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증권사들이 내년 자본시장통합법 시행을 앞두고 글로벌 IB(투자은행)로 변신하기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하지만 IB투자는 미래에 대한 육성으로 지금 당장 수익을 올리긴 쉽지 않다. 현재 국내 증권사들 대부분은 다른 부문에서 발행하는 이익을 보충해 IB부문에 대한 투자를 단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증권은 이같은 상황을 감안해 IB의 수익 구조를 다변화 시키는데 전력을 쏟고 있다.

특히 IB역량 강화에 초점을 두고 있다.

국내 최초 해외실물 부동산 펀드 발행으로 다양한 실물자산을 이용한 신상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으며 안산 돔구장으로 잘 알려진 안산시 1조7000억원 규모의 복합단지개발에 참여함으로써 민관복합사업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앞으로는 퇴직연금 유치를 위한 컨설팅 능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이와함께 국내 기업 CB(전환사채)인수, MBC와 드라마 공동제작을 위한 펀드 투자, 국내 부동산 개발 사업 투자와 같이 PI투자에도 힘쓰고 있다.

파생상품 경쟁력 제고도 신경쓰는 부분이다. 자통법 시행으로 파생상품 시장이 성장할 것에 대비한 것이라는게 회사측 설명이다.

현대증권 관계자는 "선진 투자은행의 조직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 사업부문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투자은행형 조직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글로벌 IB 역량 강화를 밑바탕으로 사업구조 다변화와 해외진출을 추진해 시황의존도를 감소시킬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은정 기자 mybang21@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은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