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장1630선에서 구매적절한시기라 판단되어 KTB마켓스타 주식형을 구매했습니다.
증권사 여직원왈 종가기준금액이 적용된다고 하는데 맞는말인지 모르겠네요 개인이 펀드를 구매하면 운용사에서 바로 주식에 투자하는게 아닌걸로 알고있는데요 어떻게 운용되는지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제가 어줍잔게 알기론 1000만원치 해당펀드를 구매하면 좌수를 배당받고 개당 좌수는 해당펀드의 싯가?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좌수X좌수의 개당싯가=자산평가액 정도라고 추측해봅니다.
고수님들의 자세한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안녕하세요?
펀드 라는 투자상품에 관련된 주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자산운용회사 ㅡ 펀드운용사 , 운용보수
2. 수탁회사 ㅡ 보통 은행, 수탁보수
3. 판매회사 ㅡ 증권,은행,보험사 . 판매수수료 & 판매보수
4. 사무관리회사 ㅡ 사무관리, 사무관리보수
5. 투자자 ㅡ 투자금 투입, 각종 비용 부담
위에서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주식형펀드 기준으로,
증시가 마감한 후에 자산가치 평가가 가능하게 됩니다.
기준가 = (펀드 총자산 / 총좌수 ) * 1,000
평가금액 = (보유좌수 * 기준가 ) /1,000
1,000이라는 숫자가 곱해지기도 하고 나눠지기도 하는 것은
펀드의 가치산정에서 기준가 = 1,000좌의 가치 이기 때문입니다.
요기까지는 그냥 설명이고..
질문자님이 펀드운용에 대해서 궁금해 하셨습니다.
펀드는 각각 펀드의 투자목적과 대상이 있습니다.
그 전체운용은 자산운용사가 담당을 하고..그에 따른 운용보수를 받습니다.
단순하게 말씀드리면,
펀드에 투입된 투자자의 자산은 수탁회사가 맡아 보관을 합니다.
또한 수탁회사는 자산운용사의 지시에 따라 투자대상을 사고 파는 일을 합니다.
자산운용사의 지시에 따라 실제 실행을 하는 회사가 수탁회사라고 보면 됩니다.
그래서..자산운용사에 직접 투자자금이 들어가는 것은 아닙니다.
수탁회사는 이러한 투자자산의 보관,관리 업무 이외에,
자산운용사의 불법행위등에 대한 관리책임도 담당합니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사란? (0) | 2008.02.09 |
---|---|
적립식펀드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08.02.09 |
나이 26살에 직장 2년차 입니다.. (0) | 2008.02.09 |
30세 주부가 들어두면 좋은 건강보험이나 암보험 추천해주세요. (0) | 2008.02.09 |
2000만원 현명하게 굴리는 방법 조언부탁드려요!!!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