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형 애플리케이션시장의 전력, 패키지 및 가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히 디자인된 새로운 제로 전력 MAX IIZ CPLD

알테라 코퍼레이션(나스닥: ALTR)은 오늘 알테라의 새로운 제로-전력 MAX IIZ CPLD가 "Portable Design"지에 의해 프로그래머블 로직 분야에서 2008년도 편집장 선정 제품 상을 수상했으며, 또한 Electronic Products China지의 올해의 제품으로도 선정되었다고 발표했다.

Portable Design지의 편집장 선정 제품 상은 첨단 포터블 제품의 디자인을 가능하게 하는 혁신적인 전자 부품을 매년 선정해 시상한다. Electronic Products China의 올해의 제품 상은 기술 또는 디자인 혁신성을 크게 진보시켰거나 경쟁 디바이스보다 월등히 향상된 가격대비 성능을 제공하는 제품에게 수여된다. 최소 5x5mm 크기의 패키지에서 매크로 셀 기반의 경쟁CPLD들 중 최고의 밀도와 가장 많은 I/O 개수를 제공하는 MAX IIZ디바이스는 엔지니어들이 보드 공간을 절약하면서 동시에 소비전력을 더 낮추고, 변화하는 기능적 요구조건들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만든다. MAX IIZ디바이스들은 핸드 세트 및 기타 포터블 애플리케이션에서 유연성, 더 빠른 시장진입 및 보드 수준의 통합이 가능하도록 해준다.

"우리Portable Design지는 매년 책상 위에 가득 쌓인 수천 개의 출시 제품 중 가장 혁신적이라고 생각되는 신제품을 선발한다" 라고 Portable Design지의 존 도노반(John Donovan) 편집장은 말했다. 이어 그는 "이러한 제품들은 핸드폰, MP3플레이어 및 다양한 종류의 소비재 디바이스들을 '멋지게' 만들어 주는 기반 기술이다"라고 덧붙였다.

Electronic Products China의 편집장인 카렌 쿠이(Karen Cui)는 "MAX IIZ 디바이스들은 비휘발성과 전원을 켜면 바로 작동하는 인스턴트-온, 혁신적인 룩-업-테이블(LUT: look-up table) 아키텍처 등을 결합해 전형적인 매크로 셀 기반의 CPLD들이 가진 전력, 크기 및 비용의 한계를 넘어서 스마트 폰, GPS 및 기타 휴대형 애플리케이션들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킨다"라고 말하며, "이러한 혁신적 특징들로 인해 우리로부터 올해의 제품상을 수상한 유일한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가 되었다"라고 밝혔다.

"알테라의 MAX IIZ CPLD는 휴대형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들이 소비전력이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그들의 제품들을 차별화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한다" 라고 알테라의 제품 및 기업 마케팅 담당 수석부사장인 대니 바이란(Danny Biran)은 말했다. 이어 그는 "포터블 애플리케이션 시장에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 점에 대해 업계의 인정을 받고 권위 있는 상들을 수상한 것을 자랑스럽게 여긴다"라고 덧붙였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이현청 상명대 총장 취임

이현청(60) 상명대 신임 총장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캠퍼스 소강당에서 취임식을 갖고 업무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사무총장과 호남대 총장을 지낸 이 총장은 상명대 교수 출신이 아닌 첫 외부 총장이다.

이 총장은 취임사에서 “제2, 제3의 창학을 한다는 정신으로 변화의 시대를 읽고 세계적 대학으로 부상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또 “IT(정보통신) 기반 학문과 학제간 융합적 특화를 통해 아시아권에서 단연 주목받는 교육 수요자 중심의 특성화 대학으로 위상을 제고하는 게 목표”라고 다부진 포부를 밝혔다.

이 총장은 글로벌화와 지식산업화로 대학 환경이 급격히 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대학 강의 수준이나 학생의 경쟁력이 세계적 기준에 따라 표준화하고 있고, 대학이 지식서비스 산업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고객중심으로 저울의 추가 급격히 기울어지고 있다는 뜻이다.

그는 “이처럼 빠른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자 중심의 교육과 강의 수준 강화에 역점을 두겠다”며 “엄격한 교수 평가와 다양한 교수법 개발 등 특단의 교육환경 개선 방안이 뒤따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장은 특히 “연구영역에 있어서도 미래역량 산업분야인 3D(Digital, DNA, Design)를 축으로 선택과 집중 정책을 추진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이를 위해 첨단산업 학문을 집중적으로 육성하고, 국제화에 대비해 다문화 및 다언어 교육에 주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한양대 교육학과 출신인 이 총장은 미국 서던일리노이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뒤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서던일리노이대 부산대 등의 교수를 거쳤다. 임기는 4년이다.

사진 고영권기자 youngkoh@hk.co.kr김진각기자 kimjg@hk.co.kr

ⓒ 인터넷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터넷한국일보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착수를 발표한 전략방어계획이 올해로 25주년을 맞았다. 레이건의 비전을 계승한 부시 대통령이 탄도탄요격미사일제한조약(ABM Treaty) 탈퇴와 전략방어계획의 실전배치를 결정함으로써 세계는 과거보다 더 안전해졌다.

소련의 붕괴에도 불구하고 핵미사일 공격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장기 집권을 노리는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이끄는 러시아는 현재 2945기의 핵탄두와 더불어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인 SS-27 토폴-M을 실전배치해 놓고 있다. 러시아가 현재 개발 중인 RS-24 최신형 미사일은 3개의 탄두를 장착한 가운데 실험을 마쳤는데 최고 6기의 탄두를 운반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푸틴은 폴란드와 체코가 미국의 미사일방어체제용 기지 건설을 받아들일 경우 양국을 미사일로 공격하겠다고 위협한다. 또 우크라이나가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에 가입할 경우에도 공격하겠다고 협박한다.

아시아에서는 대대적인 군비 증강을 추진 중인 중국이 미국의 항공모함을 타격하도록 설계된 신형 탄도미사일과 크루즈미사일, 미 본토를 겨냥한 DF-31A 대륙간탄도탄, 대만 건너편에 배치된 1000기 이상의 단거리미사일로 무장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도 보유 미사일의 사거리를 늘리는 한편 핵무기 보유를 추진하고 있다. 그중에도 주목되는 북한은 핵기술과 미사일을 누구에게나 팔 용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사일방어계획의 가장 큰 가치는 적이 공포전술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핵미사일을 사용하는 것을 저지하는 데 있다. 또 고의나 우연에 의해 실제로 적이 미사일을 발사할 때도 미국을 안전하게 지킨다. 최근 고장을 일으킨 인공위성을 요격한 사례가 보여 주듯이 미사일 요격기술은 다른 여러 가지 유용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지구와 충돌하는 궤도를 따라 접근하는 소행성의 진로를 변경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레이건은 25년 전 미사일방어계획 추진을 발표할 당시 저지력이 효과를 발휘하며 허약한 국방력은 적의 침공을 초래하므로 미국은 강한 군사력으로 평화를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적의 공격 저지 방법을 찾기 위해 미국의 우수한 기술력을 활용하자고 역설했다. 그는 수십 년이 걸릴 수도 있다고 경고하고 “그러나 미국은 목표를 완수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미국의 기술에 대한 레이건의 판단은 정확했다. 당시 초고속 공격 미사일을 요격 미사일로 맞춘다는 개념은 농담으로 취급받았다. 그러나 세계 제일의 미국 기술이 현재 미사일방어계획의 핵심을 이루고 있다. 미사일방어국은 몇 차례 실패 끝에 요격미사일의 시험비행 계획을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2005년 이후 27회의 시험에서 26번 요격에 성공했다. 이는 최신형 무기체제의 실험에서 경이적인 성과다. 현재 24기의 요격미사일이 알래스카와 캘리포니아의 사일로에 배치돼 있고 25기는 태평양을 순항하는 전함에 탑재돼 있는데 앞으로 그 수를 늘리게 된다. 이처럼 성공한 계획을 계속 추진하기 위해서는 세계적인 다층 방어 목표 추진을 위태롭게 하는 어떤 계획 변경도 삼가야 한다.

앞으로 이 계획에 따라 알래스카에 40기, 캘리포니아에 4기, 폴란드에 10기의 요격미사일을 배치하게 된다. 체코에는 레이더 기지를 설치하고 이란 인근 지역에 이동식 레이더를 배치한다. 중국 등이 가하는 위협이 커지는 상황을 감안할 때 더 많은 요격미사일이 필요해질 것이다. 적어도 유럽에 20기, 알래스카에 100기를 배치해야 할 것이다.

이 계획을 현재 배치와 미래 배치로 나누어 추진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중앙집중통제를 강화하자는 의견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계획의 분할은 미래의 실천을 불확실하게 만들 우려가 있고 중앙집중통제 강화는 전체 시스템의 오작동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성공적인 방어체제 구축에 성공한 계획을 지나치게 수정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제임스 T 해킷 美 칼럼니스트

워싱턴 타임스·정리=오성환 외신전문위원

Missile defense at 25

By James T. Hackett


It is fitting that the 25th anniversary of Ronald Reagan's announcement of the Strategic Defense Initiative is on Easter Sunday, a day synonymous with peace. As a result of Reagan's vision, and President Bush's determination in withdrawing from the ABM treaty and fielding defenses, this Easter the world is a safer place.

Despit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the danger of nuclear-armed missiles is still with us. Russia under permanent ruler Vladimir Putin still has 2,945 deployed nuclear warheads and is fielding new SS-27 Topol-M intercontinental missiles (ICBMs). And Moscow is developing a new version known as the RS-24, which has been tested with three warheads but is expected to carry as many as six.

Mr. Putin threatens to target missiles on Poland and the Czech Republic if they host U.S. missile defenses, and on Ukraine if it joins NATO. And in Asia, China is engaged in a massive military buildup, with new ballistic and cruise missiles designed to strike U.S. aircraft carriers, new DF-31A ICBMs aimed at the United States, and more than 1,000 short-range missiles opposite Taiwan.

Other countries are developing longer-range missiles while seeking nuclear weapons, notably North Korea's oddball regime, which seems willing to sell nuclear technology as well as missiles to anyone, and the mullahs in Iran. Then there is Pakistan, which already has an arsenal of nuclear warheads and missiles to carry them. Pakistan is an ally today, but al Qaeda wants to seize power and control the "Muslim bomb."

The main value of missile defense is to deter opponents from using nuclear missiles to intimidate and achieve their goals through fear. Defenses also provide security in the event of an actual missile launch by design or accident. And as the recent shoot-down of a falling satellite showed, missile interceptors can be used for other useful purposes, including deflecting asteroids on a collision course with Earth.

The missile defense program has come a long way since Reagan's speech 25 years ago today when he said deterrence works, weakness invites aggression, and we maintain peace through strength. He urged use of our technological strength to find a way to deter attack. It may take decades, he warned, "but I believe we can do it."

He was right about American technology. The idea of striking a very fast missile with a fast interceptor was considered a joke by many at the time. But that technology, unmatched by any other country, is now the key element of our missile defenses. After several test failures, the Missile Defense Agency (MDA) has done a remarkable job of improving the program to conduct successful flight tests.

Since 2005, there have been 26 intercepts in 27 tests, an amazing record for a new weapon system. Today there are 24 interceptors in silos in Alaska and California protecting the United States, and 25 on ships in the Pacific, with more on the way. It is important to keep this successful program on track and not make changes that might jeopardize progress toward deployment of a global layered defense.

As Vice President Richard Cheney said at a recent Heritage Foundation dinner, the talk about which presidential candidate would be best to take a call at 3 a.m. reminds us that no president should ever be told that a missile is coming toward the United States and there is no way to stop it. Missile defense can stop it.

The plan is to base 40 interceptors in Alaska, four in California and 10 in Poland, a radar in the Czech Republic and a mobile radar closer to Iran. But as the threat grows, more interceptors will be needed, at least 20 in Europe and up to 100 in Alaska, given the growing threat from China.

There is some discussion of breaking up the missile defense program to separate sustaining current deployments from future development. It is natural for MDA to want to turn operational activities over to the services and concentrate on research and development. But that could lead to future budget cuts as research projects fail and the services meet their immediate needs by reducing missile defense funds.

Another issue involves moving toward a very centralized command-and-control system, which could increase the risk of systemwide failure. It is important not to tinker too much with the program that has been highly successful in producing the defenses protecting the nation today. It is up to the White House and defense secretary to keep this effort on track, finish negotiations for the bases in Europe this year, and preserve the legacy of Ronald Reagan and George W. Bush.

James T. Hackett is a contributing writer to The Washington Times based in Carlsbad, Calif.

deploy:배치하다 nwe version:최신형 intercontinental:대륙 사이의

ⓒ 세계일보&세계닷컴(www.segye.com),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세계닷컴은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ee Hyun-chong By Kang Shin-who

Staff Reporter

Sangmyung University's new president Lee Hyun-chong, 60, said he will take steps toward globalization of the university.

``We should put top priority on global education of liberal arts,’’ he said at his inauguration ceremony at the school’s campus in Seoul, Tuesday.

Lee also said the school will put a greater focus on 3D industry fields ― digital, DNA and design.

Among the participants in the ceremony were Lee Se-ung,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Red Cross and Lee Kyung-sook, president of Sookmyung Women’s University.

Lee was named the eighth president of the university earlier this month, succeeding Seo Myung-duk. He will take the helm of the school over the next four years.

Lee served as president of Hoseo University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Graduated from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Lee has lectured at the university and Pusan National University. He also served as secretary-general of Korean Council for University Education and worked for the Education Ministry and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organizations.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2008 밀라노 가구박람회」 한국디자인展 개최

지식경제부가 후원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과 디자인하우스가 주최하는 '한국디자인전'이 밀라노에서 열린다.('08.4.16∼21, 밀라노 LUISA BECCARIA)

50개국 2,500여 업체가 참가하고 27만 관람객이 찾는 세계 최대 규모의 디자인 전시회인 '2008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 맞춰 한국의 우수 디자인이 선보이는 것이다.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는 가구와 인테리어 뿐만 아니라 생활소품 등 디자인 전반을 아우르고 있으며, 전통과 현대, 신기술과 감성의 조화를 통해 세계 디자인 트렌드를 선도하는 전시로 인정받고 있다.

'한국 디자인전'은 전시·프레스 컨퍼런스·리셉션으로 구성되며, "Designer's HAND(한국의 손·멋)"을 주제로 한 전시는 지식경제부 선정 '차세대 디자인리더'를 비롯한 유망 디자이너의 작품과 전주 한지를 활용한 공예 디자인, Design Korea 홍보관 등을 통해 한국의 우수 디자인과 디자인정책을 소개하게 된다.

프레스 컨퍼런스(4.17)에는 이탈리아의 유명 디자인잡지 인테르니(INTERNI)와 디자인포털 디자인붐(designboom.com) 및 영국의 아이콘(ICON) 등 해외 유력 언론사를 초청해 한국 디자인을 세계 무대에 홍보하고, 리셉션에는 국내외 디자인 인사, 언론, 관련 업계 종사자 등 약 200여명이 참가하는 가운데 세계적인 디자인 거장 알레산드로 멘디니, 건축디자이너 로베르토 셈프리니 등도 참석하여 자리를 빛낼 예정이다.

지식경제부는 금번 밀라노 한국 디자인전이 민간 디자인업체와 공공기관이 협력해 해외 유명 디자인전시회에 참가하는 최초 사례로, 디자인의 본고장 이탈리아에서 한국 디자인의 위상을 드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특히 유럽의 선진 디자인 시장에 상품판매, 디자인 프로젝트 수주 등을 통해 약 100만달러 이상의 실적을 올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지식경제부는 금번 밀라노 '한국디자인전' 개최를 계기로 향후 英 100% Design展 등 해외 유명 디자인전시회에 한국의 우수 디자이너와 기업의 참가지원을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며, 아울러 디자인산업 해외진출 지원 네트워크 구축, 해외 유명 디자인 어워드 수상지원, 디자인 시장개척단 파견 등을 통해 국가브랜드 제고 및 디자인의 수출산업화를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25mg hydrochlorothiazide) Approved by EU Commission

(INGELHEIM, April 15 AsiaNet=연합뉴스)

- For Medical Media, Outside the US only

Boehringer Ingelheim today announced that the European Commission has

granted marketing authorisation of the new powerful strength of their fixed

dose combination antihypertensive drug MicardisPlus(R) 80/25 in all 27 EU

member states. It will be launched in Germany and Denmark in the coming weeks,

followed soon by Ireland, the United Kingdom and the rest of EU, and when

approved also in other countries around the world.

The product is licensed for the treat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in

patients whose blood pressure is not adequately controlled on MicardisPlus(R)

80/12.5 (80 mg telmisartan/12.5 mg hydrochlorothiazide) or patients who have

been previously stabilized on telmisartan and hydrochlorothiazide separately at

the same dosages (1),(2).

The new strength will be marketed by Boehringer Ingelheim in all 27

countries of the European Union under the brand name MicardisPlus(R) 80/25 Its

co-marketing partners will market the new drug in selected countries under

their own brands.

"The approval of MicardisPlus(R) 80/25 provides physicians with a powerful

new drug for patients with difficult to treat essential hypertension", said Dr

Andreas Barner, Member of the Board of Boehringer Ingelheim and responsible for

Research, Development and Medicine.

European approval of MicardisPlus(R) 80/25 follows the submission of

efficacy and safety data from 12 clinical trials performed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The core clinical development programme

consisted of two consecutive trial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fixed dose combination 80 mg telmisartan/25 mg hydrochlorothiazide

(T80/H25) versus 80 mg telmisartan/12.5 mg hydrochlorothiazide (T80/H12.5)(2).

971 patients, who were inadequately controlled for their blood pressure (BP) on

existing antihypertensive treatment, were enrolled in the programme. Treatment

with T80/H25 provided superior diastolic and systolic blood pressure lowering

power(x) after 8 weeks of treatment(1) compared to T80/H12.5. In the

consecutive follow up trial 639 patients (633 patients evaluated for efficacy)

were treated with the T80/H25 for further 6 months. At the end of this

treatment interval the proportion of patients achieving DBP control had

increased from 52.4% to 71.4% (2).

No clin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adverse event profiles of

T80/H25 and T80/H12.5 were detected. No specific increased incidence was

identified for all adverse events. No additional specific safety issues have

been identified (1,2). Other studies considered by the EMEA showed clearly

superior clinical benefits for a T80/H25-based treatment compared with 160 mg

valsartan /25 mg hydrochlorothiazide, the market leading ARBs high strength

combination (3).

Landmark trial onTARGET(R) proves cardio & vascular protective effects

of telmisartan

Boehringer Ingelheim continues to explore new strategies to improve

cardiovascular therapy: The results of onTARGET(R) (The ongoing Telmisarta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amipril Global Endpoint Trial) with 25,620

patients have recently proven that telmisartan is as protective as the current

gold standard, ramipril, in reducing the risk of cardiovascular death,

myocardial infarction, stroke and hospitalisation for congestive heart failure

in a broad cross section of high-risk cardiovascular patients (4). With 25,620

high-risk patients followed up for up to 6 years onTARGET(R) was the largest

ARB outcome trial ever. "The onTARGET(R)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We now have a new

treatment option for high-risk patients which is effective and better

tolerated," comments Professor Salim Yusuf, lead investigator of the

ONTARGET(R) Trial Programme and Director of the Population Health Research

Institute at McMaster University, Hamilton, Canada.

Evidence for renal protective effects of telmisartan

Further evidence of the exceptional properties of telmisartan has already

been seen in previous trials. In 2007, the AMADEO(R) trial showed that

telmisartan achieved significantly greater reduction in proteinuria compared

with the ARB losartan beyond blood pressure reduction effects, demonstrating

the potential for renal protection with telmisartan in diabetic patients (5).

Proven powerful antihypertensive efficacy

In addition, in 2006 the PRISMA(TM) trials in hypertensive patients

demonstrated that telmisartan achieved more powerful blood pressure reductions

over the full 24-hour period compared with the ACE-inhibitor ramipril (6),(7).

Please be advised

This release is from Boehringer Ingelheim Corporate Headquarters in

Germany. Please be aware that there may be nation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regarding specific medical information, including licensed uses.

Please take account of this when referring to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document. This press release is not intended for distribution within the U.S.A.

About telmisartan (Micardis(R)/Kinzal(R)/Pritor(R))

Telmisartan is a modern member of the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 (ARB)

class and is being investigated in the most ambitious and far-reaching research

programme conducted with an ARB. In the clinical trial programmes onTARGET(R),

PROTECTION(R) and PRoFESS(R), over 58,000 patients have been enrolled to

investigate the cardiovascular protective effects of telmisartan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www.news-landmarktrials.com).

Telmisartan was discovered and developed by Boehringer Ingelheim. Under the

trademarks MICARDIS(R) and MICARDISPLUS(R) (combination with

hydrochlorothiazide) the company markets telmisartan in 84 countries around the

world, including the USA, Japan and European countries. Telmisartan is marketed

in cooperation with Astellas Pharma Inc. in Japan, Bayer HealthCare in Europe

and GlaxoSmithKline in selected markets.

Astellas Pharma Inc. co-promotes telmisartan under the trademark

MICARDIS(R), Bayer HealthCare promotes telmisartan under the brand names

Kinzalmono(R), Kinzalkomb(R) (combination with hydrochlorothiazide), and

Pritor(R) and PritorPlus(R) (combination with hydrochlorothiazide) in markets

across Europe. Pritor(R) and PritorPlus(R) is also marketed by GlaxoSmithKline

in selected markets.

About onTARGET(R)

The onTARGET(R) Trial Programme consists of two randomised, double-blind,

multicentre international trials: the principle trial, onTARGET(R) which has

reported its results on 31 March 2008, and a parallel trial TRANSCEND(R)

(Telmisartan Randomized AssessmeNt Study in ACE-I INtolerant subjec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which is planned to be reported later in the year (3).

The treatment arms for the onTARGET(R) Trial were telmisartan 80mg,

ramipril 10mg, and combination therapy with telmisartan 80mg and ramipril 10mg.

In the TRANSCEND(R) trial the treatment arms are telmisartan 80mg or placebo -

both on top of standard blood pressure care, not including an ACE or another

ARB (3).

Patients enrolled in The onTARGET(R) Trial Programme were aged greater than

or equal to 55 years, had a history of coronary artery disease, stroke or

recent (> 7 days, < 1 year) transient ischaemic attack, peripheral vascular

disease, or diabetes mellitus with target-organ damage such as

microalbuminuria, ankle-brachial index < 0.8, or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8).

The onTARGET(R) Trial had a four-fold composite endpoint:

-- cardiovascular death,

-- myocardial infarction,

-- stroke, and

-- hospitalisation for heart failure.

Patients intolerant to ACEs were not eligible for the onTARGET(R) study.

Intolerance to ACE was a requirement for enrolment into TRANSCEND(R).

The sponsor of the onTARGET(R) Trial Programme is Boehringer Ingelheim;

co-funders in selected countries are Bayer HealthCare and GlaxoSmithKline.

Boehringer Ingelheim

The Boehringer Ingelheim group is one of the world's 20 leading

pharmaceutical companies. Headquartered in Ingelheim, Germany, it operates

globally with 135 affiliates in 47 countries and 39,800 employees. Since it was

founded in 1885, the family-owned company has been committed to researching,

developing, manufacturing and marketing novel products of high therapeutic

value for human and veterinary medicine.

In 2007, Boehringer Ingelheim posted net sales of 10.9 billion euro while

spending one fifth of net sales in its largest business segment Prescription

Medicine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more information please visit http://www.boehringer-ingelheim.com

References

(x) -1.6 mmHg, 95% CI from -2.5 to -0.6 mmHg (p=0.0012)) and -2.7 mmHg,

95% CI from -4.2 to -1.2 mmHg (p=0.0003) respectively

(1) Trials.Boehringer-Ingelheim.com. Boehringer Ingelheim Trial Number

502.480

(2) Trials.Boehringer-Ingelheim.com. Boehringer Ingelheim Trial Number

502.491

(3) White WB, Murwin D, Chrysant SG, Koval SE, Davidai G, Guthrie R. Blood

Press Monit. 2008 Feb;13(1):21-27

(4) The onTARGET Investigators. Telmisartan, ramipril, or both in patients

at high risk for vascular events. N Eng J Med. Published online

31 Mar 2008

(5) Bakris G, et al. Influence of glycemic control on proteinuria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nd overt nephropathy and hypertension:

results of the AMADEO trial. 67th Sci Sess of the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ADA), Chicago, 22 - 26 Jun 2007 (Poster) 2007.

(6) Williams B, et al. The prospective, randomised investigation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telmisartan versus ramipril usin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PRISMAI). J Hypertens 2006; 24:193-200.

(7) Lacourciere Y, et al. A multicenter, 14-weeks study of telmisartan and

ramipril in patients with mild to moderate hypertension using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Am J Hypertens 2006; 19:104-12

(8) The onTARGET/TRANSCEND Investigators. Rationale, design, and baseline

characteristics of 2 large , simple, randomized trials evaluating

telmisartan, ramipril, and their combination in high-risk patients:

The ongoing Telmisartan Alone and in combination with Ramipril Global

Endpoint Trial/Telmisartan Randomized AssessmeNt Study in ACE

iNtolerant subjec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ONTARGET/TRANSCEND)

trials Am Heart J 2004; 148(1):52-61.

SOURCE: Boehringer Ingelheim GmbH

CONTACT: Dr. Reinhard Malin of CD Communications

for Boehringer Ingelheim GmbH,

+49-6132-77-90815,

Fax: +49-6132-77-66-01,

press@boehringer-ingelheim.com

(끝)

주소창에 '속보'치고 연합뉴스 속보 바로 확인

<연합뉴스 긴급속보를 SMS로! SKT 사용자는 무료 체험!>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웅진코웨이의 '코웨이'는 정수기 브랜드인 동시에 기업 CI(Corporation Identity)다.

이 회사는 '코웨이'라는 브랜드를 탄탄하게 키우는 방법으로 '그림자 보증 전략(endorser brand strategy)'을 추구해왔다.

코웨이가 붙은 상품은 품질을 믿을 수 있다는 암시를 주는 것이다.

코웨이는 '모두·함께'라는 뜻의 접두어 'co'와 '길'이라는 뜻의 'way'를 합성한 것이다.

회사와 소비자를 공동체로 보고 공동의 만족을 지향한다.

웅진코웨이는 1989년 출시부터 18년간 정수기 업계에서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다.

2007년 갤럽 조사에 따르면 국내 정수기 사용자의 55.7%가 웅진코웨이 정수기를 쓴다.

웅진코웨이의 높은 시장점유율에는 '렌탈 마케팅'이 주효했다.

렌탈 마케팅은 경제가 불황이던 1998년 업계 최초로 도입됐다.

100만원이 넘는 정수기를 선뜻 살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다고 판단,일정 기간 빌려줬다.

또 '코디'서비스를 도입했다.

정수기의 제품 특성상 정기적인 점검과 필터 교환이 필수적이라는 데 착안했다.

때가 되면 회사 측에서 소비자에게 먼저 연락한다.

직접 소비자를 방문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정착시켜 소비자들의 호응이 좋다.

국내 정수기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회사 측은 해외 시장 개척에 공을 들이고 있다.

웅진코웨이는 현재 해외에 5개 법인을 두고 판로 개척에 힘을 쏟고 있다.

각 지역에 따라 현지 특성에 맞는 제품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다.

디자인 경쟁력도 확보했다.

기술력을 집약시킨 '디자인 혁신'을 지향한다.

웅진코웨이 제품(CHP-06DL)은 지난해 3월 독일의 '레드닷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s)'의 디자인 부문 상을 받았다.

ⓒ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국온라인신문협회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LIG건영이 건설하는 고품격 단독주택 '더 게이트힐즈 성북'이 미국 건축가협회(AIA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가 선정한 우수 설계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LIG건영은 미국 예일대 건축가 교수인 조엘 샌더슨(Joel sanders)에게 설계를 의뢰한'더 게이트 힐즈 성북'이'2008 AIA Design Award 프로젝트 부문'우수상을 차지했다고 밝혔다.

'AIA Design Award'는 미국건축가협회가 매년 가장 혁신적이고 예술적인도시 건축물을 선정하여 시상하는 건축 디자인상으로, 건축 분야의 가장 권위있는 교수들이 심사에 참여하는 영예로운 상으로 알려져 있다.


금년도에는 미국 캔사스에 건설되는 스티븐 홀의 넬슨아킨스 미술관을 비롯하여 세계 북극 맘모스 박물관, 뉴욕 타임즈 빌딩 등이 부분별 대상으로 선정되었으며, '더 게이트힐즈 성북'(Seongbukdong Residences. Seoul, Korea)은 우수상을 차지하며 세계 유수의 건축물들과 어깨를 나란히하는 기쁨을 누렸다.

수상작들은 금년 5월부터 7월까지 두달간 뉴욕 건축센터에 전시될 예정이다

'더 게이트힐즈 성북'의 설계를 맡은 조엘 샌더슨(Joel sanders)은 미국예일대 건축과 교수로 공간 재해석을 통한 인간의 생활가치를 중시하는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뉴욕 스탠튼섬의 올림픽 승마 경기장, 뉴욕 메트로폴리탄 타워 등이 꼽힌다.

이번 '2008 AIA Design Award'에서는'더 게이트 힐즈 성북'의 프로젝트 부문 우수상과 더불어 인테리어 부문에서'예일대 미술관의 미디어 라운지'가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성북동'게이트힐즈'는 한국적 미학과 서구 건축과학의 절묘한 조화를 통해 새로운 주거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게이트 커뮤니티 개념을 도입, 최고의 라이프 스타일을 향유 할 수 있는 독특한 공간구성을 선보였다.

게이트커뮤니티는 북미 및 유럽의 최고급 주거형태로 일반 타운하우스와는 달리 독립세대의 프라이버시를 최대한 확보하면서도 단지 내부로 통하는 출입구를 철저하게 통제하는 통합 보안시스템을 갖추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북동 '게이트힐즈'는 지하 1층∼지상 2층 규모 12가구가 534∼601㎡(161∼181평) 5개 평형타입으로 공급 될 예정이다.

시공을 맡은 LIG건영 관계자는 "세계적인 건축가의 손길이 닿은 작품인 만큼 설계 의도를 완벽하게 반영하여, 세계적인 수준의 신개념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전시명칭: PRIVIA AVENUE(부제 Design your lifestyle)

전시기간: 2008년 4월 11일(금)∼6월 8일(일)

전시장소: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 제 3전시실


전시주최: 현대카드 프리비아, 예술의전당

현대여성의 개성 넘치는 라이프스타일 및 최신 트렌드 조명

HOLYDAY/LIVING/LIBRARY/DINING/HOMEBAR 등 5개의 테마공간 마련

100여 종의 뉴욕현대미술관(MoMA) 디자인 아이템 전시, 입장료 무료


현대카드(대표 정태영, www.hyundaicard.com)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프리비아(PRIVIA)는 6월 8일까지 예술의전당 디자인미술관 제3전시실에서 'PRIVIA AVENUE' 전시회를 연다.

'Design your lifestyle'을 부제로 개최되는 이번 전시회는 재충전(REFRESH), 휴식(RELAX),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등 현대인을 대표하는 키워드를 5개(HOLYDAY/LIVING/LIBRARY/DINING/HOMEBAR)의 테마공간에 투영하여, 현대여성의 개성 넘치는 라이프스타일을 집중 조명한다.

또한, 현대카드와 국내 독점계약을 맺고 있는 뉴욕현대미술관(MoMA, The Museum of Modern Art)의 디자인 아이템 100여 종이 함께 전시되어, 일상에서 쉽게 접하게 되는 생활 아이템의 최신 트렌트도 경험할 수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현대카드만의 독창적인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고, 이들의 다양한 니즈에 부응하고자 이번 행사를 기획하게 됐다"고 말했다.

현대카드는 이번 전시회 외에도, 지난해 10월 서울 북촌지역의 17개 화랑 및 갤러리에서 열린 'Platform Seoul 2007'과, 12월 '20세기 디자인 혁명 베르너 팬톤전' 협찬 등을 통해 예술산업 및 문화마케팅 활성화에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카드 프리비아와 예술의전당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PRIVIA AVENUE' 전시회는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끝)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 서울 성북구 성북동 '더 게이트힐즈 성북'

[이데일리 박성호기자] LIG건영의 고급 단독주택 '더 게이트힐즈 성북'이 미국 건축가협회(AIA·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가 선정하는 우수 설계 디자인상을 수상했다.

LIG건영은 서울 성북구 성북동에 분양 예정인 '더 게이트힐즈 성북'이 '2008 AIA Design Award' 프로젝트 부문 우수상을 차지했다고 14일 밝혔다.

'더 게이트힐즈 성북'은 미국 예일대 건축과 교수인 조엘 샌더슨(Joel Sanderson)이 설계를 맡았으며 한국적 미학과 서구적 건축과학이 절묘하게 조화됐다는 평가를 받았다.

AIA 디자인상은 미국건축가협회가 가장 혁신적이고 예술적인 도시 건축물을 선정해 시상하는 건축디자인상으로 건축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교수들이 심사에 참여하고 있다.

올해에는 프로젝트부문 우수작으로 성북동 '게이트힐즈'를 비롯 미국 캔사스 스티븐 홀의 넬슨아킨스 미술관, 세계 북극 맘모스 박물관, 뉴욕타임즈 빌딩이 부문별 대상으로 선정됐으며 인테리어 부문에서는 예일대 미술관의 미디어 라운지가 우수상으로 선정됐다.

'더 게이트힐즈 성북'은 지하1층-지상2층 규모로 12가구(534-601㎡), 5개 주택형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 LIG건영의 '더 게이트힐즈 성북'


<저작권자ⓒ이데일리 - 1등 경제정보 멀티미디어 http://www.edaily.co.kr>
<안방에서 만나는 가장 빠른 경제뉴스ㆍ돈이 되는 재테크정보 - 이데일리TV>


박성호 (juntark@)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