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 이론에서 문제는 3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① 문제가 뭔지 모르는 것이 문제 

② 문제를 못 푸는 것이 문제

 ③ 문제도 알고 푸는 법도 알지만 실행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


이 세 가지입니다. 

많은 문제속에서 살아가지만 이 글을 보시는 모든 분들이 문제를 면밀하게 검토하셔서

올해는 더 현명하신 분이 되시기를 축원합니다


안개가 우리에게 주는 숨은 메시지


( 출처: http://mephisto9.tistory.com/66 )


앞을 볼 수 없는 안개

나아가기 힘든 거친 빗줄기는 

자연에 주는 범접할 수 없는 벽이지만

미래에 더욱 단단해지고 역량이 높아질 수 있는 계기로 만들어줍니다.


지금 순간, 과거도 미래도 중요하지 않습니다.

오직 현재속에서

당당하게 빗속을

걸어 나아가는

용감한 하루를

보내시기를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힘내십시요~! 


-2011.10.14 Geni -




내가 하고 싶은 것을 찾는 방법


  취직이나 이직을 생각할 때, 누구나 부딪치는 벽이 ‘내가 하고 싶은 일은 무엇인가?’라는 커다란 물음일 것이다. 완벽한 답은 없다. 그러나 잠시 멈추어 서서 현시점의 자신을 응시해보자. 당신이 가야 할 최선의 길이 보일 것이다.
 
1. 생활을 위한 시간과 정말 하고 싶은 것을 위한 시간을 갖는다.
     정말 하고 싶은 일을 할 때도 매일 해야 하는 일을 계속하자.

 
2. 주위 사람들의 의견을 듣는다.
    당신을 알고 있는 사람들에게 당신이 어떤 일이나 직업을 원하는 것 같아 보이는지 물어보자. 그 
결과에 대해 평가를 내리거나 비판하지 말고 순수하게 받아들인 후 공통점을 찾도록 하자.

 
3. 자신에 대해 생각해본다.
    근무 도중이나 산책하는 중에 혼자 찬찬히 생각할 수 있는 ‘창조적 시간’을 가지고 내가 대여섯 살 때
어떤 사람이었는지 생각해보자. 그 당시의 내가 진정한 자신이다. 무엇을 했는가와 같은 행동이 아니라
그 당시의 내가 어떠했는가와 같은 내면에 초점을 맞출 것.

 
4. 당신에게 소중한 것은 무엇인가?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을 때까지 계속 생각한다. 그 때 떠오르는 것이 당신에게 가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는 ‘그 가치를 소중히 하면서 할 수 있는 일은 무엇인가?’를 생각하자.
 


5. 찬스를 놓치고 있지는 않는가?
    지금 하고 있는 일 외에 당신의 재능을 발휘할 수 있는 일은 없을까, 자신의 재능을 과소평가하고 
있지는 않은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자.

 

6. ‘잘나가는 자신’을 상상한다.
    오감을 이용하여 열정을 가지고 살아가는 모습을 상상해보고 자신의 느낌을 행동으로 표현해본다. 
그것이 느껴질 때까지 열정적으로 살아가는 흉내를 내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


7. 시간을 잊을 정도로 무언가에 몰두한 경험이 있는가?
    그 때 누구와 함께였는가? 이것을 생각하면 당신의 재능이 어디에 있는지, 그 재능이 누구를 위한 
것인지를 찾는 데 도움이 된다.
 

8. 원하는 결과의 이미지를 머릿속으로 생각해본다.
   그리고 거기에서부터 지금 현재의 자신으로 거슬러 올라와보자. 꿈을 실현시키기 위한 행동 계획이
세워질 것이다.
 
9. 새롭게 찾은 꿈의 실현을 위해 계획을 세운다.
    지금 내가 있는 곳은 다음 단계로 나가기 위해 필요한 과정이라고 납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의 상황에 불만이 쌓이면 마이너스 파워가 생겨나 커다란 부담이 된다.

 
10. 시간과 금전적인 면에서 어려운 상황에 자신을 몰아 넣는다.
    큰 성공을 거둔 사람들은 당신의 꿈은 실현 불가능하다고 말하는 우주의 질서조차 뒤집어버린 사람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