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프라임사태로 미국은 대공황 이후 가장 심각한 경제침체에 처해 있으며 그 여파는 세계경제를 강타하고 있다.
모든 금융위기가 그러하듯 서브프라임사태는 금융회사와 투자자들의 탐욕과 금융감독의 실패에 원인이 있다.
그러나 문제가 배양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한 것은 서브프라임 대출의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서브프라임 대출 이용자들의 금융무지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따라서 서브프라임사태와 유사한 금융위기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보다 금융문맹의 퇴치가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미국은 ‘금융문맹 퇴치를 위한 대통령위원회’를 설치하였다.
‘금융교육’보다 넓게는 ‘경제교육’의 부족이 초래한 경제문맹·금융문맹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영국에서는 서베이 결과 900만명의 영국인이 은행예금, 보험, 펀드 등 금융상품에 대한 복잡한 정보를 두려워하고 심지어 기피하는 ‘금융공포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제·금융교육 수준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제·금융교육 수준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는 금융 소외계층 규모이다.
금융서비스 이용자 3,463만명의 20%에 달하는 720만명이 신용불량자로 금융서비스의 소외계층이다.
이 중 260만명은 금융채무불이행자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금융대출과 자기 명의의 사업은 물론 취업 등에 심각한 제한을 받아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신용불량자가 된 것은 신용카드 대란 등 정책실패 및 서민층을 위한 금융서비스 부족에 원인이 있지만 문제의 뿌리를 제공한 것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금융서비스 이용자들의 금융무지이다.
이와 같이 심각한 금융무지를 초래한 원인은 무엇인가? 그것은 학교에서의 경제교육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질적으로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고등학교 공통기본교육과정(중1∼고1) 4년 동안 경제교육 수업시간 수는 총 30시간으로 지리의 4분의1, 세계사의 3분의 1에 불과하며 그나마 2011년부터는 20시간으로 줄어든다.
고교 2∼3학년 과정에서는 경제가 선택과목으로 독립되어 있지만 고교 졸업자 중 약 25%만이 경제를 수강하므로 결국 곧 성인이 될 고등학교 졸업생의 4분의 3은 경제에 대해 중·고등학교 6년 동안 30시간 정도 배우는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또 경제를 가르치는 교사의 약 11.5%만이 경제를 전공했을 정도로 담당 교사의 경제에 대한 소양도 부족한 실정이다.
경제문맹과 금융무지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분한 경제·금융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시간 수를 늘려야 한다.
그런데 현재 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경제는 일반사회 과목에 포함돼 있어 충분한 경제·금융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경제를 독립된 공통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의 경우 개정교육법(Educate America Act of 1994)에 의해 경제는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학생들이 배워야 할 9개 핵심과목 중 하나로 선정됐으며, 많은 주에서 경제를 고등학생의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
또한 경제교과 내용에서 개인금융 관련 부분을 대폭 확충해 고등학교에서 신용관리의 중요성, 금융상품의 수익률과 위험 등 경제생활에 필요한 실용지식과 경제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홍택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소장
▼전홍택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코넬대 경제학 박사 △재정경제부 금융발전심의회 위원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위원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모든 금융위기가 그러하듯 서브프라임사태는 금융회사와 투자자들의 탐욕과 금융감독의 실패에 원인이 있다.
그러나 문제가 배양될 수 있는 토양을 제공한 것은 서브프라임 대출의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한 서브프라임 대출 이용자들의 금융무지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따라서 서브프라임사태와 유사한 금융위기의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무엇보다 금융문맹의 퇴치가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미국은 ‘금융문맹 퇴치를 위한 대통령위원회’를 설치하였다.
‘금융교육’보다 넓게는 ‘경제교육’의 부족이 초래한 경제문맹·금융문맹은 미국만의 문제가 아니다.
영국에서는 서베이 결과 900만명의 영국인이 은행예금, 보험, 펀드 등 금융상품에 대한 복잡한 정보를 두려워하고 심지어 기피하는 ‘금융공포증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경제·금융교육 수준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경제·금융교육 수준을 간접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는 금융 소외계층 규모이다.
금융서비스 이용자 3,463만명의 20%에 달하는 720만명이 신용불량자로 금융서비스의 소외계층이다.
이 중 260만명은 금융채무불이행자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금융대출과 자기 명의의 사업은 물론 취업 등에 심각한 제한을 받아 정상적인 경제활동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렇게 많은 사람이 신용불량자가 된 것은 신용카드 대란 등 정책실패 및 서민층을 위한 금융서비스 부족에 원인이 있지만 문제의 뿌리를 제공한 것은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금융서비스 이용자들의 금융무지이다.
이와 같이 심각한 금융무지를 초래한 원인은 무엇인가? 그것은 학교에서의 경제교육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한데다 질적으로도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현재 중·고등학교 공통기본교육과정(중1∼고1) 4년 동안 경제교육 수업시간 수는 총 30시간으로 지리의 4분의1, 세계사의 3분의 1에 불과하며 그나마 2011년부터는 20시간으로 줄어든다.
고교 2∼3학년 과정에서는 경제가 선택과목으로 독립되어 있지만 고교 졸업자 중 약 25%만이 경제를 수강하므로 결국 곧 성인이 될 고등학교 졸업생의 4분의 3은 경제에 대해 중·고등학교 6년 동안 30시간 정도 배우는 것이 전부인 실정이다.
또 경제를 가르치는 교사의 약 11.5%만이 경제를 전공했을 정도로 담당 교사의 경제에 대한 소양도 부족한 실정이다.
경제문맹과 금융무지를 퇴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충분한 경제·금융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수업시간 수를 늘려야 한다.
그런데 현재 공통기본교육과정에서 경제는 일반사회 과목에 포함돼 있어 충분한 경제·금융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미국과 마찬가지로 경제를 독립된 공통과목으로 지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국의 경우 개정교육법(Educate America Act of 1994)에 의해 경제는 유치원에서 고등학교까지 학생들이 배워야 할 9개 핵심과목 중 하나로 선정됐으며, 많은 주에서 경제를 고등학생의 필수과목으로 지정했다.
또한 경제교과 내용에서 개인금융 관련 부분을 대폭 확충해 고등학교에서 신용관리의 중요성, 금융상품의 수익률과 위험 등 경제생활에 필요한 실용지식과 경제원리를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전홍택 한국개발연구원 경제정보센터소장
▼전홍택 △서울대 경제학과 졸업△코넬대 경제학 박사 △재정경제부 금융발전심의회 위원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정책심의위원회 위원 △한국개발연구원(KDI) 부원장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아이디어드림 > 창업자금지원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많이 벌수록 행복 더 느낀다"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7 |
---|---|
[양념경제학] 연 3조6600억원 … 월가 펀드매니저 초고액 소득 논란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7 |
(0) | 2008.04.27 |
99일 특검수사 결국 ‘삼성에 면죄부’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7 |
[한겨레프리즘] 이명박 리더십의 실체 / 곽정수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