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사람이 '진짜 인재'인가?
이에 대해서는 LG전자 CEO 김쌍수 부회장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김 부회장은 최근 한 언론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회사는 단순히 똑똑한 사람(Best People)보다는 일에 열정을 갖춘 우직하고 믿음이 가는 적합한 사람(Right People)을 중시할 것이다"라고 밝히고 있다.
예컨대, 해병대는 해병대의 가치관에 동의하는 사람들을 모집한 다음에, 그들에게 조직의 임무 수행에 필요한 훈련을 시켜야 효과적이라는 식의 논리이다.
실제로 3M, HP, Microsoft 등 일류 기업들은 인재를 판단할 때 특별한 교육적 배경이나 유용한 기술, 전문적인 지식, 작업 경험보다도 인재가 지닌 내면의 품성(태도와 가치관 등)을 중시한다.
그렇다고 이들 기업이 일정 수준 이상의 기술적 능력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기술적 역량 이상의 의욕과 올바른 태도를 갖춘 인재가 장기적으로 더 우수한 인재로 성장할 가능성이 크다는 소신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현기의 '이런 인재가 진짜 인재' 중에서 (LG경제연구원, 2004.6.3)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로 넘어가면서, '인재'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어떤 조직이건 그 조직의 성패는 그 조직을 구성하는 사람, 그리고 그가 갖고 있는 지식에 달려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면 '인재'란 어떤 사람일까요?
직원을 뽑아야하는 경영자, 자신의 미래를 설계해야하는 직장인, 이들 모두에게 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것은 참으로 중요한 일일 겁니다.
LG전자 김쌍수 부회장은 단순히 '똑똑한 사람'(Best People)보다는, 일에 열정을 갖춘 우직하고 믿음이 가는 '적합한 사람'(Right People)을 중시한다고 말합니다.
한마디로 실력을 어느 정도 갖췄다면, 그 때부터는 실력보다는 품성, 열정, 인간성이 더 중요한 인재의 기준이라는 것입니다.
사실 주변의 경영자나 관리직 사람들을 만나면, 표현은 조금씩 다르지만 비슷한 말들을 많이 합니다.
그리고 대개 '똑똑한 사람'에게 크게 데인 '아픈 경험'을 하나씩 이야기 합니다.
똑똑한 점을 사서 뽑았는데 다른 사람들과 전혀 융화를 하지 못해 오히려 조직에 해만 끼쳤던 '독불장군'이나, 교육만 실컷 받고 정작 성과를 내주어야할 시점이 되니까 좋은 조건을 찾아 떠나가버린 '철새'에 대한 아픈 추억담들이지요.
그리고는 앞으로는 실력 보다는 품성을 더 중시하겠다고 다짐들을 하곤 합니다.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무언가 성취를 한 사람들을 잘 살펴보면, 실력은 필요조건에 불과하고, 품성이 충분조건이라는 사실을 실감하게됩니다.
품성을 갖추지 못한 똑똑한 사람은 '겉똑똑이'에 불과한 것이고, 조금만 길게 보면 이 겉똑똑이 타입이 성공할 확률은 매우 낮다는 것이지요.
IQ가 높은 사람보다는 EQ가 높은 사람이 성공할 확률이 훨씬 높다는 이야기도 이와 비슷한 맥락일 겁니다.
초일류 기업인 GE는 인재가 갖추어야 하는 덕목으로 '열정'(Passion)을 강조합니다.
이 열정도 결국에는 품성을 갖추고 자신에게 주어진 일에 대한 소명의식을 지닐 때 생겨나는 것입니다.
'똑똑하기만 한 사람'과 '실력뿐 아니라 품성까지 갖춘 사람'.
실력과 기술을 쌓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훨씬 중요한 것은 '품성'을 쌓는 일입니다.
'[WriterGeni] > 좋은글&명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판이라는 것... (0) | 2006.08.01 |
---|---|
상대의 태도에 따라 가식적으로 변하지 마라 (0) | 2005.10.23 |
상대방의 마음을 읽고 그의 입장에서 말을 건네라 (0) | 2004.06.14 |
타고 온 배를 불태우는 바이킹 (0) | 2004.06.14 |
인간에게 가장 좋은 권고사항 (0) | 200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