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생자 6만여명 달해
대피 경고도 안해… 한마을 만명몰살 '비극'
국제지원 이례적 요청속 개헌투표 강행 태세
현지 한국기업도 큰 피해… 조업 중단 사태
지난 주말 미얀마 중남부 지역을 강타한 사이클론 사망자가 2만 2,000명에 달하고 실종자도 4만 1,000명에 육박하는 등 참사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특히 사이클론의 경로인 이라와디 삼각주와 양곤을 잇는 서남부 지방 대부분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여서 이들 지역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하면 희생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 와중에 민주화 시위 탄압으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청했던 미얀마 군정은 외부에 손을 내밀면서도 재난대응보다는 정권유지 차원에서 국민투표를 강행하는 데 골몰, 국제적 비난을 사고 있다.
10년만의 사이클론 악몽
6일 AP통신과 CNN 등에 따르면 남부 저지대인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과 양곤 등을 관통한 사이클론 '나르기스(Nargis)'의 피해 규모가 계속 늘면서 희생자가 2만 2,000명을 넘어섰다.
니얀 윈 외무장관은 이날 국영 TV에 출연, "이라와디 강변의 보가레이 마을에서만 1만명이 몰살하는 등 이라와디 지역에서 2만 1,000여명이 숨지고 4만여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이는 1999년 인도를 강타, 1만명의 사망자를 낸 후 10년만에 찾아온 대규모 사이클론 피해로 2004년 인도양을 강타한 쓰나미 피해 이후 최대 규모의 자연 재난이다.
수십만명의 이재민들이 식수 부족, 전기 공급 중단, 통신 두절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추가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피해가 집중된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으로 통하는 도로가 붕괴되고 나무들이 곳곳에 쓰러져 구호 활동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피해가 커진 것은 사이클론이 대형 해일을 동반해 해안가의 마을을 송두리째 쓸어버렸기 때문이다. 국제 적십자사 관계자는 "어떤 마을은 95% 정도의 집들이 파괴돼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고 전했다. 군정이 주민들에게 사전 경고도 전혀 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커졌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국제사회에 손 벌린 군정
그동안 국제 구호단체를 스파이로 의심하며 활동을 규제한 미얀마 군정도 피해가 커지자 손을 내밀고 있다. '세이브 더 칠드런(Save the Children)'의 앤드루 커크우드 이사는 "군정도 이번 사태가 미얀마 역사에 전례없는 재난이란 사실을 깨달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엔식량계획(WEF)이 500톤의 식량을 지원할 예정이며 유럽연합(EU)이 200만유로를 내놓았다.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각국도 각종 약품과 비상식량 등 구호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국은 25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제의했지만 재난 대응팀이 파견돼 피해현황을 확인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국민투표 강행하는 군정에 비난 봇물
미얀마 군정은 재난 대응은 뒷전으로 하고 10일로 예정된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를 강행키로 해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군정이 어수선한 틈을 타서 투표 결과를 조작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미얀마 군정은 6일 "피해가 집중된 양곤과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만 국민투표를 24일로 연기하고 다른 지역은 예정대로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모니크 스키드모어 호주 국립대 교수는 "군정은 애초 공정하고 자유로운 투표에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dpa 통신은 미신에 사로잡힌 군정 최고지도자인 탄 슈웨 장군이 10일을 길일로 여기고 있어 태풍 피해를 이유로 국민투표를 연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1988년 군부 쿠데타로 헌법이 무력화돼 있는 미얀마는 신헌법이 통과될 경우 2010년 총선을 실시해 군정 체제가 끝나지만 신헌법이 상하원 의석의 25%를 군부에 할당토록 명시, 사실상 군정체제를 굳히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는 분석이다. 신헌법은 외국인과 결혼했거나 외국 국적의 자녀가 있으면 대선 및 총선 출마자격을 박탈해 영국인과 결혼한 야당지도자 아웅산 수치 여사의 출마를 원천 봉쇄하고 있다.
현지 한국기업도 피해 커
현지 한국 기업도 이번 사태로 조업을 중단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얀마에는 포스코 효성 대우인터내셔널 등 대기업을 비롯, 태평양물산 세계물산 등 중소 봉제회사를 포함해 15개 기업이 진출해 있다.
이들 기업은 공장 지붕이 날아가고 내부에 물이 차 기계설비와 원자재, 완제품 등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더욱이 대중교통이 마비돼 종업원들의 출근 자체가 어려운데다 전력공급 체계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어 최소 1개월 정도는 공장 가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이클론이란
사이클론(cyclone)은 인도양과 호주 부근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이다. 열대성 저기압은 지역에 따라 嚼だ?다른데 북태평양 남서부에 발생해 아시아 동부로 이동하는 것을 태풍(typhoon), 북대서양 서부와 멕시코만 등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허리케인(hurricane)이라 부른다. 사이클론, 허리케인, 태풍은 모두 구조가 비슷하지만 발생빈도와 강도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 가운데 사이클론은 태풍이나 허리케인에 비해 발생빈도도 낮고 규모도 작다. 사이클론은 1년에 대개 5~7회 발생하지만 저지대를 덮칠 경우 해일 등을 동반하면서 큰 홍수 피해를 낸다. 특히 남아시아의 저지대 삼각주는 인구가 많아 인명 피해가 크다. 인도와 방글라데시가 사이클론으로 큰 피해를 입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송용창 기자 유인호기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대피 경고도 안해… 한마을 만명몰살 '비극'
국제지원 이례적 요청속 개헌투표 강행 태세
현지 한국기업도 큰 피해… 조업 중단 사태
지난 주말 미얀마 중남부 지역을 강타한 사이클론 사망자가 2만 2,000명에 달하고 실종자도 4만 1,000명에 육박하는 등 참사로 인한 대규모 인명피해 우려가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특히 사이클론의 경로인 이라와디 삼각주와 양곤을 잇는 서남부 지방 대부분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여서 이들 지역에 대한 조사가 본격화하면 희생자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 와중에 민주화 시위 탄압으로 국제사회의 고립을 자청했던 미얀마 군정은 외부에 손을 내밀면서도 재난대응보다는 정권유지 차원에서 국민투표를 강행하는 데 골몰, 국제적 비난을 사고 있다.
10년만의 사이클론 악몽
6일 AP통신과 CNN 등에 따르면 남부 저지대인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과 양곤 등을 관통한 사이클론 '나르기스(Nargis)'의 피해 규모가 계속 늘면서 희생자가 2만 2,000명을 넘어섰다.
니얀 윈 외무장관은 이날 국영 TV에 출연, "이라와디 강변의 보가레이 마을에서만 1만명이 몰살하는 등 이라와디 지역에서 2만 1,000여명이 숨지고 4만여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이는 1999년 인도를 강타, 1만명의 사망자를 낸 후 10년만에 찾아온 대규모 사이클론 피해로 2004년 인도양을 강타한 쓰나미 피해 이후 최대 규모의 자연 재난이다.
수십만명의 이재민들이 식수 부족, 전기 공급 중단, 통신 두절 등 어려움을 겪고 있어 추가 피해도 우려되고 있다. 피해가 집중된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으로 통하는 도로가 붕괴되고 나무들이 곳곳에 쓰러져 구호 활동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피해가 커진 것은 사이클론이 대형 해일을 동반해 해안가의 마을을 송두리째 쓸어버렸기 때문이다. 국제 적십자사 관계자는 "어떤 마을은 95% 정도의 집들이 파괴돼 순식간에 폐허가 됐다"고 전했다. 군정이 주민들에게 사전 경고도 전혀 하지 않아 피해가 더욱 커졌다고 AP 통신은 전했다.
국제사회에 손 벌린 군정
그동안 국제 구호단체를 스파이로 의심하며 활동을 규제한 미얀마 군정도 피해가 커지자 손을 내밀고 있다. '세이브 더 칠드런(Save the Children)'의 앤드루 커크우드 이사는 "군정도 이번 사태가 미얀마 역사에 전례없는 재난이란 사실을 깨달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유엔식량계획(WEF)이 500톤의 식량을 지원할 예정이며 유럽연합(EU)이 200만유로를 내놓았다. 프랑스 네덜란드 독일 등 각국도 각종 약품과 비상식량 등 구호품을 지원할 계획이다. 미국은 25만달러 규모의 자금을 지원하겠다고 제의했지만 재난 대응팀이 파견돼 피해현황을 확인해야 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국민투표 강행하는 군정에 비난 봇물
미얀마 군정은 재난 대응은 뒷전으로 하고 10일로 예정된 신헌법 찬반 국민투표를 강행키로 해 국제사회의 비난 여론이 들끓고 있다. 군정이 어수선한 틈을 타서 투표 결과를 조작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미얀마 군정은 6일 "피해가 집중된 양곤과 이라와디 삼각주 지역만 국민투표를 24일로 연기하고 다른 지역은 예정대로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모니크 스키드모어 호주 국립대 교수는 "군정은 애초 공정하고 자유로운 투표에 관심이 없었다"고 말했다. dpa 통신은 미신에 사로잡힌 군정 최고지도자인 탄 슈웨 장군이 10일을 길일로 여기고 있어 태풍 피해를 이유로 국민투표를 연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다.
1988년 군부 쿠데타로 헌법이 무력화돼 있는 미얀마는 신헌법이 통과될 경우 2010년 총선을 실시해 군정 체제가 끝나지만 신헌법이 상하원 의석의 25%를 군부에 할당토록 명시, 사실상 군정체제를 굳히려는 의도가 담겨있다는 분석이다. 신헌법은 외국인과 결혼했거나 외국 국적의 자녀가 있으면 대선 및 총선 출마자격을 박탈해 영국인과 결혼한 야당지도자 아웅산 수치 여사의 출마를 원천 봉쇄하고 있다.
현지 한국기업도 피해 커
현지 한국 기업도 이번 사태로 조업을 중단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얀마에는 포스코 효성 대우인터내셔널 등 대기업을 비롯, 태평양물산 세계물산 등 중소 봉제회사를 포함해 15개 기업이 진출해 있다.
이들 기업은 공장 지붕이 날아가고 내부에 물이 차 기계설비와 원자재, 완제품 등에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더욱이 대중교통이 마비돼 종업원들의 출근 자체가 어려운데다 전력공급 체계가 치명적인 타격을 입어 최소 1개월 정도는 공장 가동이 불가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이클론(cyclone)은 인도양과 호주 부근 남태평양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이다. 열대성 저기압은 지역에 따라 嚼だ?다른데 북태평양 남서부에 발생해 아시아 동부로 이동하는 것을 태풍(typhoon), 북대서양 서부와 멕시코만 등에서 발생하는 열대성 저기압을 허리케인(hurricane)이라 부른다. 사이클론, 허리케인, 태풍은 모두 구조가 비슷하지만 발생빈도와 강도 등에서 차이가 있다.
이 가운데 사이클론은 태풍이나 허리케인에 비해 발생빈도도 낮고 규모도 작다. 사이클론은 1년에 대개 5~7회 발생하지만 저지대를 덮칠 경우 해일 등을 동반하면서 큰 홍수 피해를 낸다. 특히 남아시아의 저지대 삼각주는 인구가 많아 인명 피해가 크다. 인도와 방글라데시가 사이클론으로 큰 피해를 입는 대표적인 국가이다.
송용창 기자 유인호기자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아이디어클럽 > 유머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얀마 한 마을서만 1만명 참변 (0) | 2008.05.07 |
---|---|
미얀마 “사망 실종 6만명 넘어”…희생자 계속 늘어날 듯 (0) | 2008.05.07 |
-프로야구- 전상렬 9회 만루포..두산 6연승(종합) (0) | 2008.05.07 |
김태균 8호 홈런…한화, 롯데에 역전승 (0) | 2008.05.07 |
[How (0) | 200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