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디넷코리아] 보수언론으로 분류되는 조선·중앙·동아 3개 신문사가 포털사이트 다음에 대한 뉴스 공급을 7일 자정을 기점으로 중단했다. 이들 신문사 산하 잡지인 위클리조선, 주간동아, 여성동아도 다음에 공급이 중단됐다.

다음은 6일 공지에서 “조중동으로부터 기사 전송 중단 관련 공문을 지난주 받았다”며 “부득이 7일부터 이들 3개 신문사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 양해를 구한다”고 밝혔다.

■ 조선 “다음은 비합법/비도덕적”

조선일보는 이날 1면 기사에서 “기사공급 중단 조치는 ‘다음’이 자사 사이트를 조선일보 등 일부 신문사와 그 광고주에 대한 영업방해 등 불법행위의 공간으로 제공하는 데다, 근거 없는 비방과 욕설로 명예훼손을 방치한 데 따른 것”이라며 “다음의 비합법적이고 비도덕적 행위가 계속돼 부득이하게 뉴스 공급을 중단했다”고 다음을 직설적으로 비판했다.

중앙일보도 이날 2면 기사에서 “다음은 ‘온라인 광고 불매 운동’이 사법기관에서 위법성 판결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방치해 불법을 모른 채 해왔다는 지적을 받았다”며 조선일보와 같은 입장에 섰다.

이에 앞서 조중동은 지난달부터 “다음에 뉴스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구두로 통보했으나 다음 측은 “아직 협상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말했었다.

조중동은 다음 카페와 아고라에서 벌어진 광고 불매운동으로 인해 지난달 중순 현재 기업광고 건수가 60~70% 급감하는 등 타격이 적지 않은 상황이다.

■ 뉴스 콘텐츠 감소 타격 전망

이제 세간의 관심은 다음의 ‘조중동 뉴스 서비스 중단’이 몰고 올 파장에 쏠리고 있다. 아고라를 중심으로 다음을 지지하는 네티즌들과 포털 전문가들의 의견은 크게 엇갈리고 있는 상황.

조중동 뉴스공급 중단 사실이 처음 알려지기 시작한 지난주부터 아고라에는 ‘조중동 뉴스가 없어도 상관없다’, ‘네이버에서도 조중동의 기사를 내리는 계기로 만들자’ 등의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하지만 포털업계는 조중동 뉴스 공급 중단이 ‘미디어 다음’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아무리 조중동이 안티팬이 많다 해도 국내 대표 신문사임은 틀림없고, 정치와 무관한 연예/스포츠 등의 콘텐츠 분량 감소도 생각해야 한다는 것.

메리츠증권 성종화 팀장은 “부정적 이미지가 있는 조중동이라 하여도 뉴스 공급 중단은 다음의 트래픽 감소를 부를 수 있다”며 “다음이 ‘촛불 효과’로 최근 트래픽이 다소 올라간 것은 사실이나 단기간 이벤트로 끝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 ‘촛불 네티즌’도 다음 편 아니다?

현재 다음에게 생긴 악재는 콘텐츠와 트래픽 감소뿐만이 아니다. ‘반 조중동’ 성향의 ‘촛불 네티즌’들도 하나 둘씩 다른 포털을 찾고 있다는 사실도 다음을 괴롭히고 있다.

방송통신심의위원회는 1일 다음이 위법 여부에 대해 심의 요청한 ‘광고주 협박’ 게시물 80건에 대해 58건을 위법 행위로 판정, 삭제 조치를 명했다. 다음은 이 결정을 전적으로 따를 계획이다.

이에 다음에서 활동이 어려워진 촛불 네티즌들이 구글로 자리를 옮겨가는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구글은 우리 정부의 영향력이 비교적 닿기 힘들다는 이유로 새로운 ‘안티 조중동’ 운동의 장으로 부각되고 있다. 네티즌들 사이에서는 ‘구글’이 정부 ‘탄압(?)’을 피할 ‘대피소’란 얘기까지 들린다.

다음에 남아있는 네티즌들 중 일부도 다음을 크게 압박하고 있다. 다음이 방통위 결정대로 ‘광고주 협박’ 글을 삭제한다면 ‘보복’에 나서겠다는 이들도 적지 않다. 현재 아고라와 카페에는 ‘(다음이) 실제로 글을 삭제하면 법정 소송도 불사하겠다’는 집단 움직임이 벌써부터 진행되고 있다.

한 뉴미디어 전문가는 “다음이 조중동과 ‘촛불 네티즌’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치지 않으려면 특단의 조치를 신속히 내놓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태정 기자(tjkim@zdnet.co.kr)

[ 저작권자 ⓒ ZDNet Korea, CNET Korea,Inc.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ZDNet Korea는 글로벌 IT 미디어 리더 CNET Networks의 브랜드입니다. ]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