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을 합한 우리나라 증시 시가총액이 1000조원을 돌파해 계속 늘고 있다. 최근 국제신용평가기관의 국가신용등급 상향 조정 검토 소식과 북핵 문제 진전 영향 등으로 주가가 급등하고 있지만, 길게 보면 그동안 저평가됐던 국내 기업 주가가 제대로 평가받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한국 증시를 견인했던 삼성전자 등 정보기술(IT) 관련 기업 주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조선 철강 기계 등 전통산업이 증시를 이끄는 주역으로 부상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다시 말해 최근 반도체 가격 상승 등으로 IT 관련 기업 주가가 본격 오르기 시작하면 국내 증시가 광범위한 산업에 의해 골고루 뒷받침되는 이상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점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한국 증시 시가총액은 120%를 넘어섰다. 그러나 한국 GDP 규모가 세계 12위인 데 비해 시가총액이 15위라는 점은 아직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히 있음을 말해준다. 이울러 개인의 적립식펀드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등 증시 재원으로 활용될 자금이 크게 늘고 있는 것도 중장기적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유동성이 단기간에 지나치게 증시로 쏠리거나, 개인 신용거래가 급증해 주가가 오르는 것은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특히 주가 급등 상황에서 흔히 나타나는 작전세력이 시장을 교란할 수 있는 것도 간과해선 안 될 일이다.
안타까운 것은 증시 활황을 기업들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환위기 후 한동안은 증시가 좋을 때 기업들이 유상증자나 상장 등을 통해 자금을 확충하고 주식공급 물량을 늘림으로써 증시과열을 막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국내 1000개 기업이 쌓아놓은 돈이 364조원이나 되는 상황이고 부채비율도 낮은 상황에서 증시에서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증시 활황이 기업의 시설자금 확충과 미래투자 등 실물경제 활성화와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적극 늘릴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해 증시 활황을 성장잠재력 확충에 충분히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투자자가 기업의 잘못된 경영공시 등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데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특히 한국 증시를 견인했던 삼성전자 등 정보기술(IT) 관련 기업 주가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가운데 조선 철강 기계 등 전통산업이 증시를 이끄는 주역으로 부상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다시 말해 최근 반도체 가격 상승 등으로 IT 관련 기업 주가가 본격 오르기 시작하면 국내 증시가 광범위한 산업에 의해 골고루 뒷받침되는 이상적인 모습을 보일 것이라는 점이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한국 증시 시가총액은 120%를 넘어섰다. 그러나 한국 GDP 규모가 세계 12위인 데 비해 시가총액이 15위라는 점은 아직 주가 상승 여력이 충분히 있음을 말해준다. 이울러 개인의 적립식펀드 규모가 계속 확대되고,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등 증시 재원으로 활용될 자금이 크게 늘고 있는 것도 중장기적으로 주가가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유동성이 단기간에 지나치게 증시로 쏠리거나, 개인 신용거래가 급증해 주가가 오르는 것은 경계해야 할 대목이다. 특히 주가 급등 상황에서 흔히 나타나는 작전세력이 시장을 교란할 수 있는 것도 간과해선 안 될 일이다.
안타까운 것은 증시 활황을 기업들이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외환위기 후 한동안은 증시가 좋을 때 기업들이 유상증자나 상장 등을 통해 자금을 확충하고 주식공급 물량을 늘림으로써 증시과열을 막는 역할도 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국내 1000개 기업이 쌓아놓은 돈이 364조원이나 되는 상황이고 부채비율도 낮은 상황에서 증시에서 자금을 조달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증시 활황이 기업의 시설자금 확충과 미래투자 등 실물경제 활성화와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정책당국은 기업들이 설비투자를 적극 늘릴 수 있도록 여건을 개선해 증시 활황을 성장잠재력 확충에 충분히 이용하도록 해야 한다. 아울러 투자자가 기업의 잘못된 경영공시 등으로 인해 피해를 입지 않도록 하는 데도 만전을 기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아이디어 > 톡톡튀는 핫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재수첩] 먹튀 혹은 자본주의의 꽃 (0) | 2008.02.08 |
---|---|
[중앙시평] 실적주의로는 선진국이 될 수 없다 (0) | 2008.02.08 |
[매경광장] 대한민국 펀드시장이 사는 길 (0) | 2008.02.08 |
[사고] 창조 CEO가 화가를 만날때 (0) | 2008.02.08 |
론스타가 아무리 미워도 그런 (0) | 2008.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