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엽제 전우회’ 회원들이 18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앞에서 “친북좌파 세력을 미화하지 말라”며 피켓을 태우고 있다. <김영민기자>
ㆍ여당·보수언론·논객 “집단난동·불장난” 폄훼 

ㆍ시민들 “순수성 왜곡말라” 조목조목 반박나서

촛불을 겨냥한 역공이 시작됐다. 정치·사회·문화·언론계의 이명박 정부 지지층이 연일 촛불을 성토하고 있다. 촛불이 정부 정책 전반에 대한 비판으로 번지는 데 대해 ‘촛불’을 이념적으로 묶는 ‘좌파 배후론’ ‘색깔론’도 다시 등장했다. 촛불시위 초기 ‘괴담·배후설’로 역풍을 받고 몸을 낮췄던 일부 우익 세력이 6·10 대행진 이후 촛불정국이 숨을 고르는 사이 국면 반전을 꾀하고 나선 구도다.

대반격은 촛불집회와 ‘넷심(인터넷 여론)’을 직접 겨냥하고 있다. 보수 언론과 논객들이 주도하는 공세 수위도 계속 높아지는 추세다.

동아일보는 촛불집회 기간 동안 네티즌들의 ‘공론의 장’으로 떠오른 포털 사이트 다음 ‘아고라’에 대해 “반대의견을 철저히 배제해 토론방의 기능을 사실상 상실했다”고 비판하고 나섰다. 토론 중심으로 여론을 만들고 네티즌들의 행동을 이끌어 온 아고라에 대해 보수쪽 시각을 담아 반격을 시작한 셈이다. 조선일보는 18일자 1개면을 할애해 네티즌들의 광고불매 활동을 비판했다. 조선일보는 주부들이 이용하는 요리 전문사이트 ‘82쿡닷컴(82cook.com)’이 벌이는 조·중·동 광고기업 압박 활동에 대해 최근 “압박을 중단하라”는 취지의 공문을 발송했다가 논란이 일자 “여러 사이트에 협조요청문을 보낸 것인데 82쿡닷컴에만 보낸 것처럼 악의적으로 보도돼 조선일보와 주부들의 갈등으로 몰아가고 있다”고 주장했다.

촛불시위 초기에 배후·인터넷 괴담설을 지핀 보수언론들은 6·10 촛불국민 대행진때 정부 쇄신과 촛불 민의경청을 강조했다가 다시 촛불을 겨누는 모양새다.

촛불집회에 반대하는 인터넷 카페들의 활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과격불법 촛불시위 반대 시민연대’는 20일 서울 여의도 MBC 방송국 앞에서 ‘편파방송 항의집회’를 열기로 하고 참가자들을 모으고 있는 중이다.

이들은 보수 성향인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소속 변호사를 초빙해 촛불집회로 인한 피해 사례를 모아 소송도 준비하고 있다.

‘촛불집회 반대연합’ ‘행동하는 네티즌 참여연대’ ‘747 명바라기 카페’ 등 유사 카페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보수단체 ‘국민행동본부’는 “MBC의 근거없는 인간 광우병 오보로 인해 학생들까지 ‘거짓의 촛불’을 들고 나와 무법천지를 만들고 있다”면서 “20일 선동 사령부 MBC로 가자”고 참여세력을 규합하고 있다.

촛불시위의 친북좌파 배후설은 보수 정치인·논객들이 지피고 있다. 한나라당 주성영 의원은 “정권 타도를 목적으로 하는 좌파들이 사람들을 선동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작가 이문열씨는 “불장난을 오래하면 불에 데는데 촛불장난도 오래 하는 것 같다”며 촛불집회를 불장난으로 묘사했다. 이씨는 조·중·동 광고압박에 대해서는 “범죄 행위”, 촛불의제 확장에 대해서는 “집단 난동”이라고 규정했다. 이런 흐름 속에 이명박 대통령은 “인터넷은 약이 아닌 독이 될 수도 있다”면서 인터넷을 직접 겨냥하고 나섰다.

보수층의 일제 반격을 접한 네티즌들과 촛불집회 참가자들의 시선은 차갑다. “시대착오적 발상” “귀닫고 말로만 떠드는 소통”이라는 날선 반박이 이어지고 있다.

아고라에서는 ‘촛불시민에 대한 천민 망언 주성영 의원 규탄’ 서명운동이 17일부터 시작돼 하루 만에 7000여명이 서명했다. ‘촛불장난’ 발언을 한 이문열씨에 대해서도 ‘교과서에 실린 이씨 소설 삭제’ 청원 서명운동이 진행 중이다.

네티즌 ‘센티’는 “신뢰가 담보되지 않은 인터넷이 이 나라의 독일까, 신뢰가 담보되지 아니한 대통령이 진정한 이 나라의 독일까”라고 비판했다.

동아일보의 아고라 비판기사에 댓글 분석 자료를 제공한 경희대 송경재 교수는 “아고라는 집단지성의 선순환 장이지, 포퓰리즘이라고 보지는 않는다”며 “동아일보는 내 연구결과를 곡해하고 뒷부분만 강조한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대 진중권 교수는 “보수층이 역풍이 거세지자 잠시 촛불집회를 긍정하는 모습을 보이다가 최근 촛불이 사그라지는 조짐이 보이자 다시 공격하는 것 같다”면서 “국민 생계와 직결된 의제로 확산되는 촛불을 ‘보수와 진보’의 대결로 몰고 있다”고 지적했다.

<송진식·이로사·오동근기자>

- 대한민국 희망언론! 경향신문, 구독신청(http://smile.khan.co.kr) -

ⓒ 경향신문 & 경향닷컴(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향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