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지만 읽어봐주시고 판단 부탁드립니다.
같은 직장 직원과 펀드가입에 대해 이야기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어제 그 직원이 제게
"펀드 가입한다고 하시지 않으셨나요?" 하면서 바로 옆에 계신 아주머니를 가리키더군요.
그러자 그 아주머니께서 저를 보시고는 명함을 주시더라구요. 명함을 보니 "S 보험사" 명
함이더군요. 그래서 제가 "저는 보험이 아니라 펀드 인데요." 했더니 펀드상품도 새로나온
게 있다면서 한가한 시간을 알려달라고 하시길래 오늘 점심시간에 오시라고 말씀드렸
습니다.
그런데 오늘 음료수 상자를 들고 남자분 한분과 같이 두분이 오셨더군요.
그리고는 제게 제이름이 적힌 자료를 건네주시던데 "변액연금보험:" 상품이더군요.
저는 보험에 관심이 없었지만, 일단 이야기는 들어봤습니다. 내용도 살펴보구요.
그랬더니 이 제품이 황당하더군요.(적어도 제가 판단하기에는~)
제게 월 300납입을 기준으로 한 예시표를 가져오셨는데( 전 마음속으로 대충
월 300정도를 펀드로 운용할까 생각하고 있었는데 어떻게 제 마음을 궤뚫으셨는지
정확히 300을 예시로 해서 자료를 만드셨더군요.).... 설명인즉
월 300을 납입
그중 50퍼센트는 펀드로 운용
나머지는 적립(원금보장) - 금리 4.8%
그리고 연금성격이라고 하시더군요.
참고로 제 직업은 특별히 정년이 존재하지 않는 직업입니다. 오히려 나이가 들수록
경력에 따라 몸값은 더 상승하는 직종이죠. 따라서 연금이 필요없는 직종이고,
그 부분을 그 분도 잘 알고 계셨으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제가 소개받은 상품은 운용보수가 5%더군요. 즉 적립되는 금액의 이자를 넘는
운용보수가 붇는데다가, 중도환급시 불입한 금액을 전부 받으려면 최소 5년 이상을
불입해야 되는 것이었습니다.
게다가 보장성 내용은 사망시 이제까지 불입한 금액에다가 600만원을 추가로 주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없더군요. 더 웃긴건 월 300씩이나 붓고 나서도, 26년 뒤에 제가
연금수령나이가 되었을때 일시 환급 받는 돈은 달랑 6억이 조금 넘더군요.
26년뒤에 6억???? 그것도 보험사에서 예시한 수익률이 되었을때......
그걸 위해서 직장인이 월 300을 7년이나 납입한다???? 20년간 총 2억5천2백만원이라는
목돈을 넣어놓고.... 20년뒤에 겨우 6억을 찾는다?????? 이 상품 솔직히 보험에는 지식이
전혀 없는 제가 보기에 너무 황당한 상품인것 같습니다.
일차적으로 제 의문은 도데체 이런 제품에 30대 초반의 직장인이 월 300을 넘게 넣도록
플랜을 짜온 저의가 과연 순수하고 진정 고객의 입장에서 생각한 것인가 하는 겁니다.
(참고로 제가 있는 직종은 대체로 월급이 세금을 땐 실수령액 기준으로 제 나이대에서
7-800가량입니다. 연봉으로 치면 대충 1억을 약간 넘기는 수준)
두번째 의문은 과연 이 상품이 월 300을 기준으로 했을때, 제가 직접 은행에 가서
월 150만원을 적금에 넣고, 나머지 월 150만원은 인덱스 펀드에 가입하는 것과 비교해서
더 좋은 게 뭔가 하는 겁니다.
세번째. 저는 일단 간접적으로 거절의 의사를 밝혔구요. 음료수 사오신 성의를 봐서
그냥 일반 보장성 제품이나 하나 소개해주시면 가입 고려해보겠다고 말씀드렸는데요.
실제로 제 직속 부하직원의 언니가 보험사에 근무하는 데다가. 과연 이 보험설계사 분이
정말 믿을만 한 분인가??? 아니면 고객의 입장보다는 자기 실적과 보수에만 연연해서
고객의 이익은 전혀 생각지 않는 분인가 궁금해서입니다.
상식적으로 저는 아무리 고소득 직종이라고 해도, 이제 사회생활 시작한지 몇년 되지
않는 월급쟁이에게 월 300짜리 그것도 위에 예시한 저런 상품을 소개한다는게
당췌 이해가 되지를 않습니다. 과연 저 분을 믿고 일반 보장성 보험을 하나라도 가입하는
게 괜찮을지...아니면 그냥 다른데 알아보고, 음료수 돌려드리는게 맞을지........
한번 판단 좀 부탁드립니다.
P.S 추가로 월 300을 펀드로 돌리려면. 어떻게 나눠서 투자하면 좋을지도 좀 조언
부탁드립니다. 30대 초반 직장인. 독신이며 생활비와 용돈. 그 외 비상금을 제하고..
순수하게 제가 지금 유흥비로 탕진하고 있는 돈입니다.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월수입 7-800인 사람의 연금보험 설계서를 월 불입금 300만원으로 설계라..
가까운 시일내에 수입에 변동이 없다면 유지하기 어려운 설계입니다.
연금보험은 그야말로 초장기 유지를 목표로 하는 상품이므로 적정한 불입금 설정이
가장 기본으로 되어야 할것으로 생각됩니다.
귀하께서 확인하신 설계서는 금융감독원에서 전 보험사에 공통으로 0,4,6%로 설계서를
제시하라고 한 권고안을 보신것이고... 그 금액은 최소한 원금이고 그 이상은 수익률이
좌우합니다.
즉, 현재 공시이율 정도로만 설계서를 발행하도록 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만약 귀하께서
금리형 연금을 가입하신다면 그 정도의 연금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는 설명에 불과합니다.
그러하므로 변액연금 설계서는 어찌 보면 의미가 없습니다. 이것 저것 따지고 보면 사실상 금리형 연금보다 작은 금액을 제시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초장기 상품을 높은 수익률로 고객을 회유하여 가입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제이므로 앞으로 경제가 안정되어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20-30년 후에는 주식시장이
지금의 지수 보다는 훨씬 높아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신다면 변액연금을 금리가 지금보다
월등히 높을것이라고 생각하시면 금리형 연금을 선택하시는 것이 나을것이나...
저 개인적인 생각은 우리나라 경제가 발달 할 수록 금리는 안정 하향세를 주가는 안정 상승세를 탈것이라는 밑그림을 그려두고 변액연금에 한 표 꾹~ 찍습니다.
연령이 높아지실수록 수입이 높아지고 정년이 없는 직종에 종사하신다니 그 보다 더 좋을 순 없겠습니다. 그러나 보험이란 예측 할 수 없는 위험에 대비하신 것이므로 안정적인 생활을 유지하고 있을때 대비해 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무슨 연금을 가입하느냐 그 돈으로 펀드를 들어서 굴리면 되지... 라고 생각
하시지만 ... 같은 금액을 같은 비율의 펀드를 구성하여 굴린다면 10년이내에선 보험이 펀드를 이길수 없고 그 이상 가면 갈 수록 펀드가 보험을 따라 올 수 없는 구조입니다.
즉, 초장기 투자를 원하시는 부분만 변액을 선택하시는것이 좋겠습니다.
그 밖에 장기 상품으로 펀드보다 보험이 유리한 점은 해약없이 펀드교체가 자유롭다는 점도 들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60세에 일시금으로 찾으실분은 그냥 펀드 잘 굴리시면 됩니다.(그러나 연속성을 유지하시기 그리 쉽지 않으실 겁니다^^*) 종신토록 연금을 받겠다면 지금부터 연금보험에 가입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 이유는 연금을 지급하는데는 경험생명표라는 것을 적용하여 연금을 지급하는데 그 경험생명표 적용싯점이 연금을 가입하시면 가입하시는 당시의 기준을..... 펀드나 기타 상품을 가입하셔서 연금으로 전환해서 받으신다면 전환싯점의 기준을 적용하게 된답니다.
점점 어려운 말만 늘어 놓았지요? ^^*
연금에 가입하실 의향이 있으시다면 최저 80만원 ~ 약 160만원 정도가 귀하에게는 적당하며 납기 7년이 아니라 최하 10년에서 20년 정도 꾸준히 부담없이 넣겠다는 생각으로 하시는것이 좋을것입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고객님^^*
간단히 말씀드리죠.
고객님께 월 300만원짜리 변액보험을 받아가면
그 아주머니는 다음 달에 급여를 아마도 1천만원~1천5백만원 정도를 받으실 것입니다.
그 급여는 어떻게 주느냐면
고객님이 앞으로 내실 보험료를 감안해서 미리 설계사에게 지급하는 것이지요.
중도에 해약하신다면 회사에서 환수를 하겠지만
고객님이 1년이상을 유지하신다는 전제하에 그 엄청난 돈은 다 설계사 아주머니가 갖게 됩니다.
그러니 설계사가 눈이 안 돌아가게 생겼는지요.. ㅡㅡ;;
음료수는 아무것도 아니지요..
고객님이 300만원씩 1년을 납부하시면 원금은 3,600만원이 되겠지만
그 중에서 설계사에게 1천만원 이상을 지급하고
회사에서 사업비 명목으로 1천만원 정도 가져가고
펀드운용 수수료 떼고 나면, 1년 뒤에 해약할시에 고객님께 환급되는 돈은 1,500만원에서 2,000만원 사이가 될 것입니다.
그게 바로 변액보험의 실체입니다.
초기에 그렇게 회사와 설계사가 떼어가고 나니, 원금 수준으로 회복하려면 6년여란 시간이 걸리게 되는 말도 안 되는 일이 벌어지는 것입니다.
차라리 일반저축보험을 가입하십시오.
5년간 월 300만원씩 납입하시고
15년 뒤에 만기가 되어 찾으시게 되면
비과세 혜택을 받으면서 복리로 인한 173.4%의 높은 환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필요하실 때에는 중도에 인출하셔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시구요.
원금 180,000,000원에 만기환급금이 312,133,700원이 산출됩니다.
현재 국내에서는 가장 높은 환급율이라는 것을 자신합니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테크쪽으로 질문하나 드립니다. 내공 빵빵하게 겁니다. (0) | 2008.02.09 |
---|---|
미래에셋 아시아 퍼시픽 업종대표 펀드 질문입니다. (0) | 2008.02.09 |
결혼 후 건강보험에 가입하려고 하는데 추천 좀 부탁드립니다. (0) | 2008.02.09 |
변액 유니버셜 보험 과연 필요할까요?? (0) | 2008.02.09 |
보험설계부탁드려요!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