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니_Geni
2004. 6. 3. 00:06
2004. 6. 3. 00:06
대화의 8할은 잘 듣는 것(경청)이다.
"조물주는 되도록 적게 말하라고 해서 입은 하나밖에 만들지 않았고, 되도록 많이 들으라고 해서 귀는 두 개나 만들었다"는 말이 있다.
어떤 연구 보고에 따르면, 85% 이상의 사람들이 경청 능력에 있어서 평균 이하였고 5% 미만의 사람들만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바로 그 5% 미만의 사람들이 성공했다.
디즈레일리는 격식을 중요시하는 영국의 정치 풍토를 극복하고 무명 인사에서 수상이 되면 서 일약 사교계의 대스타가 된 사람이다. 그에게는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발군의 재능이 있었는데 바로 다른 사람들의 말을 경청하는 능력이었다. 그는 결코 상대방과 논쟁하지 않 았다. 그는 핏대를 세워 논쟁하고 반박하는 대신 차분한 태도로 상대방의 이야기에 열심히 귀를 기울였다. "잘 듣는 것보다 능란한 이야기는 없다"고 하는 말은 바로 디즈레일리을 두 고 하는 말이다.
미국의 석유왕 록펠러도 마찬가지다. 그는 말단 직원들의 이야기에도 진지하게 귀를 기울 였고 상대방이 말하지 않을 때에만 자기 의견을 말했다고 한다.
그럼, 어떻게 잘 경청할 수 있는가? 여러가지 방법 중 1, 2, 3 화법과 칭찬 화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1, 2, 3 화법이란 1분 동안 말하고 2분 동안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3번 맞장구치라는 것이다. 상대방의 말이나 마음을 되돌려 주기 위해 3번 맞장구치라는 것인데 이것을 "공감 적 표현"이라고 한다. 맞장구를 칠 때 적절한 감탄사나 몸짓으로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 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게 하는 화법이다.
칭찬화법이란 칭찬을 통해 상대방의 마음을 이끌어 냄으로 잘 들으라는 것이다.
칭찬은 귀로 먹는 보약이다.
링컨같은 위대한 인물도 칭찬받기를 원했다. 링컨이 암살당하던 날 밤 그의 주머니에 들어 있던 소지품 중에는 링컨의 리더십과 휼륭한 행동에 찬사를 보내는 기사를 오린 몇 장의 신 문 조각이 있었다고 한다. 그가 자신을 미워하는 수많은 적대 세력 앞에서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주장할 수 있었던 것은 그 작은 신문 기사에서 위로와 용기를 얻을 수 있었 기 때문이었다.
칭찬받기 싫어한다고 늘 강조했던 나폴레옹까지도 어느 날 부관이 "각하, 저는 칭찬받기 싫 어하는 각하의 성격을 존경합니다"라고 말하자 매우 흡족했다고 한다.
이렇게 어느 누구라도 칭찬에 약하며 칭찬은 상대방으로 하여금 호감을 갖게 하고 경계심를 풀게 하며 마음속의 생각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진실하면서도 구체적인 그리고 타이밍에 맞는 칭찬 화법으로 잘 들을 수 있는 사람이 될 수 있다.
--------------------------------------------------------------------------
다른 사람의 가장 좋은 점을 찾아내어 그에게 이야기해 주십시오. 우리는 누구에게나 그것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칭찬 속에 자라왔습니다. 그리고 그것이 우리를 더욱 겸손하게 만들었습니다. 그 칭찬으로 하여, 사람은 더욱 칭찬받는 사람이 되려고 노력하는 것입니다. 진실한 의식을 갖춘 영혼은 자신보다 휠씬 뛰어난 무엇을 발견해 낼 줄 압니다. 칭찬이란 이해입니다. 근본적으로 우리는 누구나 위대하고 훌륭합니다. 누군가를 아무리 칭찬한다 해도 지나침은 없습니다. 다른 사람 속에 있는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발견하는 눈을 기르십시오. 그리고, 찾아내는 대로 그에게 이야기해 줄 수 있는 힘을 기르십시오 |
| | |