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ES 이현] "변해야 산다."
배우란 이미지를 먹고 사는 직업이다. 그래서일까. 배우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총천연색 매력을 펼치기 위해 끊임없이 변신을 시도한다. 최근에는 '섹시'와 '청순'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자신들의 숨겨진 매력을 드러내지 않았던 여배우들의 대반격이 두드러졌다.
대한민국 대표 섹시 미녀 전지현과 김정은은 노메이크업에 털털한 여인으로 변신했고, 대표 청순 미녀 손예진과 이보영은 팜므파탈적 강렬한 섹시함을 과시했다. HOT movie 안에 감춰진 HOT lady들의 변신 스타일링을 알아본다.
■섹시 미녀→청순 미녀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전지현
'슈퍼맨이었던 사나이'(CJ엔터테인먼트, 정윤철 감독)에서 방송국 PD로 분한 전지현은 완벽한 S라인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노메이크업에 헐렁한 티셔츠와 바지, 장신구를 배제한 옷차림은 전지현이 가진 중성적 이미지를 재발견했다는 평가. 블랙과 화이트를 기본으로 컬러를 배제했으며, 언제나 머리를 묶을 수 있도록 검은색 끈을 팔찌 대신 두른 것으로 포인트를 줬다.
의상 담당 노미례 팀장은 "감독님께서 활동적이면서도 험블(humble)해 보이는 의상을 원했다. 새 옷을 일부러 낡게 리폼하거나 새 신발도 발로 밟아서 오래된 느낌을 줬다. 워낙 전지현이 스타일이 좋아서 낡은 의상도 스타일리시해 보이는 탓에 고생했지만 전지현에게 숨겨져 있던 중성적 이미지를 발견한 것 같다"라고 에피소드를 밝혔다.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김정은
레드카펫 위 섹시한 드레스로 대중을 유혹했던 김정은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MK픽처스, 임순례 감독, 이하 우생순)에서 생얼의 핸드볼 선수로 나타났다. 영화 속에서 줄곧 파란색과 빨간색 운동복을 입는 상황.
간혹 평상복을 입을 때에도 액세서리를 배제하고 무채색을 위주로 한 깔끔하고 심플한 세미 정장을 선택했다. 대신 유니폼에 디테일을 가미, 스타일을 돋보이게 만들었다. 기존 선수들이 입었던 아식스 고유의 디자인에 라인을 넣어 몸매를 늘씬하게 보이게 만들었고, 다양한 배색을 자제한 채 팔 안쪽과 허리 쪽에만 배색을 넣어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냈다.
의상 담당 고희정 팀장은 "김정은이 워낙 화려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뿐더러 특히 팔다리가 길고 예뻐서 티셔츠 하나만 입혀도 스타일이 나오는 사람이다. 화려한 것을 없애려고 컬러를 죽이고, 최대한 심플함을 살렸다"라고 밝혔다.
■청순 미녀→섹시 미녀
▶무방비 도시: 손예진
청순 미녀의 대표 주자인 손예진은 '무방비 도시'(쌈지아이비전, 이상기 감독)에서 치명적 섹시미를 가진 여인으로 화끈하게 변신했다. 하지만 '타짜'의 김혜수나 '더 게임'의 이혜영 같은 팜므파탈과는 다르다.
심한 노출 대신 실크, 반짝이는 골드, 스판덱스 등 의상 소재에서 오는 느낌을 통해 섹시함을 강조한 것이 포인트. 특히 하나로 묶은 머리와 긴 웨이브 머리 등 다양한 헤어스타일과 네일 컬러에 변화를 줘 이미지를 살렸다.
의상 담당 한송경 실장은 "극중 가죽 베레모를 쓰고 머플러를 두른 스타일은 손예진이 직접 제안한 스타일이다. 손예진은 남자들의 변치 않는 로망, 누구나 꿈꿔 왔던 첫사랑 같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만큼 정형적 팜므파탈이라기보다는 그가 가진 알 듯 모를 듯한 매력을 살려 미스터리해 보이는 느낌을 강조하는 데 주력했다"라고 컨셉트를 설명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이보영
청순파 이보영은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윈엔터테인먼트, 정용기 감독)에서 늘씬한 S라인을 가진 재즈 가수로 등장했다. 직업이 재즈 가수인 만큼 섹시하면서도 화려한 의상이 포인트. 빨간색과 검은색·금빛 컬러를 위주로 반짝이는 펄감을 가진 드레스가 위주가 됐다.
여성스러운 라인을 표현하기 위해 딱 떨어지는 소재보다는 바람에 살랑이면서 몸의 실루엣을 드러내는 실크 소재를 사용했고, 등 라인을 깊게 파고 가슴과 힙 라인을 타이트하게 디자인했다. 이로 인해 마릴린 먼로 등 할리웃 여배우 같이 고급스러운 섹시미를 연출했다는 평가.
의상 담당 양민혜 팀장은 "영화의 배경이었던 1945년 등장했던 모던 보이와 모던 걸 의상은 현대 의상과 별반 다르지 않은 만큼 세련된 측면이 있다. 투피스보다는 허리를 강조하는 원피스 개념의 의상을 주로 입었다"라고 밝혔다.
이현 기자 [tanaka@jesnews.co.kr]
▷[스타일] 명절 후 겪는 후유증 ‘피부 우울증’ 극복하기
양영순·국중록 등 최강 만화가들이 뭉쳤다! 6인6색 카툰 릴레이 '식스센스'
중앙 엔터테인먼트&스포츠(JES)
- 저작권자 ⓒJE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배우란 이미지를 먹고 사는 직업이다. 그래서일까. 배우들은 자신들이 갖고 있는 총천연색 매력을 펼치기 위해 끊임없이 변신을 시도한다. 최근에는 '섹시'와 '청순'이라는 꼬리표를 달고 자신들의 숨겨진 매력을 드러내지 않았던 여배우들의 대반격이 두드러졌다.
대한민국 대표 섹시 미녀 전지현과 김정은은 노메이크업에 털털한 여인으로 변신했고, 대표 청순 미녀 손예진과 이보영은 팜므파탈적 강렬한 섹시함을 과시했다. HOT movie 안에 감춰진 HOT lady들의 변신 스타일링을 알아본다.
■섹시 미녀→청순 미녀
▶슈퍼맨이었던 사나이: 전지현
'슈퍼맨이었던 사나이'(CJ엔터테인먼트, 정윤철 감독)에서 방송국 PD로 분한 전지현은 완벽한 S라인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던졌다.
노메이크업에 헐렁한 티셔츠와 바지, 장신구를 배제한 옷차림은 전지현이 가진 중성적 이미지를 재발견했다는 평가. 블랙과 화이트를 기본으로 컬러를 배제했으며, 언제나 머리를 묶을 수 있도록 검은색 끈을 팔찌 대신 두른 것으로 포인트를 줬다.
의상 담당 노미례 팀장은 "감독님께서 활동적이면서도 험블(humble)해 보이는 의상을 원했다. 새 옷을 일부러 낡게 리폼하거나 새 신발도 발로 밟아서 오래된 느낌을 줬다. 워낙 전지현이 스타일이 좋아서 낡은 의상도 스타일리시해 보이는 탓에 고생했지만 전지현에게 숨겨져 있던 중성적 이미지를 발견한 것 같다"라고 에피소드를 밝혔다.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 김정은
레드카펫 위 섹시한 드레스로 대중을 유혹했던 김정은은 '우리 생애 최고의 순간'(MK픽처스, 임순례 감독, 이하 우생순)에서 생얼의 핸드볼 선수로 나타났다. 영화 속에서 줄곧 파란색과 빨간색 운동복을 입는 상황.
간혹 평상복을 입을 때에도 액세서리를 배제하고 무채색을 위주로 한 깔끔하고 심플한 세미 정장을 선택했다. 대신 유니폼에 디테일을 가미, 스타일을 돋보이게 만들었다. 기존 선수들이 입었던 아식스 고유의 디자인에 라인을 넣어 몸매를 늘씬하게 보이게 만들었고, 다양한 배색을 자제한 채 팔 안쪽과 허리 쪽에만 배색을 넣어 날씬해 보이는 효과를 냈다.
의상 담당 고희정 팀장은 "김정은이 워낙 화려하고 세련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을뿐더러 특히 팔다리가 길고 예뻐서 티셔츠 하나만 입혀도 스타일이 나오는 사람이다. 화려한 것을 없애려고 컬러를 죽이고, 최대한 심플함을 살렸다"라고 밝혔다.
■청순 미녀→섹시 미녀
▶무방비 도시: 손예진
청순 미녀의 대표 주자인 손예진은 '무방비 도시'(쌈지아이비전, 이상기 감독)에서 치명적 섹시미를 가진 여인으로 화끈하게 변신했다. 하지만 '타짜'의 김혜수나 '더 게임'의 이혜영 같은 팜므파탈과는 다르다.
심한 노출 대신 실크, 반짝이는 골드, 스판덱스 등 의상 소재에서 오는 느낌을 통해 섹시함을 강조한 것이 포인트. 특히 하나로 묶은 머리와 긴 웨이브 머리 등 다양한 헤어스타일과 네일 컬러에 변화를 줘 이미지를 살렸다.
의상 담당 한송경 실장은 "극중 가죽 베레모를 쓰고 머플러를 두른 스타일은 손예진이 직접 제안한 스타일이다. 손예진은 남자들의 변치 않는 로망, 누구나 꿈꿔 왔던 첫사랑 같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만큼 정형적 팜므파탈이라기보다는 그가 가진 알 듯 모를 듯한 매력을 살려 미스터리해 보이는 느낌을 강조하는 데 주력했다"라고 컨셉트를 설명했다.
▶원스 어폰 어 타임: 이보영
청순파 이보영은 영화 '원스 어폰 어 타임'(윈엔터테인먼트, 정용기 감독)에서 늘씬한 S라인을 가진 재즈 가수로 등장했다. 직업이 재즈 가수인 만큼 섹시하면서도 화려한 의상이 포인트. 빨간색과 검은색·금빛 컬러를 위주로 반짝이는 펄감을 가진 드레스가 위주가 됐다.
여성스러운 라인을 표현하기 위해 딱 떨어지는 소재보다는 바람에 살랑이면서 몸의 실루엣을 드러내는 실크 소재를 사용했고, 등 라인을 깊게 파고 가슴과 힙 라인을 타이트하게 디자인했다. 이로 인해 마릴린 먼로 등 할리웃 여배우 같이 고급스러운 섹시미를 연출했다는 평가.
의상 담당 양민혜 팀장은 "영화의 배경이었던 1945년 등장했던 모던 보이와 모던 걸 의상은 현대 의상과 별반 다르지 않은 만큼 세련된 측면이 있다. 투피스보다는 허리를 강조하는 원피스 개념의 의상을 주로 입었다"라고 밝혔다.
이현 기자 [tanaka@jesnews.co.kr]
▷[스타일] 명절 후 겪는 후유증 ‘피부 우울증’ 극복하기
양영순·국중록 등 최강 만화가들이 뭉쳤다! 6인6색 카툰 릴레이 '식스센스'
중앙 엔터테인먼트&스포츠(JES)
- 저작권자 ⓒJES,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드림 > 아이디어거래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PC, 하드웨어도 수리해서 쓰자 (0) | 2008.02.21 |
---|---|
울산가족문화센터 봄학기 프로그램 공개강좌 (0) | 2008.02.21 |
‘교복 물려주기운동’ 지자체·시민단체로 확산 (0) | 2008.02.21 |
‘情 나눔’ 교복물려주기 지자체·시민단체 동참 (0) | 2008.02.21 |
결혼정보회사 듀오, 전국 남녀 대상 ‘나를 질투나게 하는 것’ 설문조사 실시 (0) | 2008.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