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태껏 재테크 개념도 없이 살아오다가 최근에 주변사람들로부터 아직도 은행이나 계돈

 

에다 돈을 맡기고 있냐는 핀잔을 들으면서 재테크에 관심이 생겼습니다.

 

현재 저희는 맞벌이로 같은 공무원이고 두사람 합해서 월 450 입니다.

 

여기서 제 집사람 차량 할부금 18만원에 종신보험이 13만원 나가고있고

 

저는 운전자보험이 49,000원에 암보험이 3만원 나가고 있습니다.

 

저축은 여태 계를 들어왔었고, 청약부금 10만원이 집사람 명의로 들어서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생활비 30만원에 공과금이 20만원 나가고, 차량유지비에 대충 쓰는 용돈까지 해서

 

50만원 나가더군요.

 

그럼 대략 300만원의 여유가 생기는데, 이제는 어떻게 재테크를 생각하고 살아야되는지

 

잘 아시는 분들의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참고로 집은 아파트 20평대에 살고있고 청약부금은 나중에 예금으로 바꾸면 된다고해서

 

지난 달부터 넣고있고 아직 저희는 아기가 없습니다. 음....., 제 짧은 생각으로 지금 저희집

 

살림의 문제는 저의 보험이 너무 약하다는 것과 그동안 계나 은행예금 밖엔 몰랐다는 거

 

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종신이나 유니버설이니 하는 보험을 저도 갖고 싶더군요. 그리고

 

계 말고 다른 좋은 투자법(얘기로만 들어보면 너무 어렵더군요. 하두 이상한게 많아서)에

 

대해 조언 부탁드립니다.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상품나열식으로 올리겠습니다

선택은 님이 하셔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장기주택마련저축은 단독 세대주 포함해서 세대주만 넣을수 있습니다

분기당 1만원이상 300만원까지 가능하여 여러은행 종복적금이 가능하

며 7년이상 넣으면 비과세 되는 상품이며 세대주의 경우 무주택자이고

배우자나 부양가족이 있을경우 연말에 소득공제 가능합니다

5년전에 해지시는 추징금이 있으며 7년전에 해지시는 비과세가 되지

않으며 잘만 활용한다면 좋은 상품이라 생각됩니다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 농축협 등은 세금우대 상품시 원금 2000만원까지

농특세로 1. 4%로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출자금 1만원정도 필요)

이율은 서로 다르며 평균 4%이상 5%정도이며 여러금고 중복적금시에

도 원금 2000만원까지만 가능합니다

 

상호저축은행 연 5%이상 6%정도인 곳이 많으며 세금우대 상품시 9. 5%

로에 세금을 내면 됩니다

 

일반은행 연 3. 5%이상 4%정도이며 세금우대 상품시 9. 5%로에 세금을

내야 합니다

 

일반세금 적용시 15. 4%로에 세금을 내면 됩니다

 

펀드의 경우는 평균 3년정도는 생각해야 하며 단기에 손해는 감수할수 있

어야 하며 비보호 상품으로 원금보장이 되지 않으므로 상품을 선택시 자신

한테 알맞을 상품을 고르는게 우선이며 만기에 손해시 나두셨다 찾으셔도

되며 주식형, 배당형, 채권형, 성장형, 혼합형 등등이 있으며 환매 가능이전에

찾을때는 수수료를 물어야 하며 환매 가능시점부터는 언제든지 해지 가능

하며 상품에 따라 이익 혹은 위험도가 달라집니다

 

변액유니버셜은 보험에 일종으로 보험부분을 제외하고 주식이나 채권등에

투자를 해서 이익을 내겠다는 상품으로 최소 10년이상을 넣어야 하며 10년

뒤에나 주식이나 채권이 어떻게 변해 있느냐에 따라 큰 이익이 날지 혹은 손

해가나 있을지 알수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특약 부분은 소멸성이며 사망보험금이 지급되는 종신과 비슷한면도 있습니다

 

보험의 경우는 자신한테 가장 필요한 상품으로 넣는게 좋겠습니다

종신, 연금, 건강, 암, 변액 등등 여러가지 상품이 있으므로 잘 알아보고 넣으시

면 좋겠습니다

 

ELS 상품은 주식, 채권, 선물옵션 등을 연계해서 이익을 내는 상품으로 평균 6개

월이상 3년정도를 가져가는 상품이며 6개월마다 조기상환에 기회가 있으며 평

균 7%이상 10%내외에 목표를 설정해서 기안내에 한번이라도 목표수익률 달

성시 보장된 이익을 주며 주식하락시에도 어느선까지는 원금보장이 되는 상품

으로 알고 있으며 약간에 목돈이 필요한 상품입니다

 

단기 입출금 상품으로 CMA, MMF, MMDA 상품들 이용하면 좋겠습니다

비교적 입출금이 자유로운 상품들이며 상품에 따라 장단점이 있으므로 잘 알

아 보시면 되고 은행, 종금사, 증권사 등에서 판매를 합니다

일반통장 0. 5%정도에 이율인데 비한다면 3%전후에 이율은 높은 편이라 생

각되며 혹시 모를 목돈 필요시를 대비해 조심씩 모아두시는것도 나쁘지 않다

고 생각됩니다

 

 

결론적으로 단기, 중기, 장기로 나누어 넣으면 어떨까 생각됩니다

 

단기

적금 월 100만원 (상호, 새마을, 신협 등에) 님 앞으로 1년상품

적금 월 50만원 (상호, 새마을, 신헙 등에) 부인 앞으로 2년상품

예비금

 

중기

청약상품 월 10만원 3년이상

펀드 월 20만원정도 3년정도 혹은 그 이상 금액도 필요에 따라 조정

혹은 ELS 상품 안전한 상품만 원한다면 적금

 

장기

장기주택마련저축 월 1만원이상 유동성에 문제가 없게 (7년이상)

                                       두개정도에 나누어 넣으셔도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보험 소득에 10%에서 15%내외

 

 

예를들어 이런식으로 님께 맞게 넣으시면 어떨까 생각됩니다

이 상품들 중에 님이 원하는 상품들이 있었으면 좋겠군요

단기로 갈수록 목돈을 장기로 갈수록 유동성에 문제가 되지 않게 잘 조절

하는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