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3개 신문사가 포털사이트 다음에 대한 뉴스 공급을 7일부터 중단한다.
다음은 "7일부터 자사 뉴스서비스인 미디어다음에서 이들 3개 신문사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6일 공지했다.
다음은 공지를 통해 "미디어다음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3개 신문사로부터 기사 전송 중단 관련 공문을 수령했다"며 "이에 따라 부득이 7일부터 미디어다음 내에서 이들 3개 언론매체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음측은 뉴스 공급이 중단될 매체는 "조선일보, 위클리조선, 중앙일보, 동아일보, 주간동아, 여성동아"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부득이 이들 매체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하며 이들 기사 콘텐츠를 즐겨 보던 이용자께 불편을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동아닷컴 등 해당 매체 홈페이지에서는 계속 기사를 볼 수 있다"고 안내했다. 또 "무단복제와 전송 등 저작권 침해 행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앞서 조선, 중앙, 동아는 지난달 "7일부터 다음에 뉴스 서비스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으나 다음 측은 "조중동 측과 계속 협상을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음의 '조중동 뉴스 서비스 중단'이 현실화됨에 따라 네티즌과 전문가들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다음의 조중동 뉴스공급 중단 사실이 알려진 6일 오후부터 다음 아고라에는 "조중동 필요없다",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다"란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아고라의 다양성이 사라질 것이다" "주요 뉴스 콘텐츠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조중동 뉴스 공급 중단이 뉴스 콘텐츠를 취급하는 '미디어 다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음은 촛불집회 이후 뉴스 콘텐츠 조회수가 네이버를 역전하는 등 소위 '촛불 효과'를 톡톡히 봐 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터넷 조사업체 랭키닷컴 조사 결과 6월 마지막주 주간 페이지뷰에서 '다음 뉴스'가 '네이버 뉴스'에 비해 2억3423만 조회수를 더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조중동 뉴스 콘텐츠가 빠짐에 따라 인터넷 조회 유입이 크게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조중동 뉴스가 빠져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이란 해석도 있다. 순수한 '다음뉴스'보다는 다음의 토론방 '아고라'를 통한 뉴스 서비스 유입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손재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구독][주소창에 '경제'를 치면 매경 뉴스가 바로!]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다음은 "7일부터 자사 뉴스서비스인 미디어다음에서 이들 3개 신문사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한다"고 6일 공지했다.
다음은 공지를 통해 "미디어다음은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등 3개 신문사로부터 기사 전송 중단 관련 공문을 수령했다"며 "이에 따라 부득이 7일부터 미디어다음 내에서 이들 3개 언론매체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하게 됐다"고 밝혔다.
다음측은 뉴스 공급이 중단될 매체는 "조선일보, 위클리조선, 중앙일보, 동아일보, 주간동아, 여성동아"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부득이 이들 매체의 기사 서비스를 중단하며 이들 기사 콘텐츠를 즐겨 보던 이용자께 불편을 끼쳐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조선닷컴, 조인스닷컴, 동아닷컴 등 해당 매체 홈페이지에서는 계속 기사를 볼 수 있다"고 안내했다. 또 "무단복제와 전송 등 저작권 침해 행위에 대한 각별한 주의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에 앞서 조선, 중앙, 동아는 지난달 "7일부터 다음에 뉴스 서비스 공급을 중단하겠다"고 밝혔으나 다음 측은 "조중동 측과 계속 협상을 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다음의 '조중동 뉴스 서비스 중단'이 현실화됨에 따라 네티즌과 전문가들 반응은 크게 엇갈렸다.
다음의 조중동 뉴스공급 중단 사실이 알려진 6일 오후부터 다음 아고라에는 "조중동 필요없다", "아무런 영향이 없을 것이다"란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아고라의 다양성이 사라질 것이다" "주요 뉴스 콘텐츠가 사라지는 것 아니냐"는 반응도 적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조중동 뉴스 공급 중단이 뉴스 콘텐츠를 취급하는 '미디어 다음'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음은 촛불집회 이후 뉴스 콘텐츠 조회수가 네이버를 역전하는 등 소위 '촛불 효과'를 톡톡히 봐 왔기 때문이다.
실제로 인터넷 조사업체 랭키닷컴 조사 결과 6월 마지막주 주간 페이지뷰에서 '다음 뉴스'가 '네이버 뉴스'에 비해 2억3423만 조회수를 더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조중동 뉴스 콘텐츠가 빠짐에 따라 인터넷 조회 유입이 크게 줄어들 것이란 분석이다.
한편 조중동 뉴스가 빠져도 피해를 입지 않을 것이란 해석도 있다. 순수한 '다음뉴스'보다는 다음의 토론방 '아고라'를 통한 뉴스 서비스 유입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손재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매일경제 구독][주소창에 '경제'를 치면 매경 뉴스가 바로!]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아이디어클럽 > 유머 아이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케치>경찰 원천봉쇄 속 서울광장 촛불집회 (0) | 2008.07.07 |
---|---|
촛불집회 이번엔 ‘삼양산성’…네티즌 “‘개념기업’ 돕자” 쌓아 (0) | 2008.07.07 |
서울시, 남아 있던 ‘촛불천막’ 7개 강제철거 (0) | 2008.07.07 |
3m 높이로 쌓은 ‘삼양라면 산성’, 독재항거 영화 패러디 ‘가면시위’ (0) | 2008.07.07 |
촛불 “계속하자” vs “이쯤에서…” (0) | 2008.07.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