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신문]# 장면 1 “지질학 박사학위를 딴 뒤 전세계 석유탐사 현장에 파견돼 경험을 쌓았다. 석유 탐사·개발 전문엔지니어들은 연봉이 세서 내 밑의 외국인 전문인력의 일당이 2000달러(180만원)다. 나도 젊을 때 돈을 좇을까 했는데, 적게 벌어도 가족하고 함께 살고, 회사 선후배들과 정을 나누고, 나라를 위해 사는 것이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왜 대우가 좋은 외국계 회사로 옮기지 않았느냐고 묻자 석유공사 해외사무소장이 한 대답이다.

# 장면 2 “우리 회사 규정에 자신이 관여하고 있는 산업의 주식에 투자할 수 없다. 때문에 단 1주의 조선주식도 가지고 있지 않다. 나는 우리나라 조선사업이 전 세계 1위가 된 것에 아주 만족한다. 미국이 정책적으로 항공사업을 키워왔다면, 우리나라는 조선산업을 키워온 것이다.”

‘조선산업이 이렇게 잘 나갈 줄 미리 알았을 텐데 조선관련 주식을 좀 사놓지 그랬느냐.’고 하자 ‘선박담당’ 업무를 오래 맡았었다는 모 은행 임원이 내놓은 우문현답이다.

# 장면 3 “우리는 몇 년째 투자증권사에 돈을 넣어두고 매년 재산신고 때 잔고를 보고하기 때문에, 요즘 펀드로 ‘대박’이 난다고 난리가 나도 귀찮아서 옮길 생각을 못해봤다.”

세금을 많이 다루니 돈도 잘 불리지 않겠느냐고 묻자 한 고위 세무공무원은 ‘업무가 많아서 신경쓸 겨를이 없다.’며 이렇게 말했다.

각자 다른 분야에서 자기 자리를 지키며 사회의 버팀목이 되고 있는 이들 세사람은 월급쟁이들이다. 돈이 최고의 가치가 된 세상에서, 그저 자기 분수를 지키고, 적은 월급을 받아도 묵묵히 일을 하고 있는 사람들을 볼 때 희망을 느낀다.‘단군의 개국이래 최대의 부를 누리고 있다.’는 대한민국의 오늘은 그런 평범한 샐러리맨들이 만들어 낸 것이다. 신화는 특정인들이 이룬 것은 아니라는 말이다. 땅투기를 하지 않고, 주가 조작에도 관심없는 월급쟁이의 공이다.

문소영 경제부 기자 symun@seoul.co.kr

“맛있는 정보! 신선한 뉴스!”

- Copyrights ⓒ서울신문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