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ponsibilities – Self Direction 책임, 자기 연출
Every day we receive a cheque for 86,400. Unfortunately it’s not Euros or Dollars or even Rupees! It’s seconds in a day. We each receive exactly the same amount. In the world we call ‘work’ we often equate money with time when we say ‘time is money’. And for the money that we earn we usually have clear goals that define where and when we will spend it e.g. the house, the car, the holiday etc. But do we have clear aims/goals that will define how we will ‘spend’ our time? It seems few of us have precise, written goals that will focus the time of our life. This is almost always due to the absence of two things; a clear sense of purpose and an accurate awareness of our core values. If we set goals in life that are not aligned to our sense of purpose or to what we deeply care about, we will not be motivated (moved) to sustain the focus of our time and energy towards the achievement of our aims/goals. When our aims/goals are not connected to our heart, where our deepest values are found, we will be easily distracted, frequently disheartened and eventually disillusioned about the value of a goal!
날마다 우리는 86,400이라는 숫자가 찍힌 수표를 한 장씩 받는다. 이 수표는 유로도 아니고, 달러도 아니고, 루피도 아니다. 하루라는 시간을 초 단위로 표시한 숫자다. 누구나 다 똑같은 액수를 받는다. 보통 “직업” 사회에서는 “시간이 돈” 이라면서 종종 시간과 돈을 동일시한다. 또한 우리는 번 돈을 어디에 언제 쓸 것인지 집, 자동차, 휴가처럼 대개의 경우 명확한 목표를 세운다. 그렇다면 우리는 시간을 어떻게 “쓸” 것인지 목적이나 목표를 뚜렷이 정의하는가? 인생의 시간을 어디에 초점을 맞추어 쓸 것인지 정확하게 글로 적어서 정의하는 사람은 별로 없는 듯하다. 이렇게 되는 이유는 항상 두 가지인데, 명료한 목적의식의 결여, 그리고 우리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인식의 결여 때문이다. 우리가 세운 인생 목표가 우리의 목적의식 혹은 우리가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그 목적/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우리의 시간과 에너지를 집중할 동기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의 목적/목표가 진심과 연결되지 않은 것이면, 가장 깊은 우리들의 근본 가치와 괴리되므로 우리의 관심이 쉽사리 분산되고, 자주 낙담하며, 결국은 목표의 가치에 대해 환멸마저 느낄 것이다.
For some, a lifetime spent in this way seems and feels OK. .most of the time! Only occasionally are they momentarily distracted by the voice of “Why am I really here, what am I really here to do?” As time passes however, those voices can also grow a little louder and a new question is often born. “Is this all there is?” And for some there is a growing awareness that their purpose and values are not what they thought and definitely not what they were taught. But the reason is not obvious, until it becomes … obvious!
평생 그렇게 살아도 괜찮다고 여기며 아무렇지도 않게 느끼는 사람도 일부 있을 것이다, 대부분은. 다만 어쩌다 간혹 “내가 여기 정말 왜 와 있는 거지, 내가 정말 뭘 하러 여기 온 것이지?” 라는 목소리에 순간적으로 마음이 끌릴 것이다. 그렇지만 세월이 흐르면서 그 목소리가 좀더 커지고 종종 새로운 의문도 생긴다. “정말 이게 다일까?” 자신들의 목적과 가치가 자기들이 생각한 것과 다르며, 배운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점점 더 분명하게 인식하게 되는 사람도 일부 있다. 그러나 왜 그런지 이유는 분명하지 않다, 그것이 분명해질 때까지는 말이다.
If you identify your self as a fireman then your purpose for a large part of your day/life will be putting out fires until you realise that is not a life purpose it’s just a job. If you identify your self as a businessperson your sense of purpose in life will arise around ‘doing business’ with others until you realise that it’s not a purpose, it’s just a role you play. If you identify your self as a scientist then you may come to see you life purpose in terms of ‘doing science’ until you realise it’s not a purpose, it might be a vocation, but it’s not a purpose. A job, role or vocation is neither an identity nor a purpose. It is a common mistake to confuse the three concepts. Hence the reason why there is often great initial enthusiasm for these ‘activities’ but it easily diminishes unless there is the realisation of one thing and action based on that one thing.
만일 당신이 소방수라고 생각한다면 당신의 일상/인생의 대부분은 불을 끄는 일에 할애될 것이다. 어느 날 이것은 내 인생의 목적이 아니라 직업이라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는 그럴 것이다. 만약 당신이 자신을 사업가라고 여기면 인생의 목적의식은 남들과 “사업하는 일“을 중심으로 형성된다. 어느 날 그것이 목적이 아닌, 당신이 맡은 역할이라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그럴 것이다. 자신을 과학자라고 생각하면 자기 인생의 목적은 “과학을 하는 것”에 있다고 여기게 될 텐데, 그러다 어느 날 이것은 목적이 아니다, 천직이며 사명일 수는 있지만, 목적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을 것이다. 직업, 역할, 사명은 정체성이나 목적이 아니다. 이 세 가지 개념을 혼동하는 실수는 왕왕 일어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활동” 초기엔 엄청난 열의가 넘치다가 쉽사리 스러져버리는 일이 흔한 것이다. 이것은 물론 한 가지를 깨닫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 행동을 깨닫지 못한 경우에 해당되는 얘기다.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xml:namespace prefix = o />
Take a moment to sit quietly and become aware of your self. Exclude all external stimuli as much as possible for just a moment. Ignore all internal chatter and any emotional waves that may pass through you, and just … notice. Just observe. Become aware. Self-aware. You will notice two things. One is your self, not as an object but as a being that exists. Simply existence. Pure awareness. Nothing more. Notice how every thing and every one in your life comes and goes. But you always remain. Notice how anything that you place after the words ‘I am’ like a dentist, or French, or cheeky, are not what you are. They may describe where you are or what you do but not ‘what’ you are. And you may also notice the primary and natural impulse of the being that you are, is to create a connection with others. It is to generate thoughts and actions with the purpose of connecting to others. This is of course the primary impulse of love. And so you may ‘notice’ that you exist to be, to be what you are, which is a source of love.
잠시 동안 고요히 앉아 당신 자신을 인식해보라. 단 한 순간만이라도 가능한 한 모든 외부적 자극을 제거해 보라. 내면에서 일어나는 수다스러운 잡음들을 무시하고 감정적인 파도가 왔다 가도록 놔두고 그저 보기만 하라. 관찰하라. 인식하라. 자아를 인식하는 것이다. 두 가지를 알아차릴 것이다. 하나는 당신 자신인데 객체로서의 대상이 아니라 현존하는 존재로서의 당신이다. 단순히 존재하는 것이다. 순수한 인식. 그 이상 아무 것도 없다. 당신 인생에서 모든 것과 모든 사람이 어떻게 왔다가 사라졌는지 주목하라. 그러나 당신만은 항상 남았다. 당신이 “나는” 이라는 말 뒤에 붙인 일체의 것이, 예를 들어 나는 치과의사다, 나는 프랑스인이다, 나는 뻔뻔하다 등, 그것들이 당신이 아니라는 사실에 주목하라. 그런 것은 당신의 신분이나 직업을 묘사하는 말일지는 몰라도 “당신”은 아니다. 그리고 당신은 자기가 제일 먼저 자연스럽게 되고 싶은 충동은 남들과의 연결을 만들어내고자 하는 데 있다는 것을 알아차릴 것이다. 거기에서 남들과 연결되려는 목적을 가진 생각과 행동이 나온다. 물론 이것이 사랑의 일차적인 충동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신은 존재하고 진정한 자신이 되는 것은 곧 사랑의 원천이 되는 일이라는 것을 “알아차릴” 수 있다.
'[WriterGeni] > 좋은글&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똑똑해지기 보다는 (좋은 글) (0) | 2009.11.12 |
---|---|
제일 좋은 글.. (0) | 2009.11.12 |
진정한 군렙퍼 - Unlimited 소개(조...좋은 글입니다..) - 2장 (0) | 2009.11.12 |
좋은글 [하이브리드] (0) | 2009.11.12 |
좋은글ㄴ..좋은사진..ㅋ (0) | 2009.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