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의 아버지로 불리는 빈튼 서프 구글 부사장은 18일 서울 코엑스서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행성간 인터넷 프로젝트의 성과와 콘텐츠의 저작권 문제 등에 대한 견해를 피력했다.

먼저 빈튼 서프 부사장은 “한국은 인터넷 및 모바일 사업 부분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며 “구글에게 있어 한국은 기회의 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인터넷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장 개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며 “시장 개방은 더 많은 아이디어와 서비스 창출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오픈플랫폼이 보편화되면서 누구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시도할 수 있고, 무료로 이용할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그는 “인터넷에 개방성이 담보된다면 중요한 경제 동력원이 될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개방성과 접근성, 모바일 등 인프라 환경이 먼저 조성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서프 부사장은 행성간 인터넷에 대한 방향성에 대해서도 발표했다.

그는 “태양계 전체를 걸친 새로운 통신 규약을 개발하고 싶다”며 “올해 연말에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을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프 부사장은 “천체의 움직임에 따라 통신 방해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나사와 여러 우주 연구소들이 이 규약을 채택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터넷 기업이 매스미디어 기능을 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와 개인 차원의 정보는 구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프 부사장은 “네티즌들은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사용할 뿐 아니라 생성자 역할도 한다. 하지만 뉴스의 경우 편집자 역할이 필요하고 정보의 사실여부를 검증하는 역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개인들은 인터넷에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평가를 할 수도 있지만 기자들은 고품질의 정보와 단순히 개인 의견에 지나지 않는 정보는 분별해 제공해야 한다는 것이다.

야후와의 협력과 관련해서는 “구글의 광고기능을 통해 야후의 수익성을 개선하는 시험단계”라고 밝혔다. MS의 시장독점 우려에 대해서는 “우리는 경쟁을 환영한다”며 “경쟁이 촉진되면 타사 품질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 저작권과 관련해서는 “저작권은 분명히 보호받아야 한다”고 서프 부사장은 강조했다.

그는 저작권 보호를 위해 “무엇보다 교육을 통한 개인의 인식변화나 정보 출처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저작권법도 디지털 환경에서 제대로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빈튼 서프 부사장은 1973년 TCP/IP 프로토콜 및 인터넷 기본구조를 설계했으며 최초의 인터넷 상업용 메일인 MCI 개발을 주도하는 등 인터넷 전도사로 추앙받고 있다.

<채수웅 기자> woong@ddaily.co.kr

[ 관련기사 ]

☞ [OECD 장관회의] 전자상거래 활성화 위해 ‘신뢰’ 구축이 최우선

☞ [OECD 장관회의] 전 세계 그린IT에 관심 ‘집중’

☞ [OECD 장관회의] 미첼 베이커 모질라 회장, “오픈소스는 분산형 창조”

☞ [OECD 장관회의] “아고라 성공은 토론 문화 힘”

☞ [OECD 장관회의] “에너지 절감 ICT로 해결”

<저작권자ⓒ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아이디어의 보물섬! 한국아이디어클럽(www.idea-club.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