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안 박익희 기자]경기도는 오는 9월 1일부터 경기도내 장애아 1900명을 대상으로 장애 및 ADHD(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아동 재활심리치료지원사업과 맞춤형 휠체어 렌탈 및 리폼서비스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도내 재활치료의 주 대상이라 할 수 있는 5~14세 정신지체, 발달장애 및 언어장애 아동중 재활치료교육센터 및 시·군장애인복지관의 재활치료 대기 아동을 대상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소득이 낮은 가구를 우선 지원키로 했다.
올해에는 1000명을 대상으로 월 바우처 20만원을 지원하고 본인부담금은 3만5000원을 지불하면 월 12회에 걸쳐 전문치료사에 의한 음악, 미술, 놀이, 인지, 언어 및 작업등 6개 분야의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서비스 이용은 가까운 읍, 면, 동사무소에 신청하고 서비스 대상자로 확정되면 해당 시·군에서 대상자를 등록하고 도에서 선정한 공급업체를 선택해 서비스를 받으면 된다.
이 사업은 이용정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공공분야 치료기관을 이용할 수 없어 병원 및 사설치료기관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장애아동의 재활치료비를 보조해 줌으로써 발달 및 정신지체 아동들이 조기교육을 적기에 받아 자립능력을 최대한 키워 나가도록 돕는다. 또 보호가족의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상당부분 완화하는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맞춤형 휠체어 렌탈 및 리폼서비스 제공사업」은 중증의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은 성장 주기별 신체 조건과 장애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휠체어를 필요로 한다.
실제로 아동기 이전부터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장애인들의 경우, 유모차 이용시기 이후 평균 5~8회에 걸쳐 200~600여만원에 이르는 휠체어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휠체어 유지․보수비용 부담으로 인해 성장 단계별 신체조건에 맞는 휠체어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계획이다.
서비스는 맞춤형휠체어 렌탈․리폼서비스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중증의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성장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휠체어 렌탈서비스를 제공한다.
휠체어 렌탈서비스를 이용한 장애아동 및 청소년은 물론 이미 맞춤형 휠체어를 소장하고 있는 경우, 프레임의 변경 및 타이어 튜브 교체, 기타 소모품 교환 등의 리폼서비스 제공한다.
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9세미만의 중증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종류 및 가격은 매월 휠체어 리폼서비스 50,000원, 휠체어렌탈 서비스 50,000원으로 정부지원액 40,000원, 자부담 10,000원으로 2007년도에는 장애아 900명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신청은 가까운 장애아 재활치료교육센터 및 시․군 장애인복지관의 재활치료 등록을 하고, 읍, 면, 동사무소에 신청하면 서비스 대상자로 확정될 경우에는 해당 시․군에서 대상자 등록을 하고 도에서 선정한 공급업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받으면 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성장기 이전의 중증 장애아동들에게 맞춤형 휠체어 서비스 등을 제공해 아동기부터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HD란?
/ 박익희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도내 재활치료의 주 대상이라 할 수 있는 5~14세 정신지체, 발달장애 및 언어장애 아동중 재활치료교육센터 및 시·군장애인복지관의 재활치료 대기 아동을 대상으로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등 소득이 낮은 가구를 우선 지원키로 했다.
올해에는 1000명을 대상으로 월 바우처 20만원을 지원하고 본인부담금은 3만5000원을 지불하면 월 12회에 걸쳐 전문치료사에 의한 음악, 미술, 놀이, 인지, 언어 및 작업등 6개 분야의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서비스 이용은 가까운 읍, 면, 동사무소에 신청하고 서비스 대상자로 확정되면 해당 시·군에서 대상자를 등록하고 도에서 선정한 공급업체를 선택해 서비스를 받으면 된다.
이 사업은 이용정원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공공분야 치료기관을 이용할 수 없어 병원 및 사설치료기관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장애아동의 재활치료비를 보조해 줌으로써 발달 및 정신지체 아동들이 조기교육을 적기에 받아 자립능력을 최대한 키워 나가도록 돕는다. 또 보호가족의 정신적 고통과 경제적 부담을 상당부분 완화하는데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맞춤형 휠체어 렌탈 및 리폼서비스 제공사업」은 중증의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은 성장 주기별 신체 조건과 장애의 내용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휠체어를 필요로 한다.
실제로 아동기 이전부터 장애를 안고 살아가야 하는 장애인들의 경우, 유모차 이용시기 이후 평균 5~8회에 걸쳐 200~600여만원에 이르는 휠체어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주기적으로 행해져야 하는 휠체어 유지․보수비용 부담으로 인해 성장 단계별 신체조건에 맞는 휠체어를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경제적 부담을 경감할 계획이다.
서비스는 맞춤형휠체어 렌탈․리폼서비스로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중증의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들에게 성장단계에 적합한 맞춤형 휠체어 렌탈서비스를 제공한다.
휠체어 렌탈서비스를 이용한 장애아동 및 청소년은 물론 이미 맞춤형 휠체어를 소장하고 있는 경우, 프레임의 변경 및 타이어 튜브 교체, 기타 소모품 교환 등의 리폼서비스 제공한다.
서비스 대상자 선정기준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19세미만의 중증 지체, 뇌병변 장애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비스 종류 및 가격은 매월 휠체어 리폼서비스 50,000원, 휠체어렌탈 서비스 50,000원으로 정부지원액 40,000원, 자부담 10,000원으로 2007년도에는 장애아 900명에 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이용신청은 가까운 장애아 재활치료교육센터 및 시․군 장애인복지관의 재활치료 등록을 하고, 읍, 면, 동사무소에 신청하면 서비스 대상자로 확정될 경우에는 해당 시․군에서 대상자 등록을 하고 도에서 선정한 공급업체를 선택하여 서비스를 받으면 된다
경기도 관계자는 “성장기 이전의 중증 장애아동들에게 맞춤형 휠체어 서비스 등을 제공해 아동기부터 삶의 질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ADHD란?
주의력결핍 과다행동장애
[注意力缺乏過多行動障碍,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충동적·무절제·과다행동이 나타나면서 소근육 협응이 안 되고, 학습장애를 보이면서, 정서적으로도 불안정한 질병.
/ 박익희 기자
- Copyrights ⓒ (주)이비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드림 > 아이디어거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민도서관 '문화학교'개설 (0) | 2008.02.21 |
---|---|
[Local] 22개 강좌 문화학교 새달 개설 (0) | 2008.02.21 |
[경기]경기도, 9월부터 장애인 맞춤형 복지 지원 (0) | 2008.02.21 |
서비스업(業) 서비스 up (0) | 2008.02.21 |
프리미엄 마루 브랜드 ‘고아루(Goaroo)' 출시 (0) | 200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