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대학을 졸업한 사람입니다.
미래에셋 직원이 바쁜척하셔서 그냥 대충 가입하고 왔어요. 금액은 초짜라 10만원으로..
일단 10만원으로 계좌이체 신청 했는데 괜찮은거라면 50만원정도로 추가납입할까 합니다.
질문 드립니다.. 완전 챙피합니다.. 하나도 몰라서...ㅜㅜ
1. 아시아퍼시픽업종대표펀드1-C... 뒤에 붙은 C는 먼가요?
2. 이건 아무때나 1년이든 2년이든 수익 상황봐서 돈찾는거 맞죠?
3. 상품개요 보면 환매수수료에 classA는 30일 미만 이익금의 70% ~~~ 어쩌고 저쩌고 적혀있고, class C는 90일 미만 이익금의 70% 적혀있는데 이게 머죠?? 가입후 30일 이전에 취소시키면 벌금낸다는건가요?? 그럼 가입후 30일이 지나서 취소하면 벌금 안내는거??ㅜㅜ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4. 역시 상품개요에서 총보수라고 있는데 이게 먼지 알려주세요. A는2.05% , C는 2.55% 이렇게 되어있네요.
5. 돈 넣다가 안넣으면 어떻게 되죠?
6. 이 펀드에 입금한 돈들은 제 미래에셋 CMA계좌에 있는건가요? 아님 어디에 쌓이는거죠?
7. 수익, 손해 알아볼려면 어떻게 알아봐야 하나요? 미래에셋 가서 알아보는거 말고..ㅜㅜ 직원 너무 짜증나요ㅜㅜ 귀찮아하세요 ㅜ 물어보기도 무섭고 ,, 그 직원말고 다른 직원들은 다 친절하던데.. 제가 다시 그곳을 찾으면 그 이상한 직원이 제 담당이다보니.....ㅜㅜ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생명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그런 일이 있으셨군요...
증권사든 생명보험사든 펀드 관련해서 언짢은 일이 있는거..
제가 먼저 사과를 드립니다.
1. 아시아퍼시픽업종대표펀드1-C... 뒤에 붙은 C는 먼가요?
ㅡ 멀티클래스펀드를 말합니다. 운용되는 것은 같은데..
A는 선취 1% , C는 후취형펀드를 말합니다.
2. 이건 아무때나 1년이든 2년이든 수익 상황봐서 돈찾는거 맞죠?
ㅡ펀드라는 상품의 기본개념에 속하는 것입니다.
환매수수료가 있던 없던 간에...가입자가 필요할 때..
혹은 적정한 시기에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처분을 하는 것입니다.
펀드는 해약이라고 하지 않고..환매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3. 상품개요 보면 환매수수료에 classA는 30일 미만 이익금의 70% ~~~ 어쩌고 저쩌고 적혀있고, class C는 90일 미만 이익금의 70% 적혀있는데 이게 머죠?? 가입후 30일 이전에 취소시키면 벌금낸다는건가요?? 그럼 가입후 30일이 지나서 취소하면 벌금 안내는거??ㅜㅜ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ㅡ 보통은 선취수수료가 부과되면,,환매에는 제한이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요즈음 해외투자펀드는 대부분 선취수수료가 부과되어도,
초단기 환매에는 일종의 페널티인 환매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입금 건별로 정해진 기간 내에 가입자가 환매를 요청하면 페널티를 주는 것이죠.
A는 선취형이라서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이 짧고,
C는 후취형이라서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이 A에 비하여 긴 것입니다.
4. 역시 상품개요에서 총보수라고 있는데 이게 먼지 알려주세요. A는2.05% , C는 2.55% 이렇게 되어있네요.
ㅡ 펀드는 보수와 수수료가 차이가 있습니다.
수수료는 일회성(입금시 원금에서 차감),
보수는 적립금에서 매일 차감합니다.
A는 선취수수료가 있으므로 보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C는 보수가 높습니다.
일반적으로 장기로 유지시 선취형이 좋다고 합니다.
제 개인적으로는 안전성,유동성,수익성이 투자에서 중요합니다.
특히 유동성의 확보라는 면은 수익성보다 우위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환매에 제한이 없거나 적은 쪽이 가입자에게 유리한 면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5. 돈 넣다가 안넣으면 어떻게 되죠?
ㅡ 보통 임의식,자유적립식 등을 선택하게 됩니다.
자동이체는 다른 개념입니다.
자유적립식을 선택하고 자동이체를 선택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돈 입금 안하던...자동이체를 중단하든...
가입자가 낸 만큼만 펀드에서 관리,유지되는 것입니다.
사실적으로는 안내도 그만인 것이죠...
자신의 판단에 따라..더 낼 수도 있고,
납입을 중단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6. 이 펀드에 입금한 돈들은 제 미래에셋 CMA계좌에 있는건가요? 아님 어디에 쌓이는거죠?
ㅡ CMA에서 자동이체를 하셨다면...
매월 정한 날짜에 펀드로 투입이 됩니다.
펀드는 각 상품마다 수탁기관이 있습니다.
보통 은행인데..은행에서 펀드를 위한 계정이 존재하고..
자산운용사는 수탁기관에 운용을 지시하는 방식으로 운용됩니다.
7. 수익, 손해 알아볼려면 어떻게 알아봐야 하나요? 미래에셋 가서 알아보는거 말고..ㅜㅜ 직원 너무 짜증나요ㅜㅜ 귀찮아하세요 ㅜ 물어보기도 무섭고 ,, 그 직원말고 다른 직원들은 다 친절하던데.. 제가 다시 그곳을 찾으면 그 이상한 직원이 제 담당이다보니.....ㅜㅜ
ㅡ 해당 판매기관의 홈페이지에 가서 가입을 하면 됩니다.
현재 CMA를 이용하고 계시다니...자신의 계정으로 들어가서
펀드가입내역을 보면 되겠습니다.
담당직원은 실제로 가입자가 자신의 펀드계정을 관리하는데,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 운용이야 자산운용사가 하지만..
고객이 마주치는 사람은 판매처의 담당자이지요...
그래서 보통 고객을 맞는 창구직원은 지식도 우수해야 하지만,
고객서비스 마인드가 중요합니다.
정...마음에 안 드시면..담당자를 바꿔달라고 하세요...
이번 투자를 통해 좋은 성과를 거두셨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마지막으로...펀드를 가입하시면서 알아두어야 할 사항을
가볍게 생각하신 것 같습니다.
기왕 미래에셋 상품을 가입하셨으니...
미래에셋 미디어 사이트를 둘러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
검색창에 "미래에셋미디어"라고 치면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페이지 하단에 미래에셋 계열사 바로가기가 있으니..
해당 펀드를 직접운용하는 미래에셋자산운용에도 들러보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펀드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증권사 선택은 어떻게 해야할까요? (0) | 2008.02.09 |
---|---|
제테크쪽으로 질문하나 드립니다. 내공 빵빵하게 겁니다. (0) | 2008.02.09 |
오늘 보험설계사 분과 상담했는데요. 좀 황당해서 질문드립니다. (0) | 2008.02.09 |
결혼 후 건강보험에 가입하려고 하는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0) | 2008.02.09 |
변액 유니버셜 보험 과연 필요할까요??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