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가 좋아야(지능) 창의력이 우수하다는 생각
주변의 환경에 대해 민감한 관심을 보이고 이를 통해 새로운 탐색영역을 넓히려는 특성이다. 다른 사람들이 잘 깨닫지 못한 사안에 대해 문제를 생각해 내는 능력이다.
• 지능은 어느 정도까지는 창의성과 상관이 있으나(창의성의 식역이론), IQ 가 120이상되면 상관이 없음.
• 창의성은 단일한 특성보다는 지식, 사고기술, 동기, 인성, 환경 등 중 다요인들이 복합체로 보아야 함.

창의성은 유전적, 선천적으로 타고나는 소수인의 특성
• 특별한 인물의 경우는 있으나, 창의성은 후천적 경험으로 누구나 지닐 수 있는 특성
- '나는 얼마나 창의적인가'에서 '나는 어떻게 창의적인가?'로 변화
• 교육을 통해 신장/개발/계획 할 수 있음

별난행동, 남과 다른 튀는 행동
• 이상한 용모, 옷차림, 언행이 창의적인 것은 아님
• 유용해야 하고 팀웍(teamwork) 증시해야 창의적임

창의성은 특별한 영역이나 업무에 필요한 특성
우리가 하는 모든 일을 보다 창의적으로 할 수 있음

반발 비판 파괴 무질서는 곧 창의성
• 사사건건 반대, 물고 늘어지고, 남의 아이디어(idea) 무시가 창의성 아님
• 하던대로 만족하지 않고 '더 낫게 할 수 없는지에 대한 탐색

창의성은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육성될 수 있다는 신념
•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들이 모두 창의력 육성에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님
- 프로그램 투입 전후비교 연구만 있을 뿐, 집단간 비교연구 거의 없음
- '무엇'을 창의력 육성효과로 보느냐에 따라 신념의 정도는 달라짐
• 교육과정의 충실한 운영과 교수 o 학습과정을 통한 창의성 신장 중시

단기적 훈련으로 창의력 개발
• 인간교육과 마찬가지로 창의성 교육은 단기적 훈련이나 지도로 불가능
• 환경조성, 교육, 사회적 분위기 등을 통한 장기적 습득

창의력은 무에서 유를 창조하는 활동
• 기존의 것을 개선, 보완, 결합이 창의력임

영재교육과 창의성교육은 같은 것이라는 생각
• 영재교육 : 소수 뛰어난 학생 대상. 특별프로그램 필요
영재교육 : 소수 뛰어난 학생 대상. 특별프로그램 필요
• 창의성 교육 : 모든 학생 대상. 수업방법 개선.
-창의성 : 지식+사고기술+동기+인성
 
현상이나 문제를 '당연한' 것으로 수용하는 태도
• 제시된 문제는 항상 옳거나 진실일 것이라는 생각 버리기
-교육과정의 내용, 교과서 삽화는 항상 옳은 것인가?
• '왜' 이것이 문제인가?, 다른 가능성은 없는가? 생각해야 함

관행과 관습, 혹은 전통과 습관의 지배에 익숙해지는 경향
• 상관이나 전임자의 방법, 관행을 바꾸려는 자세나 생각이 창의성
• '하던대로의 방식'에 조건화(conditioning)되지 않기

한 개의 대안, 정답으로 만족해버리는 단순주의 행동
• 적당한 해결이나 단답형 해결 만족은 창의성 저해
• 여러 가지 대안이나 가능성 탐색

변화와 실패의 두려움에 대한 저자세
• 변화로 인한 기득권 상실 우려로 현실 안주-삶아진 개구리의 비극
• 실패 회피 심리가 아닌 실패 수용 심리 갖기

원만하고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는 강박관념
• 내가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기
• '원만한 사람'보다 '개성있는 사람'의 시대

 

<출처:창의넷>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