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복잡한걸 싫어해서,
전문가들이 적립식 펀드에 대해서 잘 알아보고 선택하라고 하지만..
저는 그냥 주거래 은행에 가서 은행직원이 추천해주는 걸로 선택해서
은행을 통하는게, 미래에셋같은 증권사를 직접 통하는것과 비교했을 때
어떤지가 궁금합니다.
손해를 많이 보는건지...
그리고 요즘 중국 적립식 펀드가 좋다고 해서
하나 더 들려고 하는데요..
음..물론 장기로 보고 할려고 하구요..
이걸 그냥 주거래 은행에서 상담받고 가입을 할려고 하는데
그게 좋은건지, 아님 괜찮은 상품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더불어, 중국 적립식 펀드가 계속 지금처럼 수익률을 낼 수 있을까요? ^^: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미래에셋생명에서 재무상담을 하고 있습니다.
대단히 현실적인 귀차니즘이 있으시군요^^
펀드 ㅡ 자산운용사 상품
은행,증권사,보험사(금융플라자) ㅡ 판매처
요즘은 멀티클래스펀드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판매처에 따라 가입조건이 다르게 되고,
총보수에도 차이가 발생하는 그런 펀드입니다.
동일상품인데도 선취수수료 부과 여부도 다르고 ...그렇습니다.
판매처는 특정펀드에 대해서 운용사와 판매위탁계약에 의해 영업을 합니다.
동일펀드라고 하더라도 가입기준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가입금액의 한도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대부분의 자산운용사가 은행,증권사의 자회사라는 것입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ㅡ 미래에셋증권
KB자산운용 ㅡ KB
등등등...운용사는 판매처에 대하여 좋은 관계에 있어야만 하는 이유입니다.
예를 들면, ㅇㅇㅇ펀드1,2호가 있습니다.
이 펀드는 A은행에서는 1호만 판매합니다.
가입한도는 매월 10만원 이상입니다. 거치형은 250만원 이상입니다.
B증권사에서는 ㅇㅇㅇ펀드1,2호를 다 취급합니다.
가입한도는 1,000원 이상이고, 거치형의 경우는 제한 없습니다.
이렇게 판매처마다 약간 차별화가 진행중입니다.
자산운용사의 판매쿼터에 따라 동일펀드가 판매되기도 하고,중단되기도 합니다.
펀드의 경우는 총보수 중에서 판매보수가 가장 비중이 큽니다.
보수는 매일 발생하는 개념인데,
은행의 입장에서 매월 정기적으로 10만원 이상씩 입금이 된다면,
그에 따라 발생하는 판매보수가 안정적이겠지요.
그래서 통상 은행은 월 5만원, 10만원 이상이라는 단서가 많이 붙습니다.
증권사의 경우는 본래 펀드의 판매처이기도 하고,
다양한 상품에 제한이 은행에 비해서 적은 편입니다.
보험사에서 펀드판매는 실제로 3군데 정도 되는데,,,,
1곳을 제외하면 실적이 매우 낮은 편입니다.
펀드관련 서비스에 대해서는 직접 판단하는 방법이 좋을 것 같습니다.
제가 어제 미래에셋생명주최의 자산관리설명회에 참석했습니다.
자산운용사의 펀드매니저가 강연을 하는 자리였는데,,,
중국관련 챠트를 여러개 보여줬습니다.
실제 현장에서는 이미 가지고 있는 것들이 대부분이었긴 합니다^^
중국에 대해서는 지난해 만큼은 아니어도,
좋은 전망치를 얘기하더군요. 변수는 잇겠지요^^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수 보장성 질병 보험 추천해 주세요 (0) | 2008.02.09 |
---|---|
변액종신보험과 일반종신보험에 대해서요... (0) | 2008.02.09 |
좋은 재테크방법... (0) | 2008.02.09 |
금호생명 무배당스텐바이 행복테크 보험에 대해서 질문!! 급합니다 (0) | 2008.02.09 |
자본시장통합법 시행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