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나이 28(남) 77년12월결혼

자동차가 아닌

일반 생명이나 기타 보험만큼 해약률 높은 보험이 없다하니

보험 고르기가 장난이 아니군요

주위에 아는 사람이 있어야지 나원..

연봉2000가지고 종신보험+특약

제대로 보험함 들어볼려하니

보험료가 너무 비싸 25만원정도 나오넹 ㅎㅎ 60세납 80세만기.

60세까지 과연 25만원을 넣을수 있을런지 에효..

여기 올라온 글들 보니

종신이나 기타 생명과 함께 통합보험(현대해상꺼 같음)

들으라고 하는데

구체적인 설명과

현대해상아녀도됨(통보)와 어울리는 보험 찾아주시길 바라며..

참고로 10~15만원선으로 부탁드립니다.

그래야 좀 부담이 안되니깐 ㅎㅎ

참고로 울 와이프 24(여) 81년12월입니다.

가티 들만한것도 나중에 태아보험도 들어야 하니

식구들 다 합해도 25만원 안넘는눔으로 튼실하게 함

골라주실분 기다립니다....

ㄳ 합니다.

35세 여성입니다. 보험을 들려구 하는데 어떤게 좋은지 몰라서요...

요즘 TV보면 좋은거 같아 보이지만 요목조목 따져보면 실속 없는게 많아서요...

보장은 흔한 감기부터 암까지 폭넓은 보장이고요.

특히 여성질환 중점을 둠...

입원비, 수술비, 암진단 등 보장이 좋으면 좋겠습니다.

이왕 가입할꺼 좋은걸루 하려구여...

그리고 가격대도 좀 알려주세요.

아직 초보라서 잘 몰라요...상세하게 대답 좀 부탁 드립니다.

저는 올해 29살이고 결혼한지 1년이 채 안되는 새내기 주부입니다.

저히 가정은 1년 6개월째 붙고 있는  변액연금(복리)이 있는데요. 이는 채권에 70%  주식에 30%가 투자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얼마전 아시는분으로 부터 이 상품은  안정적으로 투자되 남은 5년이란 기간동안을 더 붙더라도 은행이자 보다 조금 놓은 수익 밖에는 기대할수 없다고 하시며, PCA에서 운용하는 주식형 펀드로 갈라타라는 권유를 받았습니다.

 

지금 이 연금을 해약할 경우 350만원 이라는 원금손실이 발생하는데요. 이런한 손실은 감안하고 서라도 주식형 펀드로 갈아타는게 과연 옳은 선택일까요.

 정말 고민됩니다.  도와주세요.

추가된 질문
2007.06.14 10:19 추가
이 연금은 보험 변액연금 보험 이구요, PCA에서 권유받은것은 적립식 펀드 입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상품마다 고객성향에 맞는 상품이 있는가 하면 고객님의 직업및 소득에 따라서

맞는 상품이 있습니다.

 

고객님이 가입하실 시점에 따라서 상품이 좋을수도 나쁠수도 있기 때문에

 

권유에 의한 상품 가입보다는요

 

좀더 자세한 여러가지 정보를 토대로 한 자산관리 컨설팅을 받아 보시기를 권장해

드립니다.

 

그이후에 변액연금을 해약하는것이 좋을지 아니면 유지하고 남은 여력에서

 

기간을 두고 적립식 주식형 펀드에 가입을 할지 혹은 공격적인 해외펀드를 할지

 

또는 안정적으로 혼합형이나 기타펀드로 가야할지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현재 주위에서의 권유가 아닌 정확한 원인과 목적을 가지고 상품을 가입하시기를

 

권장해드립니다.

 

변액연금은 연금으로써는 아직 대체할만한 상품이 없을만큼 연금성 상품으로는

 

가장 좋은 상품중 하나입니다.

 

다만 고객님에게 현재 자산구조상 연금성 상품을 지금 유지하는것이 좋을지

 

혹은 투자형 상품으로 대처할 경우가 더 좋은지 판단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투자형 상품은 그만큼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어느정도 자산구조를 고려해서

 

편입비율을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PCA는 생명보험 회사입니다.

 

권유받는 상품이 적립식 펀드라는 애매한 말보다는 정확한 상품명으로

 

권유받으시길 바라며

 

왜 그 펀드를 가입하는지를 아셔야 합니다.

 

상품은 상품에 따른 각기 장,단점이 있습니다.

 

증권사의 적립식 펀드인지, 보험사의 투자형 변액유니버셜 보험인지

 

그리고 해외운용사가 운용하는 해외펀든인지

 

아니면 국내운용사가 운용하는 해외펀드인지에 따라서 상품이 크게 나뉘게 되며

 

각기 상품마다 고객님에게 맞는 적절한 상품이 될수도 있습니다.

 

편식이 아닌 잡식이 바로 분산투자의 기본이며

 

고객님에게 독이 될만한 음식보다는 이로운 음식중에서 골고른 영양섭취를 할때

 

건강해 질 수 있듯이 금융상품 또한 어떻게 이용하고 어떻게 이로운 음식이 될지는

 

고객님 옆에서 권유하시는 분에 따라서 좌우 된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하루 되시고 상품 갈아타기는 꼭 맞는 해결책이라고는 볼 수 없습니다.

 

고객님에게 맞는 컨설팅을 꼭 받아보시길 기원합니다. ^^*

 

하나GMG 자산관리사 이새일!

 

 

계약내용    만기환급형 (1614004)
 
계 약 자    (남)  27세
 
납입기간  20년 납  납입주기  월 납  보험기간  80세 만기

 합계보험료 58,900 원
 
    
구 분  보험가입금액  보험료
 
주 계 약  1,500 만원  31,800 원
 
정기특약II  ***  ***
 
재해보장특약2종  1,500 만원  3,450 원
 
재해의료특약2종  1,000 만원  2,600 원
 
대한3대질병치료특약  1,500 만원  16,050 원
 
TM수술보장특약  1,000 만원  1,700 원
 
입원보장특약II  1,500 만원  3,300 원
 

 주계약    
 
  
 
만기축하금  만기생존시  763 만원
 
건강관리자금  보험료 납입완료 이후 최초 계약해당일에 생존시
[1종 (중도환급형)에 한함]  ***
 
CI수술자금  5대장기이식수술, 관상동맥우회술,
대동맥류인조혈관치환수술, 심장판막수술시
(각각 1회한)  1,500 만원
 
수술자금  암 수술시  (최초 1회) 750 만원
 
(2회 이후) 150 만원
 
주요성인질환 수술시  (1회당) 450 만원
 
조혈모세포이식 수술시  (1회한) 1,500 만원
 
관상동맥성형 수술시  (1회한) 150 만원
 
입원급여금  질병 또는 재해로 4일이상 입원시  (3일초과 1일당) 15,000 원 
 
질병입원급여금  질병으로 4일이상 입원시  (3일초과 1일당) 30,000 원 
 
간병자금  성인특정질환으로 31일이상 입원시
(30일초과 1일당)  (1형) 45,000 원 
 
(2형) 30,000 원 
 
통원자금  암 및 성인특정질환으로 통원시  암, 1형  2형  3형
 
30,000 원  30,000 원  15,000 원 
 

 선택특약    
 
 
정기특약II  사망보험금  사망시  ***
 
 
재해보장특약2종  사망보험금  재해로 사망시  1,500 만원
 
재해장해급여금 재해로 장해지급률 3%이상 장해상태시  45 만원 ~ 1,500 만원
 
 
재해의료특약2종  골절진단자금  재해골절 진단 확정시  (1회당) 20 만원
 
재해수술자금  재해로 수술시   (1회당) 50 만원
 
 
대한3대질병치료특약  진단자금  암, 뇌출혈, 급성심근경색증 진단시  (각각1회한) 1,500 만원
 
 
TM수술보장특약  수 술 자 금  질병 또는 재해로 수술시(1회당)  1종수술  2종수술  3종수술
 
20 만원 50 만원 100 만원
 
 
입원보장II  입 원 급 여 금  질병 또? ?재해로 4일이상 입원시(3일초과 1일당)  15,000 원 
 

성별 :  남자  연령 :  27세  납입주기 :  월납  납입기간 :  20년  보험기간 :  53년
 

 경과기간별 해약환급금    
 

(단위:원,%)
경 과 기 간 납입보험료 해약환급금 환 급 율
3 개월 176,700 0 0.0
6 개월 353,400 0 0.0
9 개월 530,100 2,000 0.3
1 년 706,800 5,200 0.7
2 년 1,413,600 415,050 29.3
3 년 2,120,400 1,041,200 49.1
4 년 2,827,200 1,683,550 59.5
5 년 3,534,000 2,340,950 66.2
7 년 4,947,600 3,700,250 74.7
10 년 7,068,000 5,490,600 77.6
15 년 10,602,000 8,732,800 82.3
20 년 14,136,000 12,266,350 86.7
25 년 14,136,000 13,066,550 92.4
53 년 14,136,000 7,632,000 53.9
   
* 예정이율 3.5% 입니다.
 

 

지금 가입되어있는 대한생명 참좋은 의료보장보험 인데요,

 

납입금액 (57,570) 에 비해 보장이나 한도가 크게 좋은것 같지 않아서요.

 

보험을 깨고 다시 가입하려 합니다.

 

제 의료비 중심으로(작은 감기부터 큰 암특약까지) 상해도 보장이 되고, 입원비 치료비 한도좀 큰걸로

만기환급이나 순수보장이나 안 가리고 설계했으면 좋겠네요.

 

한 5만원선에서 한개 혹은 �어서 재 설계 하고 싶습니다.

 

추천들좀 해주세요 ^^

 

 

 

 

 

 

 

 

 

 

추가된 질문
2005.10.04 15:15 추가
79년생입니다

저는 대학교 2학년생입니다.

제가 방학동안 일해서 번 백만원을 가지고 농협에 적금들러갔더니

직원분께서 펀드에 한번 들어보는게 어떻겠냐고 하더군요

관심도 있고 그래서 원금에 지장만 없다면 괜찮다고하니 들라고 해서 들었어요

농협 CA 코리아 재팬 주식형1호A 라는 펀드를 들었는데.............

괜찮은가요? 요즘 시세는 어떤지...

너무너무 걱정이되요...ㅡ ㅡ;

내가 일해서 처음 번돈인데 원금을 잃으면 너무너무 아깝잖아요 ㅠ ㅠ ㅠ

제가 3월 20일날 들었는데 오늘 27일날 확인해보니 991552원이 남았어요 ㅠ ㅠ

벌써 깎였어요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 

안정성보장된다고 했는데 ㅠ ㅠ  ㅠ

제가 든 펀드에 대한 정보 요즘의 시세 안정성 그런것들 많이좀 올려주세요 ㅠ ㅠ

내공검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농협 CA 코리아 재팬 주식형1호A 해외펀드에 가입하셨군요.

 

손해가 발생한 것으로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

 

100만원을 가입하시면서 거치식투자로 가입하셨을 가능성이 많은데 선취형으로

가입하셨을 겁니다. 선취형의 경우 투자원금의 1%를 판매수수료로 선공제합니다.

그러니까 100만원이 아닌 990,000원이 투자되는 것입니다.

 

3월 20일날 가입하시고  27일날 확인해 본 금액이 991,552원이므로 

투자금액에 대비해 1,552원이 수익이 증가한 것입니다.

 

일본이 잃어버린 10년을 벗어나 경제가 다시 성장(?)의 시기로 접어들기 시작

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연초에 국내 자산운용사에 의해 일본펀드들이

많이 만들어졌습니다. 농협CA코리아재팬 주식형1호도 그중에 하나입니다.

일본의 경제부흥을 믿는다면 안정적인 투자수단으로 좋은 상품입니다.

 

투자기간을 단기간이 아닌 장기투자를 하시면서 은행정기적금+@의 수익률을

생각하시면 투자하신다면 무난하게 달성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수시로 체크하시면서 원하시는 수익률이 달성하면 환매(해약)하는 시기를 결정

하시기 바랍니다. 환매하실 경우 90일이후에는 환매수수료가 없습니다.

 

재테크 잘하셔서 부자되시기를 기원합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방학동안 일해서 번돈으로 저금을 하신다니 정말 대단하다 생각이 듭니다

먼저 말씀 드리자면 적금과 대출은 은행에서 투자는 증권사에서 보험은 보험사에서..

란 말을 먼저 드리고 싶습니다 자신의 고유업무가 아니다 보니 애매하게 고객들만 피해를 보는 사례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님이 말씀하신 펀드는 농협CA운용에서 운용하는 펀드 입니다

아마 농협 직원들에게 캠페인이 걸려서 팔았을 수도 있고 자회사가 운용하는 것이라서 농협에서 밀고 있는 상품일 수도 있습니다

펀드를 가입하실때 여러가지 고려 하셔야 할 것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운용사이고 운용하는 펀드 매니저 입니다 그리고 펀드안에 구성되어 있는 포트 폴리오 고요...

 

님이 가입하신 펀드는 일본과 한국에 투자하는 펀드로서 삼성전자 토요다 현대 엘리베이터 미쓰비씨 등을 포트 폴리오로 구성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비슷한 유형의 펀드에 비해 수익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펀드 입니다 

 

그리고 제가 이해 할수 없는 것이 주식형 펀드임에도 불구하고 판매하시는 분이 원금보장이 되는것처럼 말씀하신건 이해 할수 없는 대목입니다 펀드는 투자입니다 손실을 충분히 인정하셔야 합니다 그 위험을 즐겨야 남들보다 큰 수익을 낼수 있는 것이죠....

 

펀드에 대한 정보는 모닝스타나 펀드닥터란 사이트가 있는데 그것을 보고 참조 하세요

궁금하신점은 쪽지로 보내 주시면 다시 답변드리겠습니다

변액보험 쪽을 가입하려고 합니다.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 중에서 생각중입니다.  목돈마련/주택자금 용도로

사용하려고 합니다.   31세 남,  월 보험료 20~50만원 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현재 변액연금, 변액유니버셜보험 중 수익률은 어떤게 좋은가요?    변액유니버셜이 원금손실이 될 수 있다는 데, 수익률, 자산이 튼튼하여 안정적인 관리를 하는 보험사는 어디 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저는 40대 중반 여성인데요 연금보험 하나 가입하려고하는데 어떤보험회사꼐 좋은지 어떤게 좋은지 추천좀 해주세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질문님께서 근로소득이나 종합소득이 있는 분이면 소득공제를 300만원까지 가능한 세제적격개인연금보험이나 개인연금저축을 추천드립니다.

 

년간 300만원까지이니 월 25만원 이상은 가입하실 필요는 없고요.

 

가정주부등 소득이 없는 분이면 노후를 대비한 목적자금이므로 복리로 적립되는 유니버셜보험을 추천드립니다.

 

변동금리로 원금손실 없이 적립되는 무배당유니버셜과 투자수익에 따라서 변동되는 변액유니버셜보험이 있는데 님의 투자성향에 따라서 결정하시면 됩니다.

 

변약유니버셜적립보험에 월100만원씩 넣어도 좋은지요? 10년정도 후에 얼마나 나오나요?

보험사마다 틀리다고 하는데요?

현재는 어디가 좋고 10년정도에는 어디가 좋은지요?

메트라이프 분이 오셔서 가입하라 하는데...

타사도 알고 싶네요?

이번에 취업에 성공한 사회초년생(81년생 남자)입니다.

 

학생때 용돈을 받다가 이제는 돈을 벌기 시작하니 월급을 어떻게 사용해야할지 고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를 해야 한다고하기에 이제 사회초년생으로 재테크를 시작하려고 합니다.

 

여러가지 뉴스기사도 보고 선배들에게 조언도 얻었는데 결론은 제 나름데로 하는게 가장 좋은 방법일것 같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우선 제가 세워본 계획은

주택청약 10만원

장기주택마련저축 30만원

3년적금 30만원

1년 적금 20만원

이렇게 은행관련 재테크(대략 90만원)를 생각해 보았구요

 

문제는 보험관련 재태크입니다.

 

보험관련 재태크는 많은 사람들이 나이가 어릴때 빨리 가입하는게 제일 낫다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4월1일자로 오른다고 해서 급한마음에 변액연금 20만원 리빙케어(주보험 5천만원) 18만원 이렇게 두개의 보험에 가입했습니다.

몇일지나고 생각하니 이게 과연 옳은지 걱정이 되더군요

제봉급이 200만원정도 되는데 여기에서 40만원이면 20%정도가 되잖아요~

 

사회초년생으로 재테크를 하는데 이정도 보험료를 지출하는게 과연 옳은것인지?

(연금만 가입하는게 낫다, 종신을 가입하는게 낫다 등등)

 

또한 만약 지불보험료가 많다고 하면 연금과 리빙케어중 어느것을 먼저 가입해야하는지?

 

또 리빙케어 해약하고 저렴한 종신보험 OR 건강보험에 가입하는것이 옳은지?

 

많은 보험상품이 있어서 정리가 안되는데 사회초년생이 재테크겸 미래 안정적 자산을 위한 상품을 추천좀 해주세요~~ ^^

포도에셋이란 회사도 보험영업을 하는 회사인가요?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님께서취업을 고려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말씀드립니다.)그 회사가 보험회사이건 재무컨설팅 회사이건 중요한 것은 그게 아니라 그곳에 속하게 되었을 때 정립해야하는 자기 자신의 정체성일 것입니다. 핵심을 듣고 싶은데 핵심을 말해주지 않거나 피하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지요. 핵심을 말씀드리지요. 그 회사의 수익구조는 보험상품을 팔아 얻는 수수료가 가장 크고 나머지는 재무상담 수수료(건당10만원정도) 입니다. 물론 그 회사의 사모펀드나 회사채를 팔아도 수수료를 얻을 수 있으나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리 크지 않을 겁니다. 님이 그 회사에서 일한다면 매달 정해진 실적을 채우기 위해(실적에 대한 압박이 있습니다.) 매일 상담계약을 얻으러 이리저리 돌아다녀야 하고 상담을 위한 준비(정보수집, 파일작성등)를 수시간 수일에 걸쳐하여야 하고 계약 한 건당 서너번 정도 상담을 하여야 하며 상담 시간이나 거리는 새벽이나 부산, 광주 가리질 않아야 하고 거기서 드는 식대, 교통비,  사무용품비까지 자비로 부담할 수 있어야 할 겁니다. 거의 모든 비용은 자비입니다. 계산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월 200백정도의 수익을 얻으려면 보통 한 달에 4 건의 상담을 하여야 하는데 거기서 기본적으로 30만원정도의 보험상품을 꾸준히 파셔야 합니다. 그렇게 한 달에 200을 벌어도 교통비, 식비, 각종 부대비용을 제하고 나면 순수익은 아주 작아지겠지요.

시간과 돈과 상담 계약을 쉽게 딸 수 있는 인간관계가 넓으신 분이라면 해볼만 하겠지요.

사람마다 마인드가 다르고 바라보는 시각이 다르기에 가타부타 말할 수는 없지만 쉽지 않은 일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뭐가 쉽지 않냐구요? 업으로 해서 돈 벌기가 쉽지 않을 거란 말입니다. 모든 건 자기가 시작해서 자기가 마무리 짓습니다. 회사는 다만 내가 금융상품을 팔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할 뿐입니다. 물론 내가 판 보험상품의 커미션 중 일부는 회사가 가져가지요. 아무튼 궁금증이 풀렸길 빕니다. 하나의 사물에 대해 각자 보는 각도에 따라 다른 말을 하는 사람들이 있겠지요. 저도 그 중 하나이고 판단은 본인이 하는 겁니다. 건투를 빕니다. 굿 데이~~^^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