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6월, 그동안 들었던 은행(제1금융권)의 적금들이 모두 만기가 되면서 매월 약 100만원의 여유자금이 생깁니다.
사실 만기가 되두 계속 예치해 놓을수도 있겠지만 알다시피 워낙 은행권 금리가 낮다보니 그러기는 조금 아깝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저의 상황을 좀 더 구체적으로 말씀드리자면...
1. 28살, 여자입니다.
2. 현재 14만원 정도의 종신보험(55세 만기)에 들어있습니다. (푸르덴셜 생보사)
3. 월 100만원 정도의 여유자금이 있습니다ㅣ.
4. 단/중/장기 목적으로 재테크를 하기 원합니다.
** 제 나름대로 구성해 본 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기계획 : 2년, 현대 스위스 상호저축은행 [사랑나눔 정기적금(연6.3%)]을 든다.
월 500,000원
⇒ 사실 50만원까지 넣을 생각은 없었는데 워낙 금리가 높은지라...^^;;;
중기계획 : 7년, 월 25만원 장기주택마련저축 가입
(참고로 이번에 세대주 독립을 할 계획입니다.)
장기계획 : 25년, 월 15만원정도, 변액 유니버셜 보험에 든다.
⇒ 아직 운용사를 선택하지 못했습니다. 추천줌....^^;;
기타 외 : 매 월 100,000원의 자금으로 개인 직접 투자를 해 본다. (연습삼아...)
⇒ 주식 공부도 할겸...매월 10만원으로 주식을 사고, 팔고 해 볼 생각인데...
기대수익율은 20%입니다. 히히~~ ^^;;
이젠 질문!!
첫 째, 제가 짜 놓은 계획이 쓸만한가요??? 부족하다면 무엇을, 어떻게 바꾸면 좋을까요?
둘 째, 님이 생각하는 다른 계획, 있으시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셋 째, 이왕이면 운용사도 같이 추천 부탁드립니다.
사실 생각하는 것은 미래에셋하고 대신 증권인데....
넷 째, 이건 쫌 논외인데요~ 부동산이나 선박펀드 중에도 적립식으로 투자할 수 있는 것이 있나요??? 있으면 부동산으로 적립식 펀드를 쫌...하고 싶은데...
하~~꼴랑 100만원 가지고 질문이 정말 많네요. ^^;;
실력 좋은 님들의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저도 개인 펀드 매니저가 있었음 좋겠어요. ^^;;)
질문자가 설택한 답변
다른 부분 다 제외하고 고객님의 계획의 장단점만 말쓰드리겠습니다.
단기계획 : 2년, 현대 스위스 상호저축은행 [사랑나눔 정기적금(연6.3%)]을 든다.
월 500,000원
-> 적절한 선택이십니다. 단기적금의 경우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단기내 목적자금 확보가 필요로 하십니다.
중기계획 : 7년, 월 25만원 장기주택마련저축 가입
-> 생각이 필요합니다. 장기주택마련저축을 불입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를 엄밀히 검토하여야 합니다. 소득공제혜택때문이신지 아니면 비과세때문이신지요?
소득공제의 경우 월 25만원씩 불입을 하게 된다면 년간 300만원이 불입되어지는데요 이때 소득공제가 가능한 금액은 120만원입니다.
이 경우 일반 소득구간을 고려한다면 대략 20만원가량의 환급효과가 있습니다.
그러나 반대로 연금저축을 가입하게 된다면 월 20만원을 불입하여 년간 240만원을 불입되어지는데 이때 240만원 전액이 소득공제가 됩니다.
그렇다면 환급효과는 40만원이 됩니다.
더 적은 돈으로 더 많은 환급이 이루어질수 있게 됩니다. 이부분을 엄밀히 검토하실 필요가 있으십니다.
장기주택마련저축은 저는 4개의 통장을 만드시기를 바랍니다. 대신 돈은 불입하지마시기 바랍니다.
기간은 7년 10년 13년 이런식으로 구성하여 3년이후부터 단기적금을 장기주택마련저축으로 이용하시는 방안이 차후 효과적인 재테크 방법이 되실 것입니다.
장기계획 : 25년, 월 15만원정도, 변액 유니버셜 보험에 든다.
-> 나쁘시지 않습니다. 장기적으로 변액을 준비하실 생각을 하시다니^^ 그러나 신중한 선택은 필수입니다.
기타 외 : 매 월 100,000원의 자금으로 개인 직접 투자를 해 본다. (연습삼아...)
-> 저는 적극 찬성입니다. 금융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모르고 재테크를 준비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입니다.
본인이 직접 주식을 해보면서 경제에 대하여 조금씩이라도 눈이 트인다면 그것으로써 큰 효과가 아닐까 합니다.
다만 걱정되는 것은 어쩌다 대박을 났을 경우 무리하게 재투자를 하게 된다는 것과 사람의 심리상 인내력이 없다는 것을 이겨내는 것도 필요합니다.
반드시 정해놓은 10만원의 금액이내에서만 투자하여야 한다는 것을 기억하시고 의외로 대박이 나올가능성도 있을 것입니다^^
또한 적립식펀드의 특성을 이용하게 될 경우는 ETF를 이용하는 투자도 한번정도 경험해보시기 바랍니다.
님에게는 중기투자는 의미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기자금은 왜 무엇을 위하여 생각하시는지를 먼저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나이로 보았을 경우 단기적으로 자금 확보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그 기간이 지나가게 된다면 자동적으로 중기투자가 단기투자가 되어집니다.
저는 단기는 3~5년이내 중기는 10년이내 그이상은 장기로 보고 있기때문에 중기의 경우 투자의 정확한 목적이 잡혀있지 않으며 오히려 비효과적인 투자방안이 될수도 있습니다.
제가 한다고 한다면
적금 - 60만원 (3년)
펀드 - 20만원 (3~5년) - 장기펀드 세제혜택 추진중
변액 - 10만원 (10년이상)
직접 - 10만원
이정도가 될것 같으며 소득공제는 제외하였습니다.
운용사와 판매사는 엄연히 다릅니다^^ 님이 말씀하신 곳은 판매사입니다. 자산운용회사는 별도로 존재합니다~~
어디 운용사가 좋다 나쁘다라고 하기는 그렇지만 일단 규모가 크고 안정적인 곳이 좋을 것이며 과거의 실적이 미래의 실적을 그대로 보여주지는 않지만 과거의 실적을 벤치마크한다면 저는 미래에셋의 상품을 권하여 드립니다.
그리고 변액의 운용사는 가입자가 임의로 정하지 못합니다. 님이 생각하시는 운용사가 해당변액상품을 운용하지 않을수도 있다는 것이 걸리네요~
참고로 미래에셋은 SK생명을 인수하게 됩니다. 그러면 자동적으로 SK생명의 변액은 미래에셋 자산운용회사에서 운용이 될 것 같네요
마지막으로 부동산 선박펀드는 적립식투자는 불가능합니다.
단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을 직접 거래하여 투자는 가능합니다. 해당 상품은 주식과 채권을 거래하는 일반 펀드와 달리 모인 자금으로 실제 펀드나 부동산을 구매하는 실물펀드입니다.
따라서 매달 적립식으로 판매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며 유동성확보를 위하여 상장되어 있는 해당 펀드의 주식을 매매할수는 있습니다.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명보험 대리점으로 전환할 경우 보험사와의 제휴는 어느조건에서 가능합니까 (0) | 2008.02.09 |
---|---|
믿을만한 손해보험사 추천..AIG 종신과 손해보험을 동시에.. (0) | 2008.02.09 |
해외펀드에 대한 투자가 분산투자측면에서 긍정적인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08.02.09 |
펀드메니저 라는 직업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0) | 2008.02.09 |
재테크에 관해서 질문드립니다.(적립식 펀드와 변액보험.) (0) | 2008.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