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은 통합 교육을 지향하는 유아기의 특성상 여러가지 교과 영역을 통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그림책은 다양한 수학적 지식, 어휘력, 삶의 가치 등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 작품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언어 교육, 수학 교육, 예술 교육 등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그림책은 유아들에게 창의적인 활동의 원천을 제공해 준다. 많은 그림책을 접한 유아는 여러 이야기들을 기초로 하여 새롭고 기발한 생각을 할 수 있으며, 새롭고 독창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내며, 새로운 주인공과 등장인물을 창조해 낸다. 이야기 속의 아름다운 문구나 반복되는 리듬이 있는 문체는 독창적인 동시와 같은 글 쓰기를 자극하기도 하고, 잘 구성된 삽화는 그림을 그리거나 조형물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생각을 불러 일으킨다. 그리고 그림책을 통해 일어난 감정을 북돋워 노래하고 춤추고 드라마로 꾸며보고 싶은 마음을 갖게 한다.
따라서, 그림책을 활용한 놀이 활동은 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다. Zipes는 그림책은 유아기에게 학습의 흥미를 불러 일으키고, 풍부한 잠재력과 상상력 및 창의성을 신장 시키기 때문에 그림책을 이용한 수업 설계안은 교실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미국의 교육부에서도 "이야기를 들려주기는 유아에게 책에 대한 취미를 제공함으로써 상상력과 창의성을 불러 일으킨다. 또한, 이야기 들려주기는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여 말하기, 듣기 뿐만 아니라 모든 교과를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도와주며, 생활과 배움에 대한 경이감을 불어넣어 준다."고 밝혔다.
그림책이 유아의 사고력, 특히 창의성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한 Torrance는 창의적인 교수는 창의적으로 읽는 기술에 달려 있으며, 읽기를 통해 상상력, 시각화, 새로운 관계 찾기, 환상까지도 발달시킬 수 있다고 하였다. 즉, 그림책 읽기는 유아에게 즐거움을 가져다 줄 뿐만 아니라 경험을 증가시키고, 그 경험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그림책 속에는 갈등 상황이 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 갈등 상황의 문제 해결 방법을 스스로 탐색하는 과정 속에서 창의성이 발달될 수 있다. 그림책을 들려준 뒤 그에 관한 이야기를 계속 꾸며록 함으로써 창의성이 증진되었다는 연구결과는 유아의 사고의 폭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그림책을 이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유아에게 미완성 동화를 들려준 후 나머지 이야기를 완성해 록 하는 동화활동, 문제 상황을 담고 있는 화보를 보여준 후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 해결하도록 하는 담화활동, 그리고 창의적 사고를 직접 표현해 볼 기회를 제공하는 작업 활동의 세 가지 활동을 창의적 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방법에 따라 실시한 결과, 유아 창의성 점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났다. 또 일상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수 있는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주제와 관련된 짧은 이야기 활동을 통한 통합적 프로그램이 3세 유아들의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그림책은 유아의 창의성 개발에 의미있는 도구임을 시사하고 있다. 창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내적인 동기의 자극이다. 내적으로 동기화된 유아는 경험하는 자료나 활동에 흥미를 갖고 몰입하며, 놀이하듯이 작업을 하고, 도전적인 과제에도 기꺼이 시도할 수 있다.
그림책은 현실의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는 자유로운 상상력을 촉진함으로써 끝없는 연상 작용을 일으키고 경이로운 생각을 창출하게 한다. 이를 통해서 유아는 어느 것에도 구애되지 않는 자신만의 자유로운 상상을 통하여 주어진 환경을 다양하게 지각하고 해석하는 능력을 키워 나가게 되며, 이러한 상상은 창의성 개발을 능동적으로 유도해 낼 수 있게 한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도팁 - 올바른 자녀미술지도법 부모무료강좌(창의성 키우는법) (0) | 2010.02.09 |
---|---|
안전함보다는 창의성으로 (0) | 2010.02.09 |
[서평] 창의성에 관한 11가지 생각 (0) | 2010.02.09 |
경제적 창의성 '통찰력' (0) | 2010.02.09 |
성공하는 창의성56가지 2400개사례-조용기:507.5 (0) | 2010.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