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erman(1977)은 유아의 장난기와 발산적사고 요인과의 상관을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에 의하면 장난기가 많은 유아가 창의적이었다고 한다. 이와 같은 결과는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진 유애열(1994)의 연구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놀이성이 높은 유아는 상상력이나 사고의 융통성이 놀이성이 낮은 유아들보다 더 풍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놀이성의 하위 요인 중 인지적 자발성이 높은 유아는 낮은 유아보다 제시된 자극에 대한 아이디어를 발달시켜 상세한 내용을 더하거나, 창의적 잠재력이 높아 정서적 표현이나 독특한 시각적 표현을 잘 할 수 있으며 유머러스한 경향이 있었다.
그리고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개방성이 높은 유아는 사회적인 활동이나 놀이에서 개방성이 낮은 유아보다 더 적극적인 태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고,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산출하는 능력이 높은 유아는 놀이를 하는데 있어서 독창성이 낮은 유아보다 즐거운 기분을 더 잘 표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가정과학회지 9(1), 2006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다중지능과의 관계; 이영환, 임영옥, 오가영]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다른 생각을 가진 크리에이터들의 창의성을 엿보다 (0) | 2010.02.08 |
---|---|
창의성교육 - 칼럼 (0) | 2010.02.08 |
창의성을 위한 생활속에서 다섯가지 품성익히기 (0) | 2010.02.08 |
[서평]사회성, 창의성지수 향상을 위해 미국유치원에서 가장 많이 부르는 영어동요 (0) | 2010.02.08 |
11.24 창의성 (0) | 2010.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