영대학 우수학생 우대
  가. 우대대상
     ○ 전기공학 전공운영대학 대학장 추천자
     ○ 전기공학 전공운영대학 장학생 선발자
  나. 우대내용 : 서류전형 면제
     ○ 기준 외국어 성적(600점) 보유자만 지원자격 부여
▣ 기타채용 우대
내 용 주 관 우 대
① 대학생 고객서비스 논문공모 한전 ○ 입상자 전원, 서류전형 면제
② 대학생 전공(논문)경시대회 산업자원부 ○ 장려상 이상, 수상등급별 차등적용
③ 대학생 광고대상 공모 한전 ○ 은상 이상 수상자, 서류전형 면제
우리회사 순직·공상퇴직직원 자녀 한전 ○ 채용 전 단계별 총점 10%가점
보훈대상자 관련법 ○ 관련법에 의한 가점
장애인(장애인복지법상) - ○ 채용 전 단계별 총점 5%가점
※ 지원시 외국어 등 기본 지원자격요건을 구비하여야 하며, ① ② ③의 경우 1회(졸업후 3년
   이내)에 한하여 우대혜택을 부여합니다.
※ 1차 전형에 합격한 보훈대상자는 관할 보훈지청에서 발급한 취업보호대상자 증명서 원본을,
   장애인은 장애인 증명서(또는 장애인 복지카드) 사본을 각각 제출하여야 합니다.
※ 가점 등 우대혜택이 중복되는 경우 최상위 1개만 적용합니다.
2) 사회형평적 채용   [대상요건 세부기준 및 우대내용 바로가기]
▣ 보훈대상자
   ○ 채용 전 단계에서 총점의 10% 또는 5% 가점
▣ 장애인, 의상자, 농어촌출신자, 혼혈인, 고아, 조손 및 모자가구
   ○ 채용 전 단계에서 총점의 5% 가점

각 전형단계별 전형대상은 직전단계 합격자에 한하되, 일부 전형단계 면제자 등은 예외로 합니다.
지원서 허위작성 또는 증빙서 위·변조 제출, 시험 부정행위자 등은 어느 전형 단계에서든 불합격 처리하고 향후 5년간 우리 회사의 채용시험 응시를 제한합니다.
학력제한 폐지로 지원자격을 갖춘 재학생의 응시를 제한하지는 않으나 지정한 기일까지 입사하지 않을 경우 입사포기자로 간주하고, 학교 졸업 후 입사 등의 조치는 불가합니다. 따라서 추가 학업을 포기하고 입사할 의사가 없는 재학생은 지원을 자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지원서 접수시 입력착오 등으로 인한 불합격이나 손해에 대한 모든 책임은 지원자 본인에게 있으며 제출 서류는 반환하지 않습니다.
각종 증빙서류는 1차 시험에 합격한 분에 한하여 접수합니다.
단, 사회형평적 채용 응시자는 주민등록등본과 저소득층 입증서류를 온라인 지원서에 스캔화일로 첨부하여야 합니다.
각 전형단계별로 본인의 수험표와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한정)을 지참해야 하며 학생증 등 기타 신분증으로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
단, 신분증 분실자가 거주지 관할 읍·면·동사무소에서 발급받은 '주민등록증발급신청확인서'를 제출한 경우에는 응시가 가능합니다.
병역, 자격증, 어학성적 등 필요사항은 사전에 확인하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궁금한 사항은 인력충원팀[ 02)3456-4031~7 ]으로 문의바랍니다.

  1. 지원서 제출
▶ 모든 해당사항이 정확히 입력된 것을 확인 후 지원서제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2. 사진화상 및 자기소개서 입력(서류전형 합격자 한정)
▶ 서류전형 합격자발표 메뉴에서 합격여부 확인 후 합격한 경우에는 사진화상 입력 및 자기소개서를 작성하여야 합니다.

3. 수험표출력(서류전형 합격자 한정)
▶ 사진화상 입력과 자기소개서 입력이 끝나면 바로 수험표 출력화면으로 이동하므로, 해당 화면에서 수험표를 칼라로 출력하여 1차, 2차 시험시 본인의 신분증(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만 인정)과 함께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출력을 바로 하지 못했을 경우 입사지원 메뉴의 수험표 출력란에서 본인여부 확인후 별도로 출력이 가능합니다.)
 

 
자격·면허증 소지 가점표
적용 : 서류전형시 적용하며, 이종(異種)에 한하여 상위 3개만 인정
사무
배점 종류
7점 [기      사] 정보처리
5점 [산업기사] 사무자동화, 정보처리, 국어능력인증 1급, KBS한국어능력 900점 이상
4점 [기      타] 컴퓨터활용능력 1급, 국어능력인증 2급, KBS한국어능력 800~899점
3점 [기      타] 국어능력인증 3급, KBS한국어능력 700~799점
2점 [기      타] 컴퓨터활용능력 2급, 국어능력인증 4급, KBS한국어능력 600~699점
1점 [기      타] 컴퓨터활용능력 3급, 국어능력인증 5급, KBS한국어능력 500~599점
※ 사무자동화와 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은 동일종류로 간주
※ 컴퓨터활용능력 1·2·3급은 대한상공회의소 자격증만 인정함
※ 국어능력인증(한국언어문화연구원) 및 KBS한국어능력(한국방송공사) 자격증은 동일종류로
   간주
송변전·배전
배점 종류
10점 [기      사] 전기, 전기공사
9점 [기      사] 전자, 품질경영(품질관리, 공정관리), 산업안전, 소방설비(전기)
8점 [기      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7점 [기      사] 일반기계, 정보통신, 정보처리
[산업기사] 전기, 전기공사
6점 [산업기사] 전자, 품질경영(품질관리, 공정관리), 산업안전, 소방설비(전기)
5점 [산업기사] 대기환경, 수질환경, 소음진동, 폐기물처리
4점 [산업기사] 정보통신, 정보처리, 통신선로, 사무자동화, 컴퓨터응용가공(생산기계, 전산응용가공)
통신
배점 종류
10점 [기      사] 전자, 무선설비, 전파통신, 정보통신
[기      타] 정보시스템감리사
9점 [기      사] 전파전자, 방송통신
[기      타] 정보보호전문가(SIS) 1급, 네트워크관리사 1급
8점 [기      사] 정보처리, 전자계산기, 전자계산기조직응용
7점 [기      사] 산업안전, 품질경영(품질관리, 공정관리), 전기공사, 전기
[기      타] 정보보호전문가(SIS) 2급, 네트워크관리사 2급
6점 [산업기사] 전자, 통신선로, 무선설비, 전파통신, 정보통신
5점 [산업기사] 전파전자, 방송통신, 디지털제어, 전자회로설계
4점 [산업기사] 정보처리, 전자계산기(전자계산기조직응용)
3점 [산업기사] 산업안전, 품질경영(품질관리, 공정관리), 전기공사, 전기기기, 전기, 사무자동화
  


공인 영어시험간 점수환산표
▒ TOEIC, TEPS 점수중 TOEIC으로 환산했을때 가장 높은 점수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 TOEFL 제외 단위 : 점
TOEIC TEPS TOEIC TEPS
990 953~ 790 677~683
985 948~952 785 671~676
980 941~947 780 664~670
975 935~940 775 658~663
970 928~934 770 652~657
965 922~927 765 646~651
960 915~921 760 640~645
955 908~914 755 634~639
950 901~907 750 628~633
945 894~900 745 622~627
940 887~893 740 616~621
935 880~886 735 611~615
930 872~879 730 605~610
925 865~871 725 600~604
920 857~864 720 593~599
915 851~856 715 588~592
910 843~850 710 582~587
905 836~842 705 578~581
900 828~835 700 572~577
895 822~827 695 567~571
890 814~821 690 561~566
885 807~813 685 557~560
880 799~806 680 551~556
875 793~798 675 546~550
870 785~792 670 541~545
865 778~784 665 536~540
860 771~777 660 532~535
855 764~770 655 527~531
850 756~763 650 521~526
845 750~755 645 517~520
840 743~749 640 512~516
835 736~742 635 508~511
830 729~735 630 503~507
825 723~728 625 498~502
820 716~722 620 494~497
815 710~715 615 490~493
810 702~709 610 485~489
805 696~701 605 481~484
800 689~695 600 476~480
795 684~688    


제2외국어 성적 환산 기준
▒ 일본어 : JPT 성적 고유점수

▒ 중국어 : HSK 환산점수 또는 BCT(듣기, 독해) 성적 고유점수
증서(등급/급별) 등 급 ① HSK등급점수범위(점) ② 점수폭 ③ 1000점 환산점수 범위
기초C 1급 100~154 1.76 185~280
기초B 2급 155~209 1.76 285~380
기초A/초등C 3급 210~300 / 152~188 0.83/2.08 385~460
초등B 4급 189~225 2.08 465~540
초등A 5급 226~262 2.08 545~620
중등C 6급 263~299 2.08 625~700
중등B/고등C 7급/9급 300~336 / 280~309 2.64/3.28 705~800
중등A/고등C 8급/9급 337~368 / 310~339 3.06/3.28 805~900
중등A/고등B 8급/10급 369~400 / 340~369 2.09/2.24 905~970
고등B 10급 370~399 - 970~
고등A 11급 400~500 -  
※ 1,000점 환산점 = ③해당등급 1000점환산점수범위의 최저점 +{(응시자성적 총점-
   ①해당HSK등급점수범위의 최저점)×②점수폭}

 예)성적이 320점(7급)인 경우 : 해당 급의 점수 폭이 2.64점 이므로 705+{(320-300)×2.64}=757.8

▒ 프랑스 및 독일어 단위 : 점
프랑스어 독일어
구기준 신기준
DELF
1급
영역1 450 DELF A1 450 ZD 180~239 600
영역2 500 A2 550 240~300 650
영역3 550 B1 650 ZMP 66~93 700
영역4 600 B2 750 94~120 750
DELF
2급
영역1 650 DALF C1 850 KDS 60~79 800
영역2 700 C2 950 80~120 850
DALF 영역1 800 GDS 78~103 900
영역2 850 104~156 950
영역3 900
영역4 950

▒ 러시아어, 스페인어 및 아랍어 : FLEX(듣기/읽기) 성적 고유점수
  

<script language=JavaScript> window.onload=setup; isLoaded = 1; </script>
<script language=JavaScript> window.onload=setup; isLoaded = 1; </script>

서울시립대 경영학과랑 부산대 경영학과랑

 

같이 붙는다면 어느 학교를 가는게 좋나요??

 

내공겁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하하- 답변이 참 웃기네요.

 

경북대 다니다가 서울 올라가서 국민대한테 밀렸다구요 ?

개그치십니까? ㅋㅋ

 

사람들이 흔히들 착각하는데 부산,경북대 나왔다고 꼭 부산,경북지역에서만

활동 하는것이 아닙니다.

 

대학기간 중 수학은 부산 혹은 대구에서 하게되겠지만

 

졸업 후 취직은 대부분 서울쪽으로 갑니다.

그것도 대기업으로요.

 

부산대 경북대는 졸업하고 서울 연세 고려 서강대 급이랑 어울리거든요.

 

 

 

시립대 경영도 좋습니다.

그러나 전 부산대 경영을 더 추천해주고 싶네요.

이번에 증권선물거래소 본사도 부산이전해서 금융권 취업에 좀 더 탄력을 받고 있구요.

 

■매일경제신문이 현대ㆍ기아차, LG, GS, 현대중공업, 금호아시아나, 두산 등 9개 그룹의
  2006년도 승진 임원을 분석한 결과 전체 승진자의 7.2%로 부산대 3위

  (서울대1위 고려대2위)
  2004년 1월 한국경제신문이 분석한 삼성·LG·현대차그룹 등 6개 주요그룹의 신규임원 승진에서도   9.6%를 차지하며 서울대에 이어 2위.
(2006.1.9.매일경제신문)

   

LG전자, 현대중공업 과장급 이상 임원의 2/3 가

  부산대 출신!!

 

■2004년 금융권 최고직장 한국은행 입행자수  
1. 서울대 34명
2. 연세대 10명
3. 고려대 9명
4. 성균관대 6명
5. 부산대 3명
5. 이화여대 3명
5. 서강대 3명
8.한양대 2명
기타 1명씩 ~8개대학

■2005년도 한국은행 입행자수
1. 서울대학교 22명
2. 고려대학교 10명
3. 연세대학교 9명
4. 성균관대학교 6명
5. 서강대학교 3명
6. 부산대 1명
6. 이화여대1명
(참고) 2005년도에는 한국은행에서 전국 7개 학교에만 원서를 보냈음.  

 

 

 

2004년도에는 누리사업에서 금융선물보험분야가 선정됐습니다. 경제, 경영이 누리장학금 혜택을 받고 있구요. 누리사업을 따내기 위해서 참가한 국내의 유수의 명문대학들을 다 제치고 부산대가 이 부분에선 유일하게 지원받는 대학교입니다.

이와함께 2005년 2월달에 증권선물거래소(일명,KRS) 본사가 부산에 설립돼 부산이 금융도시로 도약하고 있구요.

증권선물거래소와 부산대 누리사업단, 누리사업의 성과 등은 아래에 관련 기사들을 모았으니 참고하시구요.

 

작년 하반기 부산대의 리크루팅을 알아보면 <<국립 부산대에선 하루에 최고 12차례의 기업취업설명회가 열리지만 사립대인 ㄷ대는 올들어 아직 단 한차례도 취업설명회를 열지 못했다. 추천서 역시 공식적으로는 단 한장도 들어오지 않았다.>> 한겨레신문 2004.10.8 보도). 이렇게 지방 최고대학 부산대의 현실입니다.

참고로 <<동아일보 보도 대기업 입사 보도>>를 보면 부산대의 기업평가도 알 수 있습니다. 한번 복사해서 주소창에 올려 놓고 살펴보세요.
http://www.donga.com/docs/news/img/200310/300283_31b.jpg

 

"CF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 취득"
[부산일보 2005-06-15 12:12]

부산대와 동의대가 중심이 된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 단'이 지방대학육성(누리사업) 사업의 우수 사업단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두 대학은 지난 10~11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 누리사업 성과발표 및 연차평가 대비 워크숍'에서 누리사업 1차년 도의 추진내용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두 대학은 누리 1차년도 성과발표에서 전문교육과 관련,미국재무 위험관리사(FRM) 미국공인재무분석사(CFA) 미국보험계리사(SO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을 취득하는 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양 대학은 또 국내 재무위험관리사,금융자산관리사,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공인회계사 등 국내전문자격증 170건을 획득했으며 학생들의 전문자격증 취득을 위해 무료강좌개설 및 교재제공, 응시료 지원,자격증 취득 후 한학기 전액 장학금 지원등의 혜택을 부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노정현기자 jhnoh@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이전..부산대.동의대 등 금융인력 양성에 일조
[연합인포맥스 2005-06-17 08:27]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이전이 지방대학 금융 인력 양성에도 도움이 되는 등 공공기관 지방 이전에 따른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지방 대학 육성 정책과 시너지 효과를 거두면서 향후 공공기관 이 전의 모범케이스가 될 전망이다.

17일 증권선물거래소에 따르면 거래소는 현재 부산대, 동의대가 공동추진하고 있는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단'에 거래솔루션, 주식가격분석모형 등에 대 한 자문을 해주고 있다.

또 거래소는 지난 누리사업 1차년도에 5천만원을 사업단에 지원하고 앞으로 필 요시 강사지원을 할 계획이다.

한편 거래소가 자문을 맡고 있는 '금융선물보험전문인력 양성사업단'은 지난 5 월 27일 '누리사업'의 가장 우수한 사업단으로 선정, 금융전문인력 양성의 모범 사 례가 되고 있다.

누리사업(New University for Regional Innovation)이란 교육인적자원부가 주관 하는 지방대학 혁신역량 강화사업으로 2004년부터 112개 사업단을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양성사업단에서는 학생들의 전문자격증취득을 위해 학과수업 외 야간에 무료강 좌 개설, 교재 무상제공, 응시료지원, 자격증 취득 후 한 학기 전액 장학금 지원 등 의 혜택을 주고 있다.

그 결과 부산대와 동의대의 참여학생들은 미국재무위험관리사(FRM), 미국공인재 무분석사(CFA), 미국보험계리사(SOA) 등 국제전문자격증 12건을 취득했고 재무관리 위험사, FP 등 국내전문자격증 170건을 취득하는 등 가시적인 성과가 나타났다.

사업단은 또 이영탁 증권선물거래소 이사장, 김지완 현대증권 사장, 신헌철 SK 사장 등을 초청해 학생들의 리더십을 함양하도록 노력했으며 증권선물거래소, 부산 은행, 현대증권 등의 기관에 50명의 인턴사원을 파견하며 현장감각을 익히도록 했다.

양성사업단에서는 부산대의 경우 경영학부, 경제학과 우수신입생중 150명에 대 해 1년 전액, 50명은 4년 전액 장학혜택과 전문자격증 교육 무료이수, 해외파견 등 추가적인 혜택을 주고 있다.

사업단은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 10~11일 경주교육문화회관에서 개최된 누리 전국협의회 워크샵에서 1차년도 추진내용을 우수사례로 발표했다.

김태혁 NURI금융.선물.보험 전문인력 양성사업단장(부산대 경영학과 교수)은 " 앞으로 제조업 등 여러산업의 중심이 중국으로 넘어갈 것이며 (국내에서는) 금융업 이 중심산업이 될 것" 이라며 "금융강국이 되기 위해서 금융전문인력 양성이 가장 필수조건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젊은 금융인력을 양성해 그들이 전국 각지, 더 나아가 월가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정준화 기자

 

"knnt9979"님의 쓰신 글을 발췌했습니다.

====================================================================

누리 사업이란 긍융,보험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교육인적자원부가

선정한 대학에 5년간 집중 투자하여 전문화된 인력을 대거 양성하기위한

국가사업 입니다. 5년동안 투입되는 예산만도 1조4200억원 입니다. 그리고

사업성과가 우수할경우 또다시 5년간 혜택을 받게 됩니다. 전국적으로 사

업이 시작된지 1년이 지났는데 부산대 누리사업은 전국에서 100개가 넘는

사업단 중에서 최우수 사업단으로 평가되었습니다. 아마도 다음 5년간의

혜택도 계속될거라고 생각됩니다.

사업단에서 요구하는 수능성적이면 4년전액 장학금 까지 지급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또 그런 학생중에서 입학후 성적이 우수하고 금융자격증을 딴다면

해외어학연수까지 보내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한 1~2달만 공부하면 쉽게 따는 간단한 자격증 따기만 하면 130만원을 바로

통장에 입금시킵니다. 그리고 토익점수가 100점이상 상승하거나 900점을 넘

으면 130만원 줍니다. 물론 토익학원 수강료와 자격증 취득을 위한 수업

교재 시험접수비까지 모두 무료입니다. 가만히 앉아서 공부만 해서 1학기에

300만원넘게 받는 사람도 봤습니다. 또 증권선물거래소 같은 곳에서는

누리사업 우수자를 우선해서 선발합니다..

일반기업에 취업할때도 서울소재 중상위권 대학에 못지않게 취업하고 있습니다.

사실 저도 지방대가 취업하기 힘들다고 해서 군대 갔다와서 걱정마니 했는데

선배들 보니깐 취업이 문제가 아니라 가고싶은 회사에 가느냐 못가느냐가

문제였습니다. 예를 들어 이번하계방학동안 삼성 계열사에서 인턴사원을

뽑았는데 제가 아는 사람만해도 10명넘게 갔습니다. 아마 더있겠죠. 참고

로 제친구가 한국외대 다니는데 총10명도 못갔다고 하더군요. 물론 저희는 취

업하면 주로 부산,경남지사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학교 학생들이

서울에 연고가 없어서 대부분 부산근처로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회사

에서도 저희 연고가 부산쪽이니 그렇게 배치시킬려고 한다더군요.

====================================================================

 

제가 오늘 선배님께 흥미로운 얘기를 듣게 되었습니다.

 

아차 전 인하대 기계공학부에 재학중인 학생이고요

 

제가 선배님께 전 산업공학과로 가겠다고 말씀드렸더니 그러면 이제 1학년이니 한국은행이나 산업은행에 자격증을 취득하여서 취업을 노리는것도 괜찮은 방법이라고 알려주시더군요

 

그래서 제가 금융관련 자격증에 대해서 지식인에 알아보았더니 다들 금융관련 자격증만 물어보시고 은행에 취직하기위해서 따야할 금융관련자격증에대해서는 여쭤보지 않으셨더라고요

 

그래서 이렇게 글올립니다

 

좋은답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은행권이라면 금융권으로 포함시켜서

 

요즘 잘 알려진 금융권 자격증들을 알려드릴께요...

 

일단 한국증권업협회 에서 주관하는

 

증권투자상담사

선물거래상담사

증권Fp

 

가 있구요. 증투랑 선물은 1단계로 보구요

fp를 2단계로 보구 있습니다.

 

올해 선물거래 상당사는 12월 시험이있구, 아직 접수하지 않았답니다.

증권 fp는 내년 2월 ~ 3월 무렵에 있구요..

 

금융연수원에서 주관하는 시험은

 

은행 fp가 대표적으로 있는데, 11월 26일날 시험이 있구요.

 

지금 원서접수 기간이네요. 증권 fp랑 많은 과목에서 겹치지만

약간 더 쳐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리고  FRM 시험이 한국증권업협회 에서 시행하는데 내년 5월쯤 있구요.

3단계로 쳐준다네요. 보유자가 많아 희소성이 높진 않습니다.

하지만 국제 FRM같은 경우는 지금 많이 없기 때문에 매력적이라고 알고있습니다.

 

보통 상경계에서 금융권 자격증을 준비하면 이정도 에서 시작하게됩니다.^^;

 

그리고, 이후에 궁극적으로는 CFA 등의 자격증을 취득하면 좋겠구요.

실무경험이 있어야 하고 취득기간이 오래걸리기 때문에 학생신분으로는

딸수 없겠구요 ^^; 더 궁금한거 있으면 물어보셔도 됩니다.

 

우선 1학년인점과, 준비단계라는 점을 봐선 선물거래상담사와 증권투자상당사

를 보시는게 좋을 듯 싶고, 또 추천해드릴께요.

 

국책은행에서는 큰 가산점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일단, 국책은행 지원자들이

워낙 쟁쟁하답니다.

제가 얼마전 국책금융기관중 대표격인 금감원 취업설명회를 들었는데,

일단, 학부 출신이 거의 없다네요. 외국계 은행등에서 경력쌓은 사람들이나

대학원 출신들이 대부분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은행이나

수출입은행 산업은행등도 비슷한 조건으로 합격자들이 분포할듯 하네요~~

지금 군 복무를 하고 있고 07년도 9월에 복학예정인 경희대 경영학부 학생입니다..

이제 전역도 얼마 남지 않아서 인지, 슬슬 여러가지 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복학하면 자격증이나 기타 다른부분에 있어 무엇을 준비하면 좋을지..

경영학부 선배님들의 조언 부탁할께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경영학부 및 경영학과 특성상 자격증의 수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금융 쪽 자격증도 많고... 마케팅관련 유통 등의 자격증
 
회계/세무 자격증 등 많은 자격증이 있습니다..
 
물론 저도 군대 복학후 (2003년 2학년 1학기 복학) 자격증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합격했다면야 좋겠지만 지금 4학년 2학기 복학예정으로 1년 휴학까지 하면서
 
공부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건 영어같군요....
 
경희대학교 정도의 name value와 학교 대외 이미지 정도로 영어점수가 좋다면...
 
취업이 용이할 꺼라는 생각이 드네요...
 
일반 사무직 취업을 위한 거라면 컴퓨터 관련 MOUS 나 컴활정도의 시험 자격증
 
취득하시고... 영어점수에 적당한 학점 B+ 이상의 성적이 있다면
 
(경희대의 경우 4.3 만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4.5환산점수로 3.5이상)
 
취업이 가능해 지지 않을 까요.....
 
전문자격증 종류를 간단히 말씀드리자면..
 
금융 / 재무
 
1. 증권투자상담사 / 선물옵션관리사 / FP
 
   : 상위 수준의 자격증은 아닙니다. 하지만 증권사 투신사쪽 취업을 희망하시는 경우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FRM
 
  : 국내 / 국외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솔직히 국내 FRM자격은 국제 FRM에 비해
    인정해주지 않습니다. 무시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없는 것 보단 낫겠죠..-ㅅ-a
 
3. CFA
 
  : FRM보다 한단계 더 upgrade 된 재무 자격증입니다. 응시 자격도 4년제 대학교 졸업예정
   및 졸업자에 한하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4. 보험계리사
 
  : 보험회사의 부채관리 / 상품개발 / 통계업무 등 보험회사의 brain 역활을 하는 직업입니다.
 
5. SOA / FSA
 
  : 미국 보험계리 시험으로 국내 보다 인정도는 훨씬 높지만 (미국 금융 연봉 2위) 시험은
    훨씬 어렵겠죠?? -ㅅ-a
 
 
회계 / 세무
 
1. CPA
 
  : 워낙 유명한 공인회계사 입니다.
 
2. AICPA
 
  : 미국 회계사 시험입니다. 국내 취업에 도움이 되겠지만 CPA보다 떨어집니다..
 
3. 세무사 (CTA)
 
  : 이 시험도 워낙 유명해서...-ㅅ-a
 
4. 전산 회계사 / 세무사
 
  : 흔희 상업고등학교 (요즘은 정보고등학교라고 하나요??) 에서 많이 보는 부기 시험으로
    착각들 하는 시험입니다.
    전산회계 및 세무에 대한 프로그램 ( 더존 또는 키컴 ) 을 다루는 자격증입니다.
    취업우대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더군요...
 
 
기타 자격증
 
1. 손해사정사
 
 : 보험회사 손해 산정요원들 입니다. (흔희 보상팀....이라고들 하죠..-ㅅ-a)
    보험회사 보상팀이 모두 손해사정사들은 아니고....보상인력의 최고 핵심들이죠...
 
2. 유통관리사
 
  : 마케팅관련 자격증 중 하나입니다. 유통업체 취업에 도움이 될 듯..
 
 
 
대충 몇개 적었는데...-ㅅ-a
 
전역하고 나면.....아니 전역 직전에 하고 싶은 공부도 하고 싶은 일도...
 
많을 꺼라고 생각합니다...(경험자로서....)
 
하지만 시간 / 장소 / 돈....등의 제약을 금방 느끼실 수 있을 껍니다...
 
본인의 적성을 잘 따져보시고...
 
늦었다고 생각하지도 말고....항상 확신을 가지고 자신있게 공부하세요...
 
연애도 하시고...^^
 
그동안 군생활 하시느라 수고 많았습니다...복학잘 하세요~

 

은행에 입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대학교 졸업반 학생입니다.

은행관련 자격증을 따고 싶은데 종류가 너무 많아 어떤 것을 제일 먼저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 CPA(공인회계사), AICPA(미국공인회계사), CFA(국제재무분석사), CFP(재무관리사),  FRM(국제재무위험관리사), 보험계리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관세사, AFPK, FP>>

 

우대 자격증으로 이런것들이 나와있던데 어떤 종류의 자격증인지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1. 어떤것을 공부하는 자격증인지

2. 자격증을 따는 요건들

3. 어떤 사이트에 들어가면 접수 할수 있는지

대충이런식으로 자세히좀 부탁드릴께요~

 

그리고 중에서 따기 쉬운 자격증 순으로 추천도 부탁드립니다. 전부다 어렵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하나 라도 따고 싶은데 어떤 것이 도움이 되고 좋을지 추천좀 해주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CFP는

AFPK 80시간교육==> AFPK시험합격==> CFP 교육200시간==>CFP시험합격(여기까지 CFP합격자)==>실무경험(학사:3년,전문학사:4년,기타:5년)==>윤리서약서제출(CFP인증자격)

그리고 2년마다 30시간 교육받습니다.

(AFPK교육,시험,CFP교육)면제하고 바로 CFP시험 볼 수있는 자격.

=> CPA, ChFC,CLU,CFA,경영학박사,경제학박사,세무사,변호사

AFPK 각과목면제 자격(괄호안은 면제과목)

==> 감정평가사, 공인중개사(부동산설계),증권투자상담사,선물거래상담사,운용전문인력,FRM,재무위험관리사,증권분석사(투자분석), 보험계리사, 손해사정인, 보험중개사(보험설계), 보험FP, 은행FP(보험설계, 부동산설계, 세금설계), 증권FP(투자분석, 부동산설계, 세금설계)

 

일단 졸업반이니깐 시간이 많지 않습니다. CFP까지 가려면 시간이 무척 오래 걸립니다.

열심히 공부하셔서 은행FP 자격증을 취득하시는게 제일 좋다고 봅니다. FP를 취득하고

증권투자상담사 취득하시고 선거사 준비하십시요.증권FP까지 취득한다면 더욱 좋겠죠 ㅋㅋ

이렇게 가지고 있다면 증권사도 들어가는데 도움 됩니다. 금융자격증은 은행 입사하는데

 왠만하면 가산점 다 줍니다. 은행텔러 자격증도 가산점 줍니다.

그리고 FP를 공부하실거면 마음 단단히 먹고 하셔야 할겁니다. 공부할 양이 엄청납니다.

저도 공부중인데 어렵네요. 합격률이 15%가 넘지 않습니다.

부디 열공하셔서 좋은 결과 있기를...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대부분 언급하신 자격증보다는 금융3종세트라고 해서 투상, 선거사, FP를 취득합니다.

아래 자격증들에 대해서는 절대적인 시간이 아닙니다..저의 생각일뿐.

 

<< CPA(공인회계사), AICPA(미국공인회계사), CFA(국제재무분석사), CFP(재무관리사),  FRM(국제재무위험관리사), 보험계리사, 세무사, 감정평가사, 관세사, AFPK, FP>>

 

졸업반  이시라면은 4학년2학기 위에 자격증들중 그어떤자격증도 쉬운자격증이 업네요..

 

가장어려운것이 CFA 를 시작해서 CPA 등CFP/국제FRM(영어) 등순이네요..

 

공인회계싸는 기본 2년잡죠?

CFA는 한번도안떨어져도 3년동안 가야합니다. (3차시험) 대략 천만원가량 소비

CFP는 AFPK를 따야 자격시험칠 기회가 주어지므로 시간상 패스 대략 2~3백만원소비

국제FRM은 올해 11월시험 난이도는 상입니다. 지금 준비해서는 붙기어려우므로 패스 대략 2백소비

국제시험은 준비하는데 들어가는 비용 만만치 않습니다. 국제FRM 접수비만 60만원..ㅡ.ㅡ 떨어짐 작살

보험계리사는 통계학에 바싹하지 않으면은 1~2년이상소요~

감정평가사는 공인회계사와 급수가 같으므로 2년정도 준비

관세사는 제가 잘 모르겟네요

그남아 쉬운게 은행FP겟네요.. 근데 이것도 비전공자는 대략 3~6개월 공부하는데요

내년 4월달에 셤이 잇을겁니다. 합격해도 5월달되야 합격자 발표를 받을수 잇으니..

 

올해 투상, FP셤은 끝나고 12월달에 선거사 시험만 남앗네요~

 

 

우대 자격증으로 이런것들이 나와있던데 어떤 종류의 자격증인지 자세한 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1. 어떤것을 공부하는 자격증인지 (경영 전반적인 지식들에 대해서 배웁니다. 거시경제, 미시경제, 세법, 금융법 등등)

 

 

출처에 합격수기 남기고 갑니다~ 읽어보심 도움될것입니다..

금융3종 합격수기 다 잇습니다.

붙여 넣고 싶지만 의견과는 답변과는 상관없는 내용이라서 출처 링크 겁니다


오셔서 읽어보시고 공부하세용
 
그리고 금융자격증들은 문제를 많이 푸시는게 유리하고,
 
한가지를 파기보단 두루두루 공부하는게 좋습니다,
 
기본서를 보시고 요약집을 한번 보고, 모의고사로 측정하는게 훨씬 유리합니다,
 
합격의 지름길 이구요

점점금융시험들이 어려워 지고 있다고 합니다..열심히 하시와요~

신문같은 곳이나 메일로 가끔 자격증에 관한 내용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근데 이런 자격증들이 민간 자격증이라고  하는데

민간 자격증과 공인 자격증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민간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취직을 할 때 가산점이 주어진다던데

사실인지.

또 민간 자격증이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질문 내용은 잘보았습니다.

민간자격 국가공인제도는 국가 외의 법인·단체 또는 개인이 운영하는 민간자격을 국가가 공인해주는 제도입니다.

지난 97년 제정된 ‘자격 기본법’에 따라 도입된 것입니다.

자격기본법은 당시 교육개혁방안에 따라 교육부와 노동부가 공동으로 마련했습니다.

산업사회 발전에 따른 다양한 자격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자격제도의 공신력을 높이고 국민의 직업능력개발을 촉진하겠다는 취지였습니다

 

기타 국가공인 민간자격증종류 및 기타 민간자격증종류 알려드리겠습니다^^

 

 

한국생산성본부


경영진단사 / 원가관리사 / 채권관리사
 

한국세무사회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1급 /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2급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3급 / [국가공인]전산세무회계 4급

세무회계 1급 / 세무회계 2급 / 세무회계 3급

국제교류진흥회


SEPT / TWT / EEPA
 

한국증권업협회

증권분석사 / 1종 투자상담사 / 2종 투자상담사 / 금융자산관리사(FP)

재무위험관리사(FRM)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사 / 외환관리사(2차) / 외환관리사(1차) / 사이버무역사
 

한국멀티미디어협회


멀티미디어전문가 / 멀티미디어기술사
 

한국관광협회


국내여행안내원
 

투자신탁협회(KITCA)


일반운용전문인력(Registered Fund Manager)
 

한국노사관계연구협회


사회보험관리사 1급 / 사회보험관리사 2급 / 사회보험관리사 3급
 

(사)한국선물협회


선물거래상담사
 

한국직업연구진흥원


S.M.P(Sport Marketing planner)
 

한국정책능력진흥원


[국가공인]정책분석평가사
 

대한상공회의소(민간)

[국가공인]무역영어 / [국가공인]산업기계정비사

[국가공인]사출금형제작사 / [국가공인]프레스금형제작사

[국가공인]전기계측제어사 / [국가공인]기계전자제어사

[국가공인]치공구제작사 / [국가공인]CNC기계절삭가공사

[국가공인]기계설계제도사 / [국가공인]기계및시스템 제어사

[국가공인]공작기계절삭가공사 / [국가공인]자동화설비제어사

[국가공인]산업전자기기제작사 / [국가공인]컴퓨터운용사 / [국가공인]가구설계제도사

한국금융연수원

[국가공인]신용분석사 / CRA (신용위험분석사)

[국가공인]여신심사역(대출심사역) / [국가공인]국제금융역 / 자산관리사[FP]

삼일회계법인, 전경련


재경관리사 / 회계관리 1급 / 회계관리 2급
 

한국제약협회 MR 교육부


MR(의약정보담당자)
 

C.M.P인증본부


C.M.P(캐릭터마케팅기획자)
 

한국FP협회


AFPK(Associate Financial Planner Korea) / CFP(CERTIFIED FINANCIAL PLANNER)
 

(사)한국아웃소싱기업협회

아웃소싱지도자 2급 (아웃소싱 전문실무자) / 아웃소싱지도자 3급 (아웃소싱 초급실무자)

아웃소싱지도자1급(아웃소싱컨설턴트)

한국금융채권협회


금융채권관리사
 

한국마사회


조교사
 

교통안전공단(민간)


교통사고분석사
 

생명보험협회. 대한손해보험협회


종합자산관리사[FP, Financial Planner, 보험]
 

생명보험협회


변액보험 판매관리사[변액보험 판매자격시험] / 생명보험모집인
 

생명보험 언더라이팅회[생명보험협회]


생명보험 언더라이터
 

대한병원행정관리자협회


[국가공인]병원행정사
 

한국분재조합


[국가공인]분재관리사
 

한국구매자재관리협회


[국가공인]구매자재관리사[KPM]
 

한국수목보호연구회


[국가공인]수목보호기술자격
 

(사)한국시각장애인연합회


[국가공인]점역, 교정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공무원NIT 평가본부


[국가공인]공무원정보이용능력평가(NIT : National Information Competence Test)
 

한국인테리어코디네이션학회


인테리어코디네이터(ICA)
 

한국광고사업협회


[국가공인]옥외광고사
 

관할관청(각 시.도 택시운송사업조합)


택시운전자격시험
 

한국아로마테라피인증학회


아로마테라피스트[1급, 2급, 강사급]
 

한국미술치료학회


임상미술전문가[미술치료사(KATR), 미술치료전문가(PATR)]
 

홍보관리사인증위원회


홍보관리사[PiM]
 

(사)한국직업연구진흥원


샵마스터(Shopmaster)

<!-- 답변자가 추가한 정보 --><!-- end 답변자가 추가한 정보 --><!-- 출처 -->

기관투자자가 되면 보통 증권 회사나 펀드를 설립하여 투자를 하는것으로 알고 있는데

 

그런 쪽이아닌 은행,보험회사등등 기관 쪽에서 투자 전문가나 자산 운용 등 으로

 

일하고 싶은데 기관 투자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아시면 좀 가르쳐 주세여...

 

아님 삼성이나 큰회사 자금으로 투자하는 사람이거나...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우선, 용어를 잘 못 사용하고 계신것 같습니다.

 

기관투자가는 투자신탁운용회사, 자산운용회사, 투자자문사, 은행, 증권, 보험, 연금, 기금 등을 말하는 것입니다.

즉 기관투자가가 증권회사를 세우거나 펀드를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증권회사가 자기의 계산으로 매매를 할때는 기관투자가가 되는 것이고,

펀드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투자신탁운용회사나 자산운용회사 등을

만들어야 하는 것입니다.

 

질문에서처럼 기관투자자가 되기 위한 방법이라면 증권회사를 만드시거나 은행, 보험회사를 만드셔야 하는데 그걸로 질문한건 아니신것 같구요.... 그냥 기관에서 투자하는 사람들을 통칭해서 펀드매니저라고 합니다.

 

그럼 님은 펀드매니저가 되고 싶다는 뜻이겠지요?

 

펀드매니저가 되기 위해서는 기본자격증이 필요한 곳들이 있습니다.

특히, 불특정 다수 사람들의 자금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운용인력전문자격증이 있으셔야

합니다.

즉, 투자신탁운용사나 자산운용사, 투자자문사에서 근무하시면서 투자를 하시려면

필수적으로 운용인력전문자격증이 있으셔야 합니다.  

운용인력전문자격증이 없어도 투신이나 자산운용사에 입사를 하실수 있으나, 운용을

직접하시기 위해서 즉, 펀드매니저가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자격증이 있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은행이나, 보험회사, 기타 일반기업에서 회사 자기의 돈으로 투자를 할 수 있는데

이때는 운용인력전문자격증이 없어도 매매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 운용인력전문 자격증이 있습니다.

 

이 자격증 시험은 1년에 2번 시행되고 있고요, 자산운용협회에 가시면 어떤 자격증인지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이시험을 보기 위해서는 반드시 교육을 이수해야 시험에 응시하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격증을 가지고 계신다면 펀드매니저가 되기 위한 프러스 요인을 하나 가지고 계시는 겁니다만은 꼭 그게 그렇게 중요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왜냐면 자격증 있다고 매매잘하는 건 아니고, 자격증 없다고 매매 못하는 건 아니니까요.....

 

이밖에 CFA라고 하는 외국자격증이 있는데요, 1,2,3차 시험으로 3년 걸려야 획득할 수 있는 자격증이고 난위도도 높습니다.   그리고 다른 외국에서 인정되는 자격증이라 요즘

CFA 자격증 따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리고, 처음에 신입사원 뽑아서 바로 매매하게 해주는 곳은 거의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2-3년 정도 매매정리나 종목분석 등 매매를 잘 할수 있을 것인가 하는 테스트를 위한 중간 단계를 거친답니다.

 

그리고, 은행, 보험회사 등에서 매매하는 펀드매니저들도 대부분은 운용사나 자산운용사,

증권사 출신들이 많아서 처음부터 꼭 은행이나 보험에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상대적으로 보험이나 일반기업들은 자기들이 투자하는것이 주 업무가 아니라서 펀드매니저의 수가 적습니다.  또한, 대기업들은 자기가 직접 투자하는 것보다는  투신이나 자산운용사에 아웃소싱하는 경우가 더 많습니다.

 

투자가 주 업무인 곳인 투신사, 자산운용사 쪽에 입사하시는게 펀드매니저 되기 쉬울듯 합니다.

 

그럼 투신사나 자산운용사에 입사하려면 EDUCATION BACKGROUND가 좋아야 하겠죠?

그리고 성실해야겠죠........영어도 잘 하셔야 겠구요....모든 회사가 다 원하는 것이니까

 

펀드매니저가 되겠다고 마음 먹으셨다면, 학교다시실 때 미리  증권분석이나 투자론, 파생상품론 등에 관심을 많이 가지시고 공부하시고, 증권경시대회나 실전매매를 잘 하셨다면 더 입사확률이 높을 겁니다.

 

그럼, 훌륭한 펀드매니저가 되시길....^^*

 

 

 

 

 

 

 

 

 

 

 

이제 진짜 진로를 거의 결정지어야할,,, 예비 고3입니다,,ㅎ

 

예전 부터 경영학과를 간다고 생각했는데 막연한 생각이라,,,, 회사 들어가서

 

개인 사업을 한다 이렇게만 생각했는데,,ㅎ 막상 눈앞에오니,,이래선 안되겠다 싶어서요,

 

그래서 곰곰히 찾고 생각해보다가 ㅎㅎ

 

조경사업//펀드매니저를 생각했는데,,ㅎ

 

펀드매니저,, 주식,증권에대한 기초지식이나 관심 없었습니다..ㅎ

 

지금 고3이고요ㅎ 진짜 필요하다면 유학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읽거나 눈여겨 봐야 할 책이나 준비해야할 것들

 

상세히좀 가르쳐주세요 ,, 이왕이면 관련업에 종사하시는 분들의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주간한국 사이트 참조

 

애널리스트

반드시 특정한 자격증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공인회계사(CPA)나 국제재무분석사(CFA) 등의 경제관련 전문자격증이 있으면 유리한 것은 사실이다.

대부분 애널리스트가 경제학, 경영학 등 상경계열을 전공했지만 비전공자도 도전할 수는 있다. 하지만 상경계열 전공자가 아닌 경우에는 대학 시절에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 회계, 재무 등 상경계열 과목을 이수하거나 관련 지식을 쌓아야 한다.

무엇보다 연봉을 많이 받고 ‘폼 나는’ 직업이라는 막연한 환상을 갖고 노크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업무 자체가 주식시장을 읽어야 하는 일이기 때문에 평소 주식투자나 증시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는지 스스로 적성을 먼저 따져봐야 한다.

영어 능력도 이제는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한국 경제의 글로벌화로 국내 기업 분석을 위해서는 해외 정보 수집도 해야 할 뿐 아니라 국내 증시에 투자하는 외국계 기관에 대한 설명회도 가져야 하는 등 영어의 쓰임새가 많기 때문이다.

처음부터 애널리스트가 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일단 증권사에 입사한 뒤 기업분석 업무를 맡아보는 데서 첫걸음이 시작된다. 이후 업무를 조금씩 배워나가다가 ‘싹수’가 보인다 싶으면 그때 애널리스트로 발탁될 수 있다.

애널리스트 숫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중소형 증권사에 입사했을 경우 운이 좋으면 신참 시절부터 한 업종을 담당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런 경우에도 시장에서 이름을 얻기까지는 최소 5년 정도의 피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애널리스트들의 설명이다.

지적 능력이나 학벌이 성공을 반드시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일급 애널리스트 중에는 비명문대나 지방대 출신자들이 의외로 많다. 이들은 남들보다 한발 더 뛰는 ‘성실성’을 바탕으로 정상에 올랐다. 이밖에 유연한 대인관계, 화술, 자기홍보 능력과 같은 자질 등도 성공가도에 중요한 요소다.

펀드매니저

우선 자산운용협회가 주관하는 ‘일반운용 전문인력’ 시험에 합격해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시험 내용은 주로 주식, 채권 등 증권 관련 지식을 평가하는 것으로 구성돼 있다.

애널리스트와 마찬가지로 대학 전공에 제한은 없지만 상경계열 전공자들이 학부에서 공부하는 과목에 대한 지식이 없으면 안 된다. CPA나 CFA 같은 자격증이 있으면 유리하다.

처음부터 펀드매니저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대부분 증권사, 투자신탁회사, 자산운용회사 등 금융권에 들어가 일정 기간 주식투자나 자금운용 업무 등을 익히는 등 실무능력을 쌓아야 한다. 업계에서는 신규 인력을 뽑는 경우가 드물고 대부분 자리가 비면 관련 경력자를 채용하는 관행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그중에서도 애널리스트 경력은 펀드매니저가 되는 지름길이다. 기업 분석 업무를 하면서 갈고 닦은 안목은 투자 능력과 떼놓을 수 없기 때문이다. 실제 업계에서는 애널리스트에서 펀드매니저로 전직한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두 직종이 업무 성격상 ‘악어와 악어새’ 혹은 ‘동반자’ 관계로 일컬어질 만큼 긴밀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특이한 것은 펀드매니저에서 애널리스트로 전직하는 사례는 거의 없다는 점이다. 이는 애널리스트의 업무 강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데다 펀드매니저와 애널리스트의 관계가 아직 ‘갑’과 ‘을’로 설정되는 경향이 짙은 점이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펀드매니저가 애널리스트 업무를 병행하는 경우도 늘고 있다.

펀드매니저에게는 경제와 기업활동을 읽는 눈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 시장의 다양한 변수들을 종합해서 투자를 결정하는 직업이기 때문이다. 학창시절부터 세상 돌아가는 일에 다양한 관심을 기울이고 경제, 금융 관련 보도와 정보를 지속적으로 습득하는 게 바람직하다. 또 다른 덕목으로 요구되는 것이 높은 도덕성, 과감한 결단력, 꾸준한 성실성, 강한 책임감 등이다. 고객의 재산을 대신 관리 운영하는 특수 직업이기에 그렇다.

올 상반기 현재 국내 애널리스트는 800여 명, 펀드매니저는 그보다 많은 1,200여 명에 달한다(증권업협회, 자산운용협회 등록 기준). 숫자가 적고 업무량이 더 많은 애널리스트의 몸값이 상대적으로 더 높다. 둘 다 보수를 많이 받는 직종이지만 ‘억’ 소리 나는 고액 연봉자는 일부 정상급 인력에만 해당한다는 게 관계자의 귀띔이다. <!--HANKOOKI_DEF GISA_CONTENTS END-->



<script language=javascript src="http://weekly.hankooki.com/js/200603/modify_time.js"></script>


김윤현 기자 unyon@hk.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