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일보 박태균]
지난주 첫 아기를 낳은 정모(35)씨는 임신 기간 내내 아기의 기형 걱정에 시달렸다. 초음파 검사까지 받았지만 안심이 되지 않았다. 정씨는 “고령 산모인 데다 어릴 때 풍진을 앓은 적이 있어 출산이 두려웠다”며 “건강한 아이여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신생아 100명 중 3명이 기형아일 만큼 국내에서 기형아 출산이 증가 추세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가톨릭의대 신종철 교수팀에 의뢰해 지난해 전국 18개 병원에서 진료받은 임신 16주 이상의 태아, 사산아, 출생 후 1주 이내 신생아 등 3만1272명을 분석한 결과 선천성 기형 발생률이 2.98%(932명)에 달했다.
◇엽산 복용이 부족하다=엽산은 비타민 B군의 하나다. 생명을 유지하기 힘든 무뇌아, 척추이분증 등 신경관 결손증 예방에 효과적이다. 현재 진행 중인 연구에 따르면 요로 기형·심장 기형·임신중독증의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도 있다.
신경관 결손이 잦은 중국 북부지역에서 조사한 결과 엽산을 하루 0.4㎎씩 복용한 임산부의 신생아는 1000명당 1명이 신경관 결손아였다. 반면 엽산을 복용하지 않은 임산부의 신경관 결손아 출산 위험은 5배에 달했다.
엽산은 녹색 채소(시금칟양배추·순무 어린잎·상추·브로콜리·아스파라거스), 버섯, 콩류(강낭콩·병아리콩·완두콩 등), 호두 등 견과류, 감귤류와 키위·오렌지주스·간·생선 등에 풍부하다. 이런 식품을 조리할 때는 열을 지나치게 가하지 않는 것이 요령이다. 5분 이상 가열하면 엽산의 절반 이상이 파괴되기 때문이다.
◇가임기 모든 여성이 대상=임산부의 경우 식품만으로 엽산의 하루 필요량을 채우기는 힘들다. 전문가들이 임신 전후엔 엽산이나 엽산이 든 종합영양제를 복용하라고 권하는 것은 이래서다.
미국 공중위생국은 1992년 모든 가임 여성에게 엽산을 하루 0.4㎎씩 섭취할 것을 권장했다. ‘임산부’가 아니라 ‘가임 여성’이라는 사실에 주목하자. 임신의 절반 가량이 예상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뤄지며, 대부분의 여성이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병원을 처음 방문하는 임신 6~7주엔 이미 척추와 뇌의 결손이 형성돼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임 여성은 임신 전 3개월∼임신 3개월 새 하루 0.4㎎씩 엽산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출산 뒤 모유를 먹이는 산모도 엽산을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다. 엽산은 젖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도 있다. 수유를 하지 않는 산모도 출산 후 4∼6주까지는 엽산의 보충이 필요하다. 우리 나라 임산부는 0.1∼0.2㎎ 섭취하는 데 그친다.
◇기형아 예방을 위한 금기 식품=임산부가 기분 전환을 위해 가볍게 맥주 한잔 하는 정도라면 문제될 게 없다. 그러나 습관적인 알코올 과다 섭취는 언청이 등 얼굴 기형·소뇌증·신장 기형·정신지체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태아의 뇌가 성장하는 임신 12주 이후의 과음은 금물. 알코올 의존증 임산부가 평균 지능지수(IQ)를 지닌 아이를 낳을 확률은 65%에 불과하다는 외국의 조사결과도 있다.
과다 섭취하면 오히려 심각한 기형을 부르는 비타민도 있다. 비타민 A다. 임산부는 비타민 A를 하루 1000 IU(국제단위) 이상 복용하는 것은 삼간다. 기형·사산 위험을 높일 뿐더러 영구 학습장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커피, 설익은 고기도 삼가야=임산부가 하루에 커피를 넉 잔 이상 마시는 것도 곤란하다. 이 경우 임산부가 담배를 피우는 것 만큼이나 저체중아 출산 위험이 높아진다. 카페인 탓이다. 홍차·녹차에도 카페인이 들어 있으므로 주의한다.
임산부는 날고기·설익은 고기를 먹어선 안 된다. 태아의 뇌 손상 가능성이 있어서다. 충분히 열을 가해 조리하지 않은 고기를 먹으면 톡스플라스마에 걸릴 위험이 30∼63%에 이른다. 톡소플라스마는 풍진과 함께 기형을 일으키는 대표적인 질환. 흔히 톡소플라스마라는 원충에 감염된 고양이·개 등 애완동물을 만질 때 옮긴다. 산부인과 의사들이 임신 도중엔 애완동물을 멀리 하라고 충고하는 것은 이래서다. 톡소플라스마는 사산·유산·기형아·시력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임산부를 위한 식생활법
■ 매일 전체 섭취하는 곡물에서 적어도 반은 정제되지 않은 곡물(현미·귀리·통밀빵 등)을 섭취(하루 90g 이상)
■ 하루에 2와 2분의 1컵 정도의 채소(짙은 녹색 채소), 오렌지·견과류·콩류 등을 먹는다
■ 하루에 2컵 정도의 다양한 과일을 먹는다
■ 매일 3컵 정도의 무지방 또는 저지방 우유를 마신다(우유를 못 마신다면 같은 양의 요구르트나 치즈 섭취)
■ 소금 섭취를 줄인다
■ 설탕과 감미료 첨가를 피한다
■ 육류를 고를 때는 저지방이나 살코기, 닭고기를 선택한다
■ 음식은 충분히 높은 온도에서 완전히 익힌다
자료:미국 산부인과학회
박태균 식품의약전문기자
◇도움 말: 을지대병원 산부인과 노정훈 교수, 제일병원 산부인과 최준식 교수, 한강성심병원 산부인과 최수란 교수
[☞ 중앙일보 구독신청] [☞ 중앙일보 기사 구매]
44회 백상예술대상 인기투표 하고 시상식 가자! **103+NATE/magicⓝ/ez-i
[ⓒ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이디어의 보물섬! 최신 아이디어 모여라! www.idea-club.com >
'아이디어 레벨업 > 아이디어발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신랩, 바이오써포트와 GMP밸리데이션 전략적 제휴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
한국사이베이스 김태영 사장…"차별화된 기술지원이 경쟁력"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제8회 디지털 경영혁신대상] 브랜드우수상 - 파인디지털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공부 잘하는 두뇌만들기 10계명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
일신랩-바이오써포트, 전략적 제휴제니카페<cafe.naver.com/writergeni> (0) | 2008.04.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